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인-승정원주부 이수령(李守領), 남원도호부사 이효검(李孝儉), 경기감사 이길보(李吉甫), 용인이씨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9. 7. 23:31

본문

728x90

승정원주부 증 이조참의 이수령(李守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산8번지

 

 

通政大夫吏曹參議 龍仁李公諱守領之墓 淑夫人交河盧氏祔

통정대부이조참의 용인이공휘수령지묘 숙부인교하노씨부

 

승정원주부 증 이조참의 이수령(李守領) 묘역후경

전면은 흥덕마을 13단지 경남 아너스빌 아파트

 

 

 

 

 

 

남원도호부사 이효검(李孝儉)

 

남원도호부사 사헌부감찰 이효검(李孝儉)

승정원 주부 이수령(李守領)의 외아들로 남원부사(南原府使)역임  증 병조참판

배위 숙부인 안동권씨(安東權氏)로 화산부원군 권복(權復)의 따님으로 7남 1녀를 두었다

通政大夫南原鎭兵馬節制使 行南原都護府使 龍仁李公孝恭(儉)之墓 配淑夫人安東權氏祔左

통정대부남원진병마절제사 행남원도호부사 용인이공효공(검)지묘 배숙부인안동권씨부좌

朝鮮國嘉義大夫兵曹參判 龍仁李公孝儉之墓 貞夫人安東權氏祔左

조선국가의대부병조참판 용인이공효검지묘 정부인안동권씨부좌

 

 

 

 

 

 

경기감사 개성유수 이길보(李吉甫)

 

경기감사  개성유수 이길보(李吉,  ? ~ 1483년 성종14)

조선 전기 용인 출신의 문신이자  의관.

증조부는 청백리인 이백지(李伯持), 조부는 증 이조참의(贈 吏曹參議) 이수령(李守領),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이효검(李孝儉)이며

어머니는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권복(權復)의 딸이다.

부인은 윤사흔(尹士昕)의 딸이며,

7형제를 두어 형님은 봉상시판관 이개보(李介甫)이며, 동생들은 훈련원주부 이산보(李山甫),

홍문관직제학 이우보(李祐甫), 진사 이평보(李平甫),

현감 이원보(李元甫)와 이형보(李亨甫)가 있다. 아들 이원량(李元亮)을 두었다.

 

1457년(세조 3) 문과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58년(세조 4) 권지승문부정자(權知承文副正字)로 임명하여

한훈(漢訓), 이문(吏文)을 정통하게 하였다. 1461년(세조 7) 사간원정언으로 삼으니,

손실경차관(損實敬差官)은 공사(公私) 양쪽의 편안함을 위하여

부지런하고 삼가는 자를 위임하도록 건의하여 시행토록 하였다.

 

1464년(세조 10) 7월 천문·풍수·율려(律呂)·음양·의학·사학·시학 등 7학문을 설치하고

각 문에 나이 어린 문신을 배정하여 학업을 강(講)하게 하였는데,

특히 의학에 뛰어난 이길보가 의학문을 담당하였다.

동년 8월 양심당(養心堂)에서 왕에게 7학문을 강의할 때

의학문의 담당자로서 『소문(素問)』을 강의하였다.

1466년(세조12) 중시(重試)에서 3등으로 급제하였으며,

곧이어 발영시(拔英試)에 형조정랑(刑曹正郞)으로 응시하여 합격할 정도로 학문이 높았다.

1467년(세조13) 장수의 재질이 있는 자 30여 명에 뽑혀 『손자(孫子)』를 읽게 하였으며,

활 만드는 법을 논하게 하였다.

또한 이길보를 좌편으로 삼아 새로 지은 형전과 호전의 잘못된 곳을 상고하여 아뢰게 하니

수정할 부분을 많이 찾아내어 각각 표범 가죽을 한 장씩 내려 주었다.

 

1470년(성종1) 통훈대부 행사간원사간(通訓大夫行司諫院司諫)으로 삼았으며,

1479년(성종10) 우상(右廂)에 보내 군사를 점검하게 하였다.

여러 정승들과 병조의 당상관을 불러

안주(安州)에 진(鎭)을 옮길 것과 감옥을 다시 행하는 것의 편리함과 불편함을 의논하도록 하였다.

1481년(성종12) 승정원도승지(承政院都承旨)에 임명하였으며,

의원은 인명을 구제하는 공이 크므로,

의술이 뛰어난 사람에게는 당상의 품계를 올려서 직위를 제수하는 것에 대하여 의논하도록 하였다.

 

1482년(성종13) 황해도의 백성이 기아와 전염병으로 고통 받는 것을 아뢰어 구휼하게 하였다.

동년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에 임명되니,

김포(金浦)·교동(喬桐)·강화(江華)·통진(通津) 지방의 흉년이 심함을 아뢰어

경창(京倉)의 쌀을 내어서 진휼하게 하였다.

1483년(성종14) 산릉(山陵)에 머무를 때 중풍으로 병이 악화되니

임금이 약과 함께 내의원 신보종(申保宗)을 보내 주었다.

이길보가 세상을 떠나자 임금은 특별히 곽(槨) 하나와 유둔(油芚) 3장,

종이 80권과 15석의 쌀과 콩을 내려 주어 장례를 치르도록 하였다.

嘉善大夫京畿道觀察使 兼水軍節度使開城府留守 龍仁李公諱吉甫之墓

配貞夫人靈山辛氏祔左 配貞夫人坡平尹氏各窆

가선대부경기도관찰사 겸수군절도사개성부유수 용인이공휘길보지묘

배정부인영산신씨부좌 배정부인파평윤씨각폄

 

//용인이씨 승정원주부, 증 통정대부 이조참의 이수령(李守領) 가계//

   고조부 봉익대부 판도판서 이광시(李光時),  배위 행주기씨 소윤(少尹) 기정서(奇廷瑞)의 따님

   증조부 구성부원군 이중인(李中仁 ),  배위 천안전씨, 대제학 전신(全信)의 따님

할아버지 개성윤후 호조판서 이사위(李士渭) 배위 장흥임씨, 문하찬성사 임세정(任世正)의 딸

   아버지 강원도관찰사 전라도 관찰사 청백리 이백지(李伯持) 

   어머니 초배위 해평윤씨, 대호군 윤보(尹寶)의 따님, 育 三男

   어머니 계배위 안동권씨, 판관 권경(權敬)의 따님, 育 二男

            형님 이천부사 이수강[李守綱] 

            동생 예빈시판관 이수상[李守常] 

            동생 현감 이수례[李守禮]  

            동생 사직 이수의[李守義]  

            통정대부 승정원주부, 증 이조참의 이수령(李守領) 

            배위 숙부인 교하노씨, 판삼사 노상(盧王+尙)의 따님

                   자 남원도호부사 증 병조참판 이효검(李孝儉) 

                   배위 정부인 안동권씨, 화산부원군 권복(權復)의 따님

                          손자 봉상시판관 이개보(李介甫)

                          손자 경기감사 개성유수 이길보(李吉甫)  

                                    증손자 이원량(李元亮)

                          손자 훈련원주부 이산보(李山甫)

                          손자 홍문관직제학 이우보(李祐甫)

                          손자 진사공 이평보(李平甫),  별제

                          손자 현감공 이원보(李元甫),  

                          손자 이형보(李亨甫)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