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한원군 이목(韓遠君 李穆),한흥군 정익공 이여발(韓興君 貞翼公 李汝發),한성군 정희공 이기하(韓城君 貞僖公 李基夏),이기한(李基漢),이기명(李基明),이기형(李基亨),이기방(李基邦),이..
충남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 산 31
한천부원군 이의배(韓川府院君 李義培) 장남 한원군 이목(韓遠君 李穆) 묘소
1599(선조 32)∼1624(인조 2). 이괄(李适)의 난 순절인.
字는 명원(明遠). 아버지는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이다.
어려서부터 힘이 세어서 장차 무장이 되기 위하여 무예를 닦아 그 기예가 절륜하였다.
무과를 응시하기 전인 26세때 1624년에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경기관찰사이자 부원수인 외삼촌 이서(李曙)의 휘하에 종군하였다. 이괄이 도성인 한양을 점령하자,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하여 개성으로부터 소덕문(昭德門)으로 서울에 잠입하다가 적에게 체포되었다.
이괄에게 끌려가서 관군의 형세에 관한 문초를 받았으나,
도리어 이괄의 반역을 꾸짖었을 뿐 그들에게 굴하지 않았다.
이괄이 혹형을 가하면서 문초를 거듭하였으나 끝내 항복을 거부하다가 참형을 당하였다.
뒷날 조정에서는 그 절의를 기리기 위하여 호조판서에 추증하고 한원군(韓遠君)에 봉하였다.
有明朝鮮國 贈資憲大夫戶曹判書兼 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 韓原君行
유명조선국 증자헌대부호조판서겸 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 한원군행
秉節校尉龍驤衛副司果 李公諱穆 貞夫人延安金氏上下合葬之墓
병절교위용양위부사과 이공휘목 정부인연안김씨상하합장지묘
한흥군 이여발 배위 증 정부인 연안이씨
李義培의 孫子 韓興君 李汝發 元配 贈貞夫人延安李氏 墓
이의배의 손자 한흥군 이여발 원배 증정부인연안이씨 묘
<이여발의 묘소는 인천시기념물 제50호로 운연동에 있다>
資憲大夫知中樞府事韓興君李公諱汝發 元配贈貞夫人延安李氏之墓
자헌대부지중추부사한흥군이공휘여발 원배증정부인연안이씨지묘
======================================================================================
한성군 정희공 이기하(韓城君 貞僖公 李基夏)묘소
1646(인조 24)∼1718(숙종 44)
본관은 한산(韓山). 字는 하경(夏卿). 아버지는 어영대장 이여발(李汝發)이다.
문음(門蔭)으로 입사해, 내외의 여러 무관직을 역임하고 1694년(숙종 20) 총융사(摠戎使)에 발탁되었다.
이 때 문수산성(文殊山城)의 축조가 완성되어 통진현을 이곳으로 옮기려 하자 이의 부당성을 주장하였다.
또 수원·남양·장단 지역의 군정 수비(軍政修備)가 크게 해이해지자,
개선책으로 무신을 수령으로 파견하자고 건의해 남양과 장단에는 문무교체(文武交替)가 되도록 하였다.
다음 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고, 1697년 한성군(韓城君)에 봉해졌다.
이어서 한성부좌윤·어영대장을 거쳐 1701년 훈련대장에 발탁되자,
대간이 인망이 가볍고 물정이 어둡다는 이유로 교체를 요구했으나,
왕이 누대에 걸친 장가의 아들이라 해 허락하지 않았다.
곧 형조참판·병조참판 등을 거쳐 다시 훈련대장이 되었는데,
1703년 병조판서 이유(李濡)의 국방비 절감을 위한 금위영(禁衛營) 폐지를 의견을 적극 반대해 저지시켰다.
이어서 우포도대장을 거쳐 훈련대장이 되어 도성의 취약점을 보완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 뒤 병조판서 윤세기(尹世紀)와 병조에 관한 사무를 논하다가 대립해,
두 사람 모두 추고(推考: 심문을 하고 징계함), 파직되었다.
다시 훈련대장이 되어 도성의 보완을 재차 건의해 7,620보(步)에 걸친 성곽축조사업을 추진했으나,
재용(財用)을 고갈시켰다는 명목으로 사간원의 맹렬한 탄핵을 받았다.
1709년 왕명을 받들어 강도(江都)를 순시하고 돌아와,
포도대장·총융사를 거쳐 1716년 지훈련원사(知訓鍊院事), 다음 해 유도대장(留都大將)에 임명되었다.
평소 새로운 도법(刀法)의 채용과 새 전차(戰車)의 제작에 힘을 기울였다.
