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영인산 세심사 牙山 靈仁山 洗心寺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길 180 (산양리 220)
조계종 6교구 마곡사 말사
세심사(洗心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백제 때 창건해 654년(신라 선덕여왕 14년) 자장스님이 중창했다고 하지만 입증할 문헌은 아직 찾지 못했다.
654년 창건사실이 입증된다면 무려 1359년의 역사를 간직한 현존하는 손에 꼽을 만한 역사를 간직한 사찰이다.
1530년(중종 25년)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여지도서' '범우고' 등에
'신심사(神心寺)'라는 이름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1968년 일타(日陀)와 도견(道堅)이 절 입구에 있는 '세심당(洗心堂)'이라는 부도에서 이름을 세심사로 고쳤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웅전을 비롯해 영산전·산신각·범종각·요사채가 있다.
대웅전 안에는 소조(塑造)아미타좌상이 봉안돼 있고,
불화로는 영산회상 후불탱화와 신중탱화가 있다.
신중탱화는 1794년(정조 18년) 조성한 것으로
승초(勝初),원정(元正),보심(普心),품관(品寬),대운(大云) 등이 그렸다.
영산전에는 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및 판관상 1위가 봉안돼 있다.
불화로는 영산회상도와 나한도 2점, 독성도 2점 등이 있다.
산신각에는 1935년 조성한 칠성탱화와 1937년 조성한 산신탱화가 있다.
절의 중심부에는 고려시대 유행하던, 청석(靑石)으로 만든 구층석탑(충남문화재자료 231)이 있는데,
상륜부(相輪部)가 없으며 1968년 일타와 도견이 옥신(屋身) 등의 새로운 부재를 가미해 원래의 모습을 잃었다.
부도는 본래 절 입구에 3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대웅전에서 영산전으로 오르는 계단 옆에 '송매당(松梅堂)' 부도 2기만 있다.
이밖에도 1563년(명종 18년)에 판각된 부모은중경판과 불교 의식집인 청문판(請文板) 4매가 남아 있다.
아산 세심사 다층석탑牙山 洗心寺 多層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1호
고려시대에 창건된 세심사는 원래 ‘신심사’였다가 최근에 세심사라 그 이름이 바뀌었다.
절안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3층 기단(基壇) 위로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은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탑신부는 벼루를 만드는 돌인 점판암으로 제작하였다.
3층을 이루는 기단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곳곳에 연꽃무늬를 새겨놓았다.
탑신부는 1층 몸돌만 4단의 널돌로 만들었고, 나머지 여덟 층의 몸돌은 모두 1매의 널돌로 만들었으며,
각 몸돌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2단씩이고,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네 귀퉁이는 들려 있지 않고 깎여 있다. 꼭대기에 놓인 점판암의 머리장식들은 후대에 새로 조각하여 얹어놓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돌을 다듬은 수법과 재질의 특수성·조각양식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탑으로 짐작된다.
원래는 탑신의 몸돌이 없어져 기단 위에 지붕돌만이 남아 있었는데,
1956년 일타·도견 두 스님이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목판牙山 洗心寺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木板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문화재청)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줄여서 ‘부모은중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경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唐)나라 밀종(密宗)의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등에 인용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래전부터 전승되어온 경전으로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초기에 상당히 많이 유통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약 40여종의 「부모은중경」이 도서관 등에 보존되어 있으나 〈세심사 본(洗心寺 本)〉은 보이지 않고 있다.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은 목판 13판으로 판심제(板心題)가
「은(恩)」자(字)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의 약자(略字)를 표시하였다.
권수(卷首)에서 부처님이 뼈 무더기에 예배하는 장면을 비롯하여 부모의 10가지 은혜와 부모의 어려움 8가지,
보은의 방법, 지옥에 관한 장면 등 21장면의 변상도(變相圖)가 새겨져 있다.
발문에는 ‘명종 18년에 비구(比丘) 성회(性會)가 어릴 적 돌아가신 부모를 위해 화주(化主)하여 판각하고,
70부를 찍어 배부’한 내용 등이 있고, 권말에는 경판 제작에 참여한 기술자와 시주자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경판을 통하여 세심사의 옛 이름은 신심사(神心寺)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은 현존하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발문과 권말 등의 내용을 통하여 볼 때,
조선 명종 18년(1563)에 제작된 경판으로서 당시의 세심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정황을 기록하고 있는 등
불교사 및 불교경전 연구에 있어서 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아산 세심사 소조여래좌상牙山 洗心寺 塑造如來坐像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0호
아산 세심사 소조여래좌상의 제작 기법은 신체와 머리 등을 나무로 골조를 만들어 기본 형태를 잡은 후
흙을 붙여 이목구비와 신체의 표면, 그리고 옷주름 등 세부를 표현하는 목심형 소조 기법으로 제조하였다.
