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정공 김영근 孝貞公 金泳根
1793(정조 17)~1873(고종 10)
경기도 이천시 율면 고당리 산 15-3
효정공 김영근 孝貞公 金泳根
본관은 신안동(新安東).
字 덕부(德夫) 號 승산(勝山) 諡號 효정孝貞
1852년(철종 3) 황주목사(黃州牧使)·승정원동부승지·규장각제학(奎章閣直提學)을 역임하고,
1853년 황해도관찰사로 있을 때 연안부(延安府)에 있는 남지(南池)의 바닥을 깨끗이 쳐낸 공로로 품계가 올랐다.
1856년 강화부유수로 있으면서 장녕전(長寧殿)의 개수를 감독한 공로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1858년 공조판서·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또 남전(南殿)을 중건한 공로로 가자되었다.
1859년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로 있을 때 인릉(仁陵)을 보수한 공으로 1860년 가자되어
1861년 수원유수를 지냈다.
有明朝鮮行判敦寧府事贈右議政 諡孝貞安東金公泳根之墓 配贈貞敬夫人楊州趙氏祔左 配贈貞敬夫人文化柳氏祔右
유명조선행판돈녕부사증우의정 시효정안동김공영근지묘 배증정경부인양주조씨부좌 배증정경부인문화유씨부우
증조부 김성행金省行
조부 김이장金履長
부 김복순金復淳 황주목사
모 大邱徐氏 서명채徐命埰의 딸
효정공 김영근 孝貞公 金泳根
자 김병기金炳冀 文獻公 호조판서,이조판서,병조판서,예조판서·---繼 영의정 김좌근(金左根)
손 김용규金用圭
--------------------------------------------------------------------------------------------------------------------------
정승달구지
달구지는 장례식 전통문화인데 묘를 쓸 때 흙을 다지는 가락이다.
정승 달구지는 조선시대 말 신 안동김씨가 세도정치를 행하던 시기에
김병기의 생부로
공조판서, 형조판서, 증 우의정 효정공 김영근<1793-1873>의 장례시
전국에 명성있는 소리꾼이 모여 장례를 치른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현재까지 율면 고당1리 주민을 통하여 보전되어 오는 바
2005년도 경기민속 예술축제에 1500명이 출전한 가운데 정승 달구지가 영예의 대상을 수상한 민속예술
2006년도에 한국민속예술제에 경기도 대표로 9월30일 이틀간
정읍시 체육공원에서 제47회 민속예술제에 21개 팀이 출전한 가운데
<이천시 율면 정승달구지 보존회 회장 김양원외 80명>에서 참가하여
정읍시장상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1)
오호호호 오호이 오하
에헤에헤 에헤이 오호아
홀연히 생각하니 도시 몽중이로다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저승길을 나는 간다
이제 가면은 언제나 오나 너의 올 길이 막연하다
윤동짇달 초하룻날 꽃이 피면은 오시련가
뒷동산에다 군밤을 묻어 싹이 트면은 오시련가
에헤소리도 그만큼 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가요
(2)
오호호호 호야 호야
에이여라 달고
천만고 영웅호걸
북망산 무덤이요
부귀문장 쓸 데 없다
황천객을 면할손가
달고소리도 그만큼 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가요
오호호 호야 호야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요
수지조종은 황하수라
함경도라 백두산은
압록강이나 둘러있고
오하소리도 그 만큼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3)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뒷소릴랑은 고함을 질러
이 산천이 울리도록
우렁우렁 하여를 주소
정월이라 대보름은
단교하는 명절이라
어럴럴소리도 그 만큼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4)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오호호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에헤이 오호호아
세상천지 만물중에
사람밖에 또 있는가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뉘 덕으로 나왔는가
석가여래 공덕으로
아버님전 뼈를 빌고
아적 나절 성튼 몸이
저녁나절 병이 들어
섬섬약질 가는 몸에
태산 같은 병이드니
부르나니 어머니요
찾는 것이 냉수로다
오호하소리도 그 만큼하고
또 다음 소리로 넘어를 간다
(5)
닐리리 호하 호하
닐리리 호하 호하
여보시오 군중님네
이내 말쌈 들어보소
착한 일을 보거들랑
고양이가 쥐 잡듯이
목마른 이 물 찾듯이
배고픈 이 밥 찾듯이
착한 일을 하고 보면
아미타불 이 아니며
석가여래 이 아닌가
닐리리소리도 그만큼 하고
또 다음 소리도 넘어를 간다
(6)
오호야 호야 호야
오호야 호야 호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야 앉지를 마라
녹도꽃이야 떨어를 지면
청포 장사가 울고를 간다
(다함께)어허이
남한산성 망월사望月寺, 경기도 시도기념물 제111호 (0) | 2017.12.17 |
---|---|
남한산성南漢山城 사적 제57호 (0) | 2017.12.17 |
용산-'백범일지(白凡逸志), 70년간의 대화'', 백범기념관,의열사,삼의사,임정요인 (0) | 2017.12.16 |
울릉도-울릉도/ 육삼회 울릉도 독도여행 (0) | 2017.12.16 |
독도-독도/ 육삼회 독도여행 (0) | 201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