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에 달

경주-불권헌 황정 不倦軒 黃玎, 도봉서당桃峯書堂, 추보재(追報齋)

碧巖 2019. 1. 30. 00:01
728x90


불권헌 황정, 不倦軒 黃玎

1426~1497

경주시 서악동 산 92-1 도봉서원 후편

불권헌 황정 不倦軒 黃玎

성종대의 학자로서 본관은 평해(平海), 는 성옥(聲玉), 는 불권헌(不倦軒)이다.

1474(성종 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77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 승문원교리, 삼남도 도사 등을 역임하고 연산군 때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1545(중종 1) 후손들이 공을 추모하기 위하여 묘 아래에 추보재(追報齋)를 건립하였으며,

1915년에 후손들이 도봉서당(挑峯書堂:경북문화재자료 제497)을 건립하였다.


                통훈대부 시강원찬독불권헌황선생지묘

                通訓大夫 侍講院贊讀不倦軒黃先生之墓







숭앙문


경주 도봉서당(桃峯書堂)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97

경북 경주시 서악458

보물 제65호인 서악리 삼층석탑 바로 아래편에 자리잡고 있는 도봉서당(桃峯書堂)

조선 성종대의 학자였던 불권헌(不倦軒) 황정(黃玎 1426-1497)의 학덕과 효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중종 1(1545) 지금의 위치에 추보재(追報齋)라는 묘하재실(墓下齋室)로 건립되었다.

이후 전란과 긴 세월을 거치며 훼손되었고,

이를 안타깝게 여긴 불권헌 황정의 후손들이

1915년 추보재가 있었던 자리에 도봉서당 일부를 중건한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이 서당은 숭앙문(嵩仰門), 도봉서당(桃峯書堂), 추보재(追報齋), 연어재(鳶魚齋), 상허당(尙虛堂)

모두 7동이며, 일종의 서원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치형식은 재사(齋舍)를 강당 뒤에 둔 전강당 후재사형(前講堂 後齋舍型)의 재실이다.

추보재



충목암

연어재



                         통훈대부불권헌황선생사적비

                         通訓大夫不倦軒黃先生事蹟碑





상허당


도봉서당





조부 황희석黃希錫

   부 황상길黃裳吉 진사

       불권헌(不倦軒) 황정(黃玎 1426-1497)

         자  황용중黃用中

        황처중黃處中

        황택중黃宅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