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돈녕부사 안정공 김구덕(安靖公 金九德)
경기 여주시 가남읍 송림리 산67
안정공 김구덕(安靖公 金九德, ?∼1428(세종1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의 아들로 척약재 김구용(金九容)의 동생이다.
나이 19세에 진사와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직(蔭職)으로 산원(散員)에 보직되었다.
1379년 보승산원(保勝散員)거쳐 사헌부규정과 사헌부잡단(司憲府雜端)을 거쳐,
1396년(태조5) 형조의랑에 올랐다.
이때 형옥을 잘못 처리하였다고 하여 순군옥(巡軍獄)에 투옥되기도 하였다.
그 뒤 외직으로 나가 단양·청풍(淸風:현재의 堤川)·한주(韓州:현재의 韓山) 등
3개 고을의 군수가 되어 선정을 폈고, 1400년(정종2) 사헌부중승(司憲府中丞)이 되어
당시 판삼군부사(判三軍府事)로서 예문관학사 송제대(宋齊岱)와 함께
남경에 정사로 다녀오다가 서원군(瑞原郡) 현재 파주에 도착했을 때
접대가 기대에 모자랐다고 하여 군수 박희무(朴希茂)를 구타하며 권력을 부리던
양장공(襄莊公) 최운해(崔雲海,1347~1404)를 탄핵, 음죽(陰竹)으로 유배를 보냈다.
이어서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에 올랐고,
다시 외직으로 나가 해주(海州),광주(廣州),청주(淸州)의 세 주(州)의 목사와
연안부사와 판통례문사가 되었는데,
그때(1401년 태종원년) 김구덕(金九德)의 딸이 태종전(太宗殿)에 간택되어 명빈(明嬪)이 되자,
벼슬이 올라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가 되었다.
1412년(태종 12) 한성부윤을 지내고,
이어서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참지의정부사가 되었다.
1414년 또 한성윤(漢城尹)으로서 들어와
천추절(千秋節)을 하례하기 위하여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윽고 지돈녕부사를 거쳐 판돈녕부사에 이르렀고,
1427년(세종 9)에는 손녀(金五文의 딸)가 세자빈(문종, 휘빈)에 간택되었다.
그가 죽자 나라에서는 3일 동안 철조(輟朝)하였고, 조문을 내려 치제하였다.
안정(安靖)이란 시호(諡號)를 내렸으니,
화합함을 좋아하여 다투지 않는 것을 안(安)이라 하고,
너그럽고 즐거워하여 고종명(考終命)한 것을 정(靖)이라 한다.
그는 성품이 온량(溫良)하여 사람들을 예(禮)로서 대접하였다.
평소에 사장(詞章)을 좋아하여 시(詩) 읊기를 폐하지 않았으며 음악을 좋아하였다.
배위는 장숙택주 영월신씨로 판서 신경창(辛慶昌)의 따님이며,
아들은 김오문(金五文)이다.
묘는 경기 여주군 가남면 송림리에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첫 일요일에 시제를 봉행한다.
시호는 안정(安靖)이다.
莊淑宅主申氏之墓
장숙택주신씨지묘
//안동김씨 판돈녕부사 안정공 김구덕(安靖公 金九德) 가계//
고조부 충렬공 상락공 김방경(上洛公 金方慶,1212~1300), 안동김씨 중시조
증조부 전법판서 상장군 김선(金愃)
조부 평장사 양간공 김승택(良簡公 金承澤,?~1358)
부친 평장사 상락군 김묘(上洛君 金昴)
모친 삼한국부인 여흥민씨, 대제학 문온공 급암 민사평(文溫公 及庵 閔思平)의 따님
형님 문온공 척약재 김구용(文溫公 惕若齋 金九容,1338~1384)
형님 내서사인 김제안(金齊顔)
판돈녕부사 안정공 김구덕(安靖公 金九德, ?∼1428,세종10)
배위 장숙택주 영월신씨, 판서 신경창(辛慶昌)의 따님
자 좌군사지 총절제사 김오문(金五文)
배위 숙경택주 청주정씨, 정당문학 서원군 문민공 정총(西原君 文愍公 鄭摠)의 따님
손자 부지돈녕부사 김중엄(金仲淹)
증손자 이조참판 쌍계재 김뉴(雙溪齋 金紐)
현손 직장 증 참의 김환(金煥)
5대손 사복시정 김세영(金世英)
손녀 휘빈김씨, 문종 세자빈, 세종 첫 며느리
손녀 백천인 주부 조헐(趙歇)
손녀 연일인 판결사 정자원(鄭自源)
녀 명빈(明嬪), 태종후궁
제천-의사 박여성(朴汝成),상호군 오성당 박성열(五成堂 朴成烈),진경 박견(眞境 朴土堅),득성당 박경열(得成堂 朴慶烈) (1) | 2025.06.16 |
---|---|
제천-자양영당(紫陽影堂) 의암 류인석(毅菴 柳麟錫), 성재 유중교(省齋 柳重敎) (0) | 2025.06.14 |
세종-충무위부사정 남파 강진경(南播 康晉卿), 성균생원 강엄(康儼),신천강씨 (0) | 2025.06.10 |
음성-중부고속도로 유물전시관, 음성 양덕리 고인돌 (0) | 2025.06.08 |
고창-취석정(醉石亭), 노계 김경희(蘆溪 金景熹), 화산리 고인돌 (0)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