감마레이저 촬영 사진상 불상 표면에는 많은 균열이 보이는데 이는 나무에 덧붙인 흙이 갈라지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조선후기 소조불에서 관찰되는 현상이며 이 밖에 제작 당시 나무와 나무를 연결하고
흙을 나무에 고정하기 위한 조선시대 꺽쇠못이 확인되었다.
불상 바닥면에서는 꺽쇠못 외에도 현대 못이 박혀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근래 불상 개금을 하면서 밑면을 보강 혹은 수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산 세심사 소조여래좌상은 제작연대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나발 및 얼굴 표현,
대의의 옷주름 표현에서 17세기 불상의 양식적 특징이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나무에 흙을 붙이는 조선후기 특유의 목심소조기법으로 불상을 제작하였으며,
내부구조를 결구하기 위한 전통식 꺽쇠못이 관찰되고 있다.
아산 세심사 소조여래좌상은 조선 후기에 조성된 소조불상으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아산 세심사 신중도 牙山 洗心寺 神衆圖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1794년 미륵사 백련정사의 신중도로 조성하여 봉안되었던 것을 현재 아산 세심사에 소장되어 있다.
세로 117cm, 가로 87cm의 작은 화폭이며, 색채의 박락과 훼손이 거의 없어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화기를 통해 건륭오십구년 갑인년 시월이십일 상단탱과 함께 조성되었으며,
조성화원은 승초, 원정, 보심, 품관 대운임을 알 수 있다.
그림의 구성은 회연을 2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세석전, 일월천자 주악천인 및 동자를 배치하고 하단에는 위태천을 위시한 천룡팔부를 배치하였다.
상단 중앙에 큼직하게 표현된 제석천은 보관을 쓰고 합장하고 신체를 거의 드러낸 채 정면을 향하였는데,
뒤에는 그림이 그려진 5곡병이 둘러져 있다.
제석천의 주위에는 일천자와 월천자가 홀을 들고 시립하였으며,
그 옆으로 주악천이 생동감있게 표현되었으며 주악동자와 공양동자상이 각각 3구씩 묘사되었다.
상단과 하단은 구름으로 구분하였는데,
하단의 중앙에는 위태천이 상반신만을 드러낸 채 합장을 하고 정면을 향해 서 있다.
옆으로는 용왕을 비롯한 4인의 천룡팔우가 무기를 들고 후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석천룡도 형식의 신중도에서는
상단의 제석도 부분과 하단의 천룡팔부 부분을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고 있는데 비하여,
이 그림에서는 상단의 제석과 권속들을 훨씬 비중있게 그리고 있어
제석천과 천룡 위주의 신중도로서는 그리 흔하지 않은 도상이어 자료적 가치가 높다.
梵鍾閣범종각
松梅堂浮屠송매당 부도
松梅堂浮屠송매당 부도
영산전 오르는 계단 우측에 봉안되어 있으며 2기 모두 ‘(송매당松梅堂)’이라는 명문이 있다.
부도를 받치는 지대석은 없으며 하대석과 탑신, 옥개석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 세심사 오르던 길가에 3기의 부도가 있었으나 “세심당(洗心堂)” 부도 1기를 도난당한 후
1999년 송매당(松梅堂)부도 2기를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靈山殿영산전
山靈堂산령당
세심사 대웅전 앞산의 석바위산
아산-평촌리 천마산 용담사 석조약사여래입상龍潭寺 石造藥師如來立像, 보물 제536호 (0) | 2019.12.21 |
---|---|
아산-인취사 삼층석탑 仁翠寺 三層石塔, 석조 아미타삼존불상 石造 阿彌陀三尊佛像 (0) | 2019.12.20 |
아산-공세리성당,牙山 貢稅里聖堂 ,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144호 (0) | 2019.12.14 |
대구-도학동승탑道鶴洞僧塔/대구 동화사 홍진국사부도,大邱 桐華寺 弘眞國師浮屠, 보물 제601호 (0) | 2019.12.07 |
대구-팔공산동화사 八公山桐華寺 (0) | 201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