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만 南九萬 1629(인조 7)∼1711(숙종 37).
字 운로(雲路), 號 약천(藥泉), 미재(美齋), 諡號 문충(文忠)
경력 교리, 대사성, 안변부사, 함경도관찰사, 형조판서, 영의정
본관 의령(宜寧)
개국공신 재(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식(烒)이고,
아버지는 현령 일성(一星), 어머니는 권박(權瞨)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하생이었던 송준길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곧 교리에 임명되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에 제수됐고,
이어 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다.
1662년 영남에 어사로 나가 진휼 사업을 벌였다.
1674년 함경도관찰사로서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경 수비를 튼튼히 했다.
숙종 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좌윤이 되었으며,
같은해 윤휴(尹鑴)·허견(許堅) 등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부제학·대사간 등을 역임했으며,
1680년과 1683년 두 차례 대제학에 올랐다.
병조판서가 되어 폐한 사군(四郡)의 재 설치를 주장해 무창(茂昌)·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軍政)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했다.
1684년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 1687년 영의정에 올랐다.
이즈음 송시열(宋時烈)의 훈척비호를 공격하는 소장파를 주도해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영의정에 기용되고, 169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에 대해 중형을 주장하는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숙종이 희빈 장씨의 사사를 결정하자 사직, 낙향했다.
그 뒤 부처(付處)·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서용되었으나,
1707년 관직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당시 정치 운영의 중심 인물로서 정치·경제·형정·군정·인재 등용·의례(儀禮) 등
국정 전반에 걸쳐 경륜을 폈을 뿐만 아니라 문장에 뛰어나 책문(冊文)·반교문(頒敎文)·묘지명 등을 많이 썼다.
또한, 국내외 기행문과 우리 역사에 대한 고증도 많이 남기고 있다.
서화에도 뛰어났으며,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숙종 묘정(廟庭)에 배향,
강릉의 신석서원(申石書院), 종성(鐘城)의 종산서원(鐘山書院), 무산(茂山)의 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약천집≫·≪주역참동계주 周易參同契註≫가 전한다.
글씨는 <좌상남지비 左相南智碑>·<찬성장현광비 贊成張顯光碑>,
개심사(開心寺)·양화루(兩花樓)·영송루(迎送樓)의 액자를 남겼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남극관(南克寬, 1689년~1714년)
본관은 의령이며, 號는 몽예(夢囈), 字는 백거이다.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손자이다.
남극관은 남구만이 환갑에 얻은 손자로 조부의 각별한 애정을 받았는데
남구만은 죽기 직전 손자 남극관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남겼다.
비록 내가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죽더라도 너는 장례에 참석하여 스스로 목숨을 재촉하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된다. (중략) 아픈 몸으로 절대 내 장례에 참석하지 마라.
내가 당부하는 말을 따르는 것이 네가 지켜야 하는 큰 효이니라.
만약 네가 내 뜻을 어긴다면 나는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할 것이니 그것이야말로 불효다.
그러면 너는 내 손자도 아니다.
병이 깊어 생각을 다 적을 수도 없구나.
나머지는 네가 깊이 헤아리거라.
독서광이었던 남극관은 죽기 1년 전 자신의 글을 모아 문집 《몽예집》을 펴냈고,
남구만이 죽은 지 3년만에 각기병으로 26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저서 《몽예집》(夢囈集)
증조부: 현령 남일성(南一星)
할아버지 : 남구만(南九萬)
아버지 : 남학명(南鶴鳴)
동생 : 남처관(南處寬)
동생 : 남오관(南五寬)
부인 : 달성서씨(達城徐氏) 서문유(徐文裕)의 딸.
장녀 : 심해(沈澥)에게 출가
외손자 : 심상현(沈商賢)
외손자 : 심진현(沈晉賢)
남극관[南克寬]의 묘표(墓表) 남학명(南鶴鳴)
字는 백거(伯居)이니 영의정으로 치사(致仕)한 휘(諱) 구만(九萬)의 장손(長孫)이다.
이 아비 학명(鶴鳴)이 문충공(文忠公) 이항복(李恒福)의 증손녀를 취(娶)하여 36세에 너를 낳았다.
너는 약관(弱冠)에 상상(上庠, 성균관)에 올라 세상에서는 모두 나라를 빛낼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불행히도 병에 걸려 6년을 고생하다가 일어나지 못하였으니, 그때 나이 26세였다.
그 탄생은 선부군(先府君)의 주갑(周甲) 해인 기사년(己巳年, 1689년 숙종 15년)이고
그 죽음은 이 아비의 주갑 해(1714년)였다.
