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씨 시조 소윤공 서한(大丘徐氏始祖 少尹公 徐閈)
서한 선생 묘(충남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 산16)
大丘徐氏遠祖少尹公墓所
대구서씨원조소윤공묘소
高麗國朝奉大夫軍器寺少尹大丘徐公神道碑銘幷序
고려국조봉대부군기사소윤대구서공신도비명병서
대구서씨 시조 서한 선생
서한(徐閈)은 고려 때 조봉대부(朝奉大夫)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고 대구서씨 시조 이다.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 등을 지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진 서진(徐晉)을 시조로 하는 달성서씨와 근원이 같지만
분파된 시기는 확실히 고증할 수 없다.
한양에 올라와 벼슬을 한 서한의 후손들과
고향에 남아 세거한 서진의 후손들이 각각 경파(京派)와 향파(鄕派)로 갈라져
대구서씨와 달성서씨로 분파하였다고도 한다.
근원이 같고 달성이 대구의 옛 이름이기도 하여 혼동되기도 하지만
엄연히 본관이 다르고 대동보(大同譜)도 따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시조 이후 2~6세의 세계(世系)는 실전되었으며,
7세 서익진(徐益進)은 고려 때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를 지냈고,
8세 서의(徐義)는 호조전서(戶曺典書)를 지내다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하자 은거하였다.
9세 서미성(徐彌性)이 새 왕조에 출사하여 안주목사(安州牧使)를 지냈으며,
이후 조선시대에 상신 9명, 대제학 6명, 왕비 1명을 비롯하여
많은 명신과 학자를 배출한 명문 거족으로 번성하였으며,
후손들은 만사공파·전첨공파·첨추공파·도위공파·봉사공파·사가공파·
서흥파·춘헌공파·승사랑공파·장원공파·훈련봉사공파·배산파 등 12개 파로 나뉘어 있다.
벽암두릉연가
高麗朝奉大夫軍器少尹徐公閈之墓 淑夫人金氏祔左
고려조봉대부군기소윤서공한지묘 숙부인김씨부좌
高麗朝奉大夫軍器少尹徐公閈之墓 淑夫人金氏祔左
고려조봉대부군기소윤서공한지묘 숙부인김씨부좌
예산-재물봉 관덕정(載物峯 觀德亭) (0) | 2018.07.25 |
---|---|
예산-대의사大義祠, 송원 인한수(松園 印漢洙), 의사 장문환, 고덕만세공원, (0) | 2018.07.25 |
예산-한국서예비림박물관韓國書藝碑林博物館 (0) | 2018.07.24 |
예산-문효공 포저 조익 묘(文孝公 浦渚 趙翼), 문화재자료 제284호/첨지중추부사 조영중 (0) | 2018.07.23 |
예산-포저 조익(浦渚 趙翼), 문화재자료 제284호, 문효공 포저 조익신도비, (0) | 2018.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