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과천-증 영의정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카테고리 없음

by 碧巖 2023. 7. 1. 23:47

본문

728x90

 경주최씨 관가정공파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경기도 과천시 관문동 산23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신도비

 경기도 과천시 관문동 68-3

贈領議政義州判官栗菴崔公神道碑銘幷序

증영의정의주판관율암최공신도비명병서

氣巖崔公鍾洙爲先功蹟碑

기암최공종수위선공적비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行義州判官崔公諱夢亮之墓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행의주판관최공휘몽량지묘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1579~1627인조5)

조선의 문신. 자는 계명(啓明), 시호는 충의(忠毅).

병조판서 최린(崔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병판 최안세(崔安世),

아버지 증 이조판서 만휴 최확(晩休 崔確)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유경심(柳景深)의 따님이다.

 

경기도 과천(果川)에서 태어났다. 1612년(광해군4)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17년 39세에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승정원에서 주서(注書) 등을 역임하다가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로 몽진하는 왕을 호종하여 그 공으로 병조낭관에 올랐다.

1625년(인조 3)에는 의주판관으로 부임하였으며,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종현(鍾峴)에서 적을 맞아 싸웠다.

이 때 강홍립(姜弘立)이 적을 선도하는 것을 보고 크게 질책하였으나 중과 부족으로 포로가 되었다.

청나라 장수가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거절하고

동생 최몽직(崔夢稷)및 두 조카 최호(崔浩), 최준(崔濬)과 더불어 5월 14일에 같이 순절하였다.

가노(家奴) 정복잠(鄭福潛)이 公의 시신을 성하(城下)에 가매장하였는데 가노가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7년 뒤에 돌아와 고하자, 조카 첨지중추부사 최순(崔淳)이 비로소 영구(靈柩)를 고향으로 모셔왔다.

공의 아들 최순(崔淳)이 와서 이르되 처음에 관을 운구할제 뚜껑을 열고보니 칠년간이나 흙 속에 묻혀 있었으나

안색(顔色)이 늠연히 생시와 다름이 없었고 다만 활당기는 엄지 손가락의 피부와 살만이 탈락하여 있었다고 하더라

문정공 팔송 윤황(文正公 八松 尹煌)이 당시에 어사로서 공의 전사 상황을 임금께 상주하니 임금께서 지극히 슬퍼하시고 이에 예관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고 도승지에 이조참판을 증직하고 또한 정려(旌閭)를 명하고

외로운 자식들을 보살피도록 하명하였다. 그 아우와 조카에게도 영향이 미쳐 시호와 벼슬이 증직되었다.

1737년(영조2)에 예조에서 상계를 올렸는데 상감께서 받아들여 정몽량(崔夢亮)은 충절이 탁이(卓異)하다 말하시고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같이 복호(復戶)와 오결(五結)을 하사하였다.

<복호는 국가에 대한 세금과 부역을 면하여 줌. 오결은 엽전꾸러미 즉 돈꾸러미 다섯꾸러미>

 

1687년 정묘(丁卯)에 공의 서거후 60년이 되었다 하여

예조판서 권적(權樀)이 공을 위하여 시호(諡號)를 추증케하고 다른 사적도 함께 주달하였는데

모두를 물리치시고 최몽량(崔夢亮)의 충절만을 장능지(長陵誌)와 문중록(文中錄)에 올리라 하고

또 그 자손을 등용하여 특별히 자헌대부 이조판서 대제학을 증직하고 시호(諡號)를 충의공(忠毅公)이라 하였으며

충열한 선비였든 의주공(義州公)의 장한 업적을 세워 황단참반록(皇壇參班錄)에 기재하다.

순조때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묘역 후경

//경주최씨 관가정공파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 가계//

 7대조 송음거사 관가정공 최청(松蔭居士 觀稼亭公 崔淸)

 6대조 수안군수 최연지(崔淵止)

 5대조 건원릉참봉 증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최경충(崔敬忠)

고조부 부사직 증가선대부 호조참판 최광문(崔光門)

증조부 전라병마절도사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최린(崔潾)

    조부 증 가선대부 병조참판 최안세(崔安世)

    부친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만휴 최확(晩休 崔確, 1548~1617)

    모친 증 정부인 풍산류씨, 유경심(柳景深)의 따님

            형님 증 승정원 좌승지 최몽윤(崔夢尹, 1570~1649)

                        조카 부호군 증 호조판서 최항(崔沆)

                        조카 증 병조참의 문익공 최형(文益公 崔瀅)

                        조카 증 사헌부지평 최호(崔浩)===정묘호란 殉節

            형님 증 승정원 좌승지 후재 최몽열(厚齋 崔夢說, 1575~1608)

                        조카 중추부사 증 이조참판 혜당공 최순(惠堂公 崔淳, 1602~)==충의공(忠毅公) 유해안장

                        조카 증 사헌부지평 최준(崔濬, 1606~)===정묘호란 殉節

            동생 형조좌랑 최몽필(崔夢弼)

            동생 증 병조판서 문의공 오천 최몽직(文毅公 梧川 崔夢稷)==정묘호란 殉節

            동생 좌승지 최몽설(崔夢卨)

            충의공 율암 최몽량(忠毅公 栗菴 崔夢亮,1579선조12~1627인조5)==정묘호란 殉節

            배위 증 정경부인 전주이씨, 한립 이충성(李忠誠)의 따님, 현감 이언사(李彦師)의 손녀

                    장남 부사 최제(崔濟)

                            손자 진사 최상하(崔商夏)

                                        증손자 통덕랑 최조갑(崔祖甲, 1675~1728)

                   차남 집의 최결(崔潔, 1618~1696)-정려(旌閭)

                   삼남 증 첨지중추부사 최홍(崔洪, 1620~1676)

                   사남 첨지중추부사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양희 최사(楊希 崔泗, 1622~1687)

                           손자 승정원좌승지 최상림(崔商霖, 1644~1705) 

                                       증손자 훈련원첨정 송산 최중갑(松山 崔重甲)

                   오남 종옹 최온(腫翁 崔溫)

                   육남 지은 최효(芝隱 崔涍, 1624~1685)

                   칠남 성현찰방 증 동지중추부사 취암 최수(翠菴 崔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