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청-삼우당 문익점묘(三憂堂 文益漸), 경상남도 기념물 제66호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11. 14. 22:30

본문

728x90

 

 

삼우당 문익점 (三憂堂 文益漸), 1329~1398)

경상남도 기념물 제66

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산 75-1

 

 

 

 

삼우당문익점三憂堂文益漸, 1329~1398)

경상남도 기념물 제66

고려 말의 문신·학자. 본관은 남평(南平). 첫 이름은 익첨(益瞻).

일신(日新), 삼우당(三憂堂). 강성현(江城縣지금의 경상남도 산청) 출생.

숙선(文淑宣)의 아들이다.

 

 

 1360(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여 김해부사록(金海府司錄)과 순유박사(諄諭博士) 등을 지냈다.

1363년 사간원좌정언(司諫院左正言)으로 있을 때 서장관이 되어

계품사(啓襄使) 이공수(李公遂)를 따라 원나라에 갔다.

때마침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있던 고려사람 최유(崔濡)

원나라에 와 있던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옹립하고 공민왕을 몰아내려 하고 있었다.

실제로 원나라는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봉하였고,

최유는 원나라의 군사 1만 명을 얻어 요동(遼東)까지 진군해 왔으나 13641월 최영(崔瑩) 등에게 패하였다.

 

 

정치적 격동기에 원나라에 갔던 문익점은 덕흥군을 지지했다는 혐의로 귀국과 동시에 파직되었다.

원나라에서 귀국할 때 그는 종자(從者) 김룡(金龍)을 시켜 밭을 지키던 노파가 막는 것을 무릅쓰고

목화 몇 송이를 따서 그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와

장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나누어 주고 함께 시험 재배를 하였다.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으나

3년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전국에 목화씨가 퍼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목화씨를 어떻게 제거하고 실을 어떻게 뽑을지 모르던 중

때마침 정천익의 집에 머물던 호승(胡僧)에게 물어

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 만드는 법을 배워 의복을 짜서 입도록 하였다.

이처럼 문익점은 정천익과 더불어 목화 종자의 도입, 시험재배 성공, 종자의 전국적 보급,

목화섬유를 이용한 의료제조 등 그 공로는 참으로 컸다.

조식(曺植)은 문익점의 그 공을 기려 훗날

백성에게 옷을 입힌 것이 농사를 시작한 옛 중국의 후직씨와 같다(衣被生民 后稷同).”라

시를 지어 찬양한 바 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그는 곧 전의주부(典儀主簿)가 되었고,

창왕 때는 좌사의(左司議)로 왕 앞에서 강론을 하기도 하였다.

이때 이준(李遵) 등이 사전(私田)을 다시 세우도록 함은 옳지 않다고 상소한 바 있는데,

문익점은 병을 핑계로 이에 가담하지 않았다.

문익점은 이색(李穡이림(李琳우현보(禹玄寶) 등과 더불어

사전 혁파를 비롯한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했던 것이다.

문익점은 이 사건으로 조준(趙浚)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사후 조선 태종 때 참지정부사(參知政府事) 강성군(江城君)에 추증(追贈)되었고,

1440(세종 22) 영의정과 부민후(富民侯)에 추증되었으며 諡號는 충선공(忠宣公)이다.

또한 그의 고향 단성의 도천서원(道川書院)과 전라남도 장흥의 월천사우(月川祠宇)에 사당이 세워졌다.

 

 

 

 

 

 

 

                  三憂堂文先生之墓 郡夫人八溪周氏祔

                  삼우당문선생지묘 군부인팔계주씨부

 

 

 

 

 

 

 

 

 

 

 

 

 

 

 

 

 

 

 

 

 

 

 

 

//삼우당 문익점 가계//

曾祖父 문극검文克儉

    祖父 문윤각文允恪

        父 문숙선文淑宣

            兄 문익겸文益謙

            강성군 충선공 부민후 삼우당 문익점, 江城君 忠宣公 富民侯 三憂堂 文益漸

         配位 郡夫人八溪周氏

           弟 문익부文益浮

           弟 문익하文益夏

               1남 문중용文中庸 사헌부헌납司諫院獻納

                      孫 문승로文承魯, 문승손文承孫

               2남 문중성文中誠

             3남 간의대부 문중실文中實

               4남 문중진文中晋

               5남 문중계文中啓, 정헌대부 행예조상서 성숙공正憲大夫行禮曹尙書 成淑公

 

 

 

 

                                                                                                                                                                                     벽암 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