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숙종국구 광성부원군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
광산김씨 광성부원군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
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산1-12
경기도기념물 제131호
숙종국구 광성부원군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1633년인조11~ 1687년숙종13)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친정아버지로 숙종의 장인이다. 자는 영숙(永叔), 호는 서석(瑞石)·정관재(靜觀齋),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서인(西人) 예학(禮學)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분신 자결한 충정공 여남 김익겸(忠正公 汝南 金益兼)이며,『구운몽(九雲夢)』을 지은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의 형님으로, 당색으로는 서인 당원이었다가 서인 분당 시 노론에 가담하였다.
1652년(효종2) 생원·진사시 양시에 장원으로 합격한 뒤, 1653년 21세에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1659년 효종이 죽고 복상문제로 제1차 예송 논쟁이 발생하자,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1607~1689),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1606~1672), 문곡 김수항(文谷 金壽恒,1629~1689)을 따라 기년복설(朞年服說,1년복설)을 지지하였다. 1666년(현종7) 전라도 도사로 임명되었다가 사간원대사간, 승정원좌승지 등을 역임했다. 1671년(현종13) 딸 인경왕후가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국혼을 하고, 1674년 사위 숙종이 왕으로 즉위하면서 보국숭록대부 영돈녕부사로 승진하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작되었다.
1671년 예조참판으로 승진한 뒤 승문원 제조, 오위도총부 부총관, 관상감 제조, 병조참판 등을 거쳐 1672년 성균관대사성과 부제학으로 전보되었다가 홍문관과 예문관 양관의 대제학을 겸직하고, 지성균관사, 동지경연사에 동지의금부사를 겸직했다. 1673년 병조판서, 춘추관지사, 예조판서로 옮겨 정헌대부로 승진하고, 1674년 보국, 돈령부영사가 되었으며 2차 예송 논쟁 때에는 3년 복설을 주장하였다. 오위도총부 도총관, 호위대장, 전생서 제조를 역임했다. 1680년 식암 김석주(息庵 金錫冑,1634~1684), 광남 김익훈(光南 金益勳,1619~1689) 등과 함께 남인 타도에 앞장섰다. 1680년 허영(許瑛), 허새(許璽)의 옥사를 다스린 공로로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1등관에 책록되고 풍정도감 도제조를 역임했다. 사후 부조지전을 받고 1719년(숙종 45)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역에는 묘비가 2기인 것이 특징이다. 그 우측에는 1688년(숙종14)에 세워진 묘비가 있는데, 비문은 스승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짓고 아들 죽천 김진규(竹泉 金鎭圭)가 글씨를 썼다. 또 좌측에는 1699년(숙종25)에 세워진 숙종 어필(御筆碑)의 묘비가 있다. 두 묘비 모두 대석이 화려하게 조각된 특징이 있다. 특히 우측 묘비의 대석 옆면에는 두 마리 사자가 뛰어놀고 있는 모습이 조각되어있다.
1703년(숙종 29)에 건립된 신도비(神道碑)는 묘비와 마찬가지로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비문을 짓고 아들 죽천 김진규(竹泉 金鎭圭)가 글씨를 쓴 것이다. 사각의 대석 위에 비신을 세웠고 지붕 모양의 가첨석(加檐石)을 얹었다.
御筆어필
國舅保社功臣 光城府院君 諡文忠 金公萬基之墓
국구보사공신 광성부원군 시문충 김공만기지묘
1699년 숙종25년 세우다.
有明朝鮮國保社功臣領敦寧府事 光城府院君諡文忠瑞石金公萬基永叔之墓 西原府夫人韓氏祔左
유명조선국보사공신영돈녕부사 광성부원군시문충서석김공만기영숙지묘 서원부부인한씨부좌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 신도비
광성부원군 재실 경모재(敬慕齋)
//광산김씨 숙종국구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 가계//
증조부 문원공 사계 김장생(文元公 沙溪 金長生,1548~1631)
종조부 신독재 김집(愼獨齋 金集,1574~1656)
조부 증 영의장 허주 김반(虛舟 金槃,1580~1640)
백부 대제학 김익희(金益熙,1610~1656)
숙부 충헌공 광남 김익훈(忠獻公 光南 金益勳,1619~1689)
부친 광원부원군 충정공 여남 김익겸(忠正公 汝南 金益兼,1615~1637)
모친 정경부인 해평윤씨, 참판 윤지(尹墀)의 따님
동생 대제학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1637~1692)-구운몽, 사씨남정기
대제학 광성부원군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1633~1687), 숙종 국구
배위 서원부부인 청주한씨, 군수 한유량(韓有良)의 따님
장남 호조판서 광은군 경헌공 만구와 김진구(景獻公 晩求窩 金鎭龜,1651~1704)
손자 대호군 충문공 북헌 김춘택(北軒 金春澤,1670~1717)
증손자 대호군 김덕재(金德材)
현손 김두추(金斗樞)
손자 전라관찰사 익헌공 척재 김보택(翼獻公 惕齋 金普澤,1672~1717)
손자 성균관 대사성 충정공 백운헌 김운택(忠貞公 白雲軒 金雲澤,1673~1722)
손자 죽헌 김민택(竹軒 金民澤,1678~1722)
손자 전라도관찰사 평재 김조택(平齋 金祖澤)
손자 익릉봉사 증 이조참의 묵헌 김복택(默軒 金福澤,1682~1740)
증손자 학생 김득재(金得材)
손자 김정택(金廷澤), 만죽당 김연택(晩竹堂 金延澤)
차남 대제학 문청공 죽천 김진규(文靖公 竹泉 金鎭圭,1658~1716)
따님 숙종정비 인경왕후(仁敬王后) 광산김씨
삼남 김진서(金鎭瑞)
사남 덕보 김진부(德甫 金鎭符)
벽암두릉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