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골조개 수원시 이의동,광교동,승지바위 산골조개와 도룡뇽

구름에 달

by 碧巖 2008. 6. 16. 22:32

본문

728x9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어린 도룡농들을 사진 찍느라 잠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00년만에 제주에서 발견했다는 산골조개??  그놈이 이의동에서도 살고있었다니........

가운데 제일 큰것이 지름 6mm 정도의 성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05년도  1월에 촬영해 놓고도 정확한 조개의 이름을 모른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촬영 후 원래 있던곳으로~~~

 

  ===============================================================================================
<산골 조개에 관한 인터넷 기사>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가 관리중인

제주시험림에서 100년만에 발견된 산골조개. 제주/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 백록담에서 서식하다가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산골조개가

한라산 산림지대의 습지에서 집단서식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는 국제산림관리협회(FSC)로부터

산림경영인증을 받은 해발 400∼1천m에 있는 제주시험림의 한 습지에서

산골조개과의 조개(이하 산골조개)가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2008년 3월 5일 밝혔다.


제주에서는 1908년 일본인 과학자 구로다 씨가 백록담에서 채집해

삼각산골조개(Sphaerium sp.)로 보고한 이후

국내 연구진에 의해 산골조개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이 산골조개의 성체(成體) 중

가장 큰 것은 6.6㎜ 정도였으며 작은 것은 3㎜ 짜리도 있었다.


이 산골조개는 강원도와 일본 지역에서 서식하는 삼각산골조개와 비슷하지만

제주 고유종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난대산림연구소는 명확한 종 구분을 위해 유전자 비교 분석 시험을 진행하는 한편

서식지의 주변 환경 보존에 나섰다.

산골조개는 낙엽이나 부식물이 쌓여있는 1급수의 샘이나 웅덩이에 사는데

다 자란 어미라야 녹두알 크기만하다. 


  

 

 

 

 

 2017년 8월 25일 현장확인

 

 

 

 

 

 

 

 

2020년 4월 7일 화요일 현장확인 및 낙옆으로 덮여진 정리를 하면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