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남-해풍군 이함(海豊君 李菡), 해풍군 이함 신도비, 덕안군 이인상(德安君 李麟相)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7. 1. 23:36

본문

728x90

 

덕수이씨 봉조하 해풍군 이함(海豊君 李菡)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13

 

수정구 고등동 산13번지는 진입하기가 곤란하여 수정구 고등동 173번지 옆쪽 비포장로로 주욱가면 신도비가 나오고.....

봉조하 해풍군 이함 신도비

海豊君李公碑銘

해풍군이공비명

有明朝鮮國 秉忠奮義靖國功臣嘉善大夫奉朝賀

贈正憲大夫議政府左參贊 兼知義禁府事 海豊君 李公神道碑銘幷序

유명조선국 병충분의정국공신가선대부봉조하

증자헌대부의정부좌참찬 겸지의금부사 해풍군이공신도비명 병서

通政大夫刑曹參議知製敎 趙仁奎 撰

통정대부형조참의지제교 조인규 찬

承仕郞 兼春秋館記事官 金魯 書

승사랑 겸춘추관기사관 김노 서

봉조하 해풍군 이함(奉朝賀 海豊君 李菡)

(1470~1534)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자실(子實)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참봉을 지낸 풍성군 이의번(李宜蕃)이며,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이추(李抽)이다.

1489년(성종20) 20세에 무재(武才)로 뽑혀서 궁중을 수비하는 군관이 되었다.

1491년(성종22) 오랑캐가 北邊(북변)을 침범하자

좌의정도원수(左議政都元帥) 허종(許琮) 휘하의 장교로 종군하여 오랑캐를 정벌하는데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회군 뒤에 수의부위(修義副尉)와 정략장군(定略將軍)에 임명되었고,

1505년(연산군11)에는 건공장군(建功將軍)에 올랐다.

1506년 중종반정에 적극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포상되고,

2계급 특진하여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임명되었다.

1507년(중종2) 품계가 가선대부에 올랐고,

1508년 삭주부사 겸 병마첨절제사 해풍군(朔州府使兼兵馬僉節制使 海豊君)에 봉해졌다.

           이후 네 고을의 수령직을 역임하였는데 선정을 베풀어서 명성과 치적이 높았다.

 

1529년(중종24)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귀국 뒤에는 봉조하(奉朝賀)에 임명되었다.

1534년(중종29) 순천부사 재임중 병으로 졸하였다.

이에 국왕은 제문과 함께 예조좌랑 김기(金璣)를 보내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의정부좌참찬에 추증되었다.

비문은 조인규(趙仁奎)가 짓고

동고 김로(東皐 金魯)가 해서로 글씨를 썼으며,

1732(영조 8)에 세운 비좌 원수의 묘표는 6대손 충헌공 취촌 이집(忠憲公 醉村 李㙫)이 글씨를 썼다

 

秉忠奮義靖國功臣嘉善大夫海豐君 贈議政府左參贊李公菡之墓 貞夫人密陽朴氏祔左

병충분의정국공신가선대부해풍군 증의정부좌참찬이공함지묘 정부인밀양박씨부좌

해풍군 이함 묘역 후경

 

 

 

 

덕안군 이인상(德安君 李麟相)

 

덕안군 이인상(德安君 李麟相)

이인상[1511~1560]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정보(禎甫)이다.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의 아들로 군호는 덕안군(德安君)이다.

부인 증 정부인 안동김씨는 효소공 김작(金碏)의 손자인 판관 김홍(金洪)의 딸이다.

繕工監監役禦侮將軍李公麟祥之墓 淑人安東金氏之墓

선공감감역어모장군이공인상지묘 숙인안동김씨지묘

 

//덕수이씨 풍성군 이의번(豊城君 李宜蕃) 가계 //

증조부 춘당공 이양(李揚)

   조부 지돈녕 강평공 이명신(李明晨)

아버지 온양군수 증 좌찬성 이추(李抽)

            형님  홍산현감 이의석(李宜碩)

            형님  사간 이의무(司諫 李宜茂)

            풍성군 이의번 (豊城君 李宜蕃)

            배위 증 정부인 안동권씨, 목사 권유순(權有順)의 따님

                    장남 진사 이운(李蒀)

                    차남 생원 이염(李苒0

                    삼남 봉조하 해풍군 이함(海豊君 李菡)

                    배위 정부인 밀양박씨, 참봉 정손(楨孫)의 따님

                            손자 덕안군 이인상 (德安君 李麟相)

                            배위 증 정부인 안동김씨, 효소공 김작(金碏)의 손자인 판관 김홍(金洪)의 따님

                                    증손자 덕풍군 이통(德豊君 李通), 生父 경산현령 이원근(李元謹)

                                     배위 정경부인 문화유씨, 영의정 우복당(愚伏堂) 유전(柳琠)의 따님

                                             현손 정언 송석 이경안(松石 李景顔)

                                             현손 의정공議政公 첨지중추부사 이경민(李景閔)

                                             현손 감사공監司公 전라도관찰사 이경용(李景容)

                                             현손 판서공判書公 병조참판 이경헌(李景憲)

                                             현손 효정공孝貞公 이조판서 이경증(李景曾)

                              손자 이인서(李麟瑞)

                      사남 하원군 이심(河源君 李深)

                      오남 감찰 이아(李莪)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