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숙공 적곡 성승(忠肅公 赤谷 成勝)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대인리 산 23-2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다.
사육신 성삼문의 아버지이고
생육신 성담수(成聃壽)와 성담년(成聃年)의 아버지 성희(成熺)와는 사촌형제이다.
중종 때의 형제 정승
문경공 경재 이기(文敬公 敬齋 李芑)와
문헌공 용재 이행(文獻公 容齋 李荇) 형제의 외종조부가 된다.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이르렀다.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축출하고 즉위하자 단종 복위를 거사하였으며,
공신 연회 때 세조 3부자를 타살하려다가 실패하고 아들 4형제와 손자 4명 등
사육신 및 관련자 500여 명이 사형당할 때 함께 사형당했다.
숙종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조 때 좌찬성으로 다시 추증되어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1440년(세종 22) 경상도병마절제사로 부임하였다.
1446년 중추원 부사가 되었다.
1447년(세종 30) 중국에 파견되는 성절사(聖節使)에 임명되어 명나라의 연경에 다녀왔다.
1451년(문종1년)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조사(正朝使)의 정조부사(正朝副使)로 다시 연경에 다녀왔다.
1453년(단종 1년) 도진무로 부임하였고,
1455년 동지중추원사를 거쳐 오위도총부도총관이 되었다.
1455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강압으로 양위받자
말을 달려 집으로 돌아와 통곡하고 방에서 나오지 않으며, 조정에도 나가지 않았다.
1455년 단종이 왕숙 수양대군을 추대하는 훈신들의 압력에 의해 양위하자 병을 핑계로 사퇴하였다.
세조의 회유책으로 지중추원사에 승진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취임하지 않고
이후 아들 성삼문, 박팽년, 류성원, 하위지, 이개, 김문기, 허조, 박쟁, 박중림 등과 함께
단종복위운동 가담한다.
김종서, 황보인 등을 제거한 공신들을 축하하는 한 연회에 참여하지 않았고,
1456년(세조 2) 6월 1일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명나라 사신을 위하여 창덕궁에서 큰 잔치를 여는 그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동지중추원사인 유응부와 당상(堂上) 무신인 박쟁과 함께,
왕의 뒤에 운검(雲劒)으로 섰다가 그 자리에서 세조를 제거하고 의경세자, 해양대군 삼부자의 수급을 거둔 후,
단종을 복위하기로 계획하였으나 이를 눈치챈 신숙주, 한명회 등이 연회를 취소하고 조사하면서 체포되었다.
1456년 6월 7일 세조가 잔치의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을 폐지하라고 명을 내렸으므로 그날의 거사는 중지되고,
뒷날 임금이 곡식의 씨를 뿌리는 것을 관람하는 행사인 관가(觀稼)때에 다시 거사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김질이 거사의 실패를 염려하여 장인 정창손을 끌어드리려다 오히려 장인에게 잡혀서 대궐로 끌려가
고변하는 바람에 모의하던 이들과 함께 체포되어 그해 6월 8일 군기시 앞에서 능지처참형(凌遲處斬刑)을 당했다.
이때 그의 아들과 손자도 모두 죽음을 당했고, 조카들과 사촌 성희 등도 연좌되어 유배되었으며
아버지 성달생의 묘소는 석물을 뒤엎어버리고 부관참시되었다.
그에 대한 상세한 행장이나 전기 등이 없음은 당시 그의 혈족이 몰살되었기 때문이다.
그 뒤 숙종 때 사육신이 모두 복권되면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 뒤 정조 8년(1784년) 판서 엄숙(嚴璹)의 상소에 의하여 신원되고, 증 의정부좌찬성에 증직되었다.
단종의 묘소인 장릉(莊陵) 충신단에 배향되고, 홍주(洪州) 노운서원(魯雲書院),
공주의 동학사 숙모전(肅慕殿) 등에 제향되었다. 충숙(忠肅)의 시호가 내려졌다.
贈左贊成行都摠府都摠管昌寧成公勝之墓 贈貞敬夫人竹山朴氏祔左
증좌찬성행도총부도총관창녕성공승지묘 증정경부인죽산박씨부좌
成勝妻朴氏之墓
성승처박씨지묘
贈崇錄大夫議政府左贊成資憲大夫知中樞院事兼 五衛都摠府都摠管諡忠肅
증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자헌대부지중추원사겸 오위도총부도총관시충숙
昌寧成公諱勝之墓 配贈貞敬夫人竹山朴氏 祔左雙封
창녕성공휘승지묘 배증정경부인죽산박씨 부좌쌍봉
朝鮮國贈崇錄大夫議政府左贊成 資憲大夫知中樞院事兼 五衛都摠府都摠管
조선국증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 자헌대부지중추원사겸 오위도총부도총관
諡忠肅昌寧成公諱勝 墓碑銘幷序
시충숙창녕성공휘승 묘비명병서
충숙공 적곡 성승(忠肅公 赤谷 成勝) 신도비
朝鮮國贈崇錄大夫議政府左贊成 資憲大夫知中樞院事兼 五衛都摠府都摠管 諡忠肅昌寧成公諱勝 神道碑銘幷序
조선국증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 자헌대부지중추원사겸 오위도총부도총관 시충숙창녕성공휘승 신도비명병서
從後孫 唐津郡議會議長 素坪 耆文 敬撰
종후손 당진군의회의장 소평 기문 경찬
昌寧成氏檜谷公派 襄惠公宗中 謹豎
창녕성씨회곡공파 양혜공종중 근수
홍성-무민공 최영장군사당 기봉사 武愍公 崔塋將軍 祠堂 奇峰祠 (0) | 2020.04.14 |
---|---|
홍성-호조정랑 안협현감 박첨(朴䄡), 매죽헌 성삼문의 아버지 충숙공 성승의 장인 (0) | 2020.04.14 |
홍성-성삼문부인 정부인 연안김씨 梅竹軒 成三問 配位 貞夫人 延安金氏 (0) | 2020.04.13 |
홍성-성삼문선생유허지成三問先生遺墟址, 노은단魯恩檀, 충문사 忠文祠, 성삼문 선생 유허비 (0) | 2020.04.12 |
홍성-한양조씨 예안공 조윤찬재실 숭모재, 漢陽趙氏 齋室 崇慕齋, 헌신교위 조근 顯信校尉 趙璞 (0) | 202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