사신(史臣)은 이기하에 대해 숙종의 총애를 받아 20여 년이나 군대통수권을 장악한
복장(福將: 지혜와 꾀는 적지만 싸움에서는 이기는 장수)이라고 평했다. 諡號는 정희(貞僖)이다.
資憲大夫工曹判書兼知訓鍊院事五衛都摠府都摠管 韓城君諡貞僖李公基夏墓 貞夫人延安李氏祔左
자헌대부공조판서겸지훈련원사오위도총부도총관 한성군시정희이공기하묘 정부인연안이씨부좌
이기하 장군 묘 및 신도비
공조판서 한성군 이기하(漢城君 李基夏, 1646~1718)
=========================================================================================
동지중추부사 이기한(李基韓) 묘소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 領 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 영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世子師行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富平府使 韓山李公基漢之墓 配贈貞敬夫人全義李氏祔左
세자사행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부평부사 한산이공기한지묘 배증정경부인전의이씨부좌
증 대사헌 이기명(李基明) 묘
資憲大夫贈司憲府大司憲 韓山李公基明之墓 配貞夫人全州崔氏祔左
자헌대부증사헌부대사헌 한산이공기명지묘 배정부인전주최씨부좌
병마첨제사 이기형(李基亨) 묘소
宣沙鎭兵馬僉制使李公基亨之墓 淑人尙州朴氏祔左
선사진병마첨제사이공기형지묘 숙인상주박씨부좌
안기도찰방 이기방(李基邦) 묘소
通訓大夫 安奇道察訪 韓山李公基邦之墓 配淑夫人東萊鄭氏祔左
통훈대부 안기도찰방 한산이공기방지묘 배숙부인동래정씨부좌
증 좌승지 이기만(李基萬) 묘소
通政大夫縣監贈左承旨韓山李公基萬之墓 配淑夫人楊州趙氏祔左
통정대부현감증좌승지한산이공기만지묘 배숙부인양주조씨부좌
묘역 후경
묘역 전경
본 묘역은 정익공 휘 여발묘소 약 2km 지점인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산95번지에
공조판서 정희공 한성군 이기하(貞僖公 漢城君 李基夏)의 묘역이
시흥시 지방문화재로 지정 관리하여 오던 중 시흥지역의 개발로 국도개발공사로 부득이
1995년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 회억리에 천묘 하였으나, 재차 한국특수전부대의 이전 부지로 결정됨에
국책사업으로 인하여 선영 충정공 휘 이의배 묘하로 천묘 이전함. 2011년 3월 25일
//한산이씨 한천부원군 충장공 이의배(韓川府院君 忠壯公 李義培) 가계//
10대조 목은 이색(牧隱 李穡)
9대조 양경공 이종선(良景公 李種善)
8대조 존양재 이계전(存養齋 李季甸)
7대조 대사성 이우(李堣)
6대조 봉화공 이장윤(李長潤)
5대조 한성군 이질(李秩)
고조부 승지공 이지훈(李之薰)
증조부 아주군 이식(李埴)
조부 동지중추부사 한양군 이흥준(李興畯, 1529~1608)
조모 증 정경부인 청주한씨, 예조참의 한승정(韓承貞)의 따님
숙부 성암 이위(醒菴 李湋, 1551~1614)
부친 아흥군 취암 이흡(鵝興君 醉菴 李洽, 1549~1608)
모친 증 정경부인 여흥이씨, 생3남2녀, 예조판서 이우직(李友直)의 따님
모친 정경부인 광주이씨, 생2남1녀, 생원 이사
모친 남양홍씨, 생1남, 영양부원군 홍요민(洪夭民)의 따님
형님 증 좌승지 취암 이경배(李敬培,1575~1642)
조카 증 좌승지 이임(李稔, 1592~1638)
동생 성암 이신배(醒菴 李信培, 1584~1631), 계 숙부 이위(李湋)
동생 충좌위부사직 이충배(李忠培)
동생 증 좌승지 이제배(李悌培, 1599~1631)
동생 통덕랑 이선배(李善培)
증 영의정 한천부원군 충장공 이의배(韓川府院君 忠壯公 李義培)
배위 증 정경부인 전주이씨
자 증 호조판서 한원군 이목(韓遠君 李穆, 1599~1624)
손자 한흥군 정익공 이여발(韓興君 貞翼公 李汝發, 1621~1683)
증손자 한성군 정희공 이기하(韓城君 貞僖公 李基夏, 1646~1718)
증손자 부평부사 이기한(李基漢)
증손자 증 대사헌 이기명(李基明)
증손자 병마첨제사 이기형(李基亨)
증손자 안기도찰방 이기방(李基邦)
증손자 증 좌승지 이기만(李基萬)
벽암 두릉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