사람됨은 영발(穎發) 명직(明直)하고 개결(介潔)하여 욕심이 없었으며,
오직 전적(典籍)만을 탐하여 침식(寢食)을 잊을 지경이었고
박극(博極) 정미(精微)하여 패연(沛然)히 자득(自得)한 바가 있었는데,
한 집안의 말을 논찬(論撰)하여 후세에 전하려 하였으나 미처 이루지 못하였다.
스스로 호(號)를 사시자(謝施子)라 하였는데,
죽음에 다달아서 자신의 초고(草稿)를 산정(刪定)하여 두 권으로 만들고 ≪몽예집(夢囈集)≫이라 하였다.
배(配) 서씨(徐氏)의 출생과 사망은
모두 1년 뒤로서 용인(龍仁)의 대화산(大華山) 서록(西麓)의 선영(先塋) 아래 간좌원(艮坐原)에 부장(祔葬)하니,
숭정(崇禎, 명 의종(明毅宗)의 연호) 후의 조선조 두 번째 을미년(乙未年, 1715년 숙종 41년)의 2월이다.
서씨는 지극한 천성이 있어 시부모에게 효성스러웠는데,
너의 상을 당하자 지하에 따라가기로 작정을 하였으나
그래도 자결은 흉측스럽게 여기다가 마침내 애훼(哀毁)를 이기지 못하여 생을 마쳤다.
신후(身後)의 일을 스스로 초하였다가 목숨이 끊이기에 임하여 그의 형에게 맡겼는데, 모두 조리가 있다.
향리(鄕里)에서 절행(節行)을 들어 조정에 계문(啓聞)하니 정려(旌閭)가 내렸다.
그 아버지는 판서 서문유(徐文裕)이다.
이 아비는 중자(仲子) 처관(處寬)으로 하여금 아들을 낳게 하여 너의 뒤를 이어줄 것이며,
세 딸이 출가하기를 기다려서 묘표의 왼쪽에 이어서 새겨 주겠다.
우리 의령 남씨(宜寧南氏)는
국초(國初)의 경렬공(敬烈公) 휘 을번(乙蕃)으로부터 11대를 대대로 높은 벼슬을 이어 받으면서
모두 혈손(血孫)으로 전해왔는데,
너의 몸에 이르러 요절하여 후사가 없으므로 양손(養孫)으로 이어가게 되었으니, 아! 슬픈 일이로다.
남구만초상 (南九萬 肖像) [ 보물 제1484호 ]
보물지정: 2006년 12월 29일 / 시대: 조선시대
소재지: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南九萬(1629-1711)은 숙종 초 대사성, 형조판서를 거치고 1683년 노소론이 나뉠 때 소론의 영수가 된 인물이다.
화면의 우상단에 ‘領議政致仕藥泉南先生眞 文人領議政崔錫鼎贊’이라고 쓰여 있고
화면 좌상단에는 大司成 崔昌大가 쓴 긴 찬문이 쓰여 있다.
최창대가 대사성으로 있었던 것은 1711년뿐이었고 이후에는 더 높은 관직을 역임하였으므로
대사성이란 관직명으로 인하여 이 초상이 1711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상은 관복을 입고 교의에 앉은 전신교의좌상으로 얼굴이 정면상으로 묘사되었다는 점이 이채롭다.
오사모에 녹포단령을 착용하고 쌍학문 흉배와 서대를 하고 있다.
이 초상 가운데 가장 특이한 요소는 얼굴표현에서 나타난다.
정면으로 그려진 얼굴은 윤곽선이 거의 없는 듯이 보여 몰골기법에 가깝게 보이며,
얼굴 전체적으로 미묘한 선염을 구사하며 높낮이를 드러내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정면상이란 점에서도 새로우며
얼굴의 입체감을 드러내기 위하여 선묘의 효과를 극소화하고 선염처리를 활용한 점도 이채롭다.
이 초상은 18세기 초 새로운 영정 유형과 기법의 대두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가 된다.
장양공 이일장군,壯襄公 李鎰將軍, 용인인 (0) | 2016.02.28 |
---|---|
개성윤후 이사위李士渭 용인이씨, 이수상 李守常 (0) | 2016.02.28 |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부친 (0) | 2016.02.18 |
흥녕군이창응興寧君 李昌應, 연령군이훤延齡君 李昍, 명빈박씨 (0) | 2016.02.16 |
헌종대왕태실 (0) | 2016.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