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동-명옥대(鳴玉臺), 창암정사(蒼巖精舍), 낙수대(落水臺)

구름에 달

by 碧巖 2021. 9. 17. 22:58

본문

명옥대(鳴玉臺),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산74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창암정사(蒼巖精舍), 낙수대(落水臺)

명옥대(鳴玉臺)

"물이 옥소리를 내며 떨어지는 누대"

명옥대(鳴玉臺)는 대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친구들과 놀던 곳으로,

이황(李滉)1516  16살 때 봉정사(鳳停寺)에서

사촌동생 이수령(李壽苓)과, 공생 권민의(貢生 權敏義), 강한(姜翰)과 함께 3개월 정도 독서를 했다고 하며,

50년이 지난 1566년 지병을 사유로 벼슬을 그만두고 이곳에서 강학을 했다고 한다.

정자의 옛 이름은 퇴계의 시에 나오는 "창암(蒼巖)" 이라는 두 글자를 따 창암정사(蒼巖精舍)라 하고,

이름을 낙수대(落水臺)라 불렀으나,

중국 서진의 시인 육사형(陸士衡)의 "초은시(招隱詩)"에 나오는

"나는 샘이 명옥을 씻겨 내리네(飛泉漱鳴玉비천수명옥)"라는 구절을 따와, 명옥대로 바꾸었다고 한다.

정자는 자연석 초석 위에 원형 통재기둥을 세우고 누마루를 설치하였는데,

지금의 건물은 1920년 개수한 것이라 한다.

정자 앞에는 "명옥대사적비(鳴玉臺史蹟碑)"가 있어

퇴계 이황(退溪 李滉)이 이곳에서 강학을 했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으며,

암반에는 "명옥대(鳴玉臺)"라는 암각서(巖刻書)가 남아 있어,

"일죽재 신내옥(一竹齋 辛乃沃), 화보 이재(和甫 李宰), 풍암 문이세(楓菴 文緯世),

석정 윤강중(石亭 尹剛中), 석문 윤흠중(石門 尹欽中), 석천 윤단중(石泉 尹端中) 형제가

1567년 여름에 이곳에서 수풀을 헤치고 대(臺)를 쌓고 시를 지어 퇴계 선생의 뜻을 기렸다 한다.

창암정사(蒼巖精舍)                                                명옥대(鳴玉臺)

 

 

                                            爲報溪翁坐詠時

                                             위보계옹좌영시     일찍이 계옹이 시를 읊었으니

                                            此地經遊五十年

                                            차지경유오십년      오십년 전 그 어느 날 이곳에 와서 노닐제

                                            韶顔春醉百花前

                                            소안춘취백화전      온갖 꽃들 앞에서 봄빛에 취했더니

                                            只今攜手人何處

                                            지금휴수인하처      손잡고 함께 온 사람들 이젠 어디로 갔는가

                                            依舊蒼巖白水懸

                                            의구창암백수현      푸른 바위 흰 폭포만 예와 다름없을 뿐일세.

                                            白水蒼巖境益奇

                                            백수창암경익기      푸른 바위 흰 물굽이 그 경계가 기이하거늘

                                            無人來賞澗林悲

                                            무인래상간림비      손님네 가고나면 시내 숲도 슬퍼하리리

                                            他年好事如相問

                                            타년호사여상문      다른 때 호사자가 예 와서 묻거든

                                            爲報溪翁坐詠時

                                            위보계옹좌영시      일찍이 계옹이 시를 읊었었다 하여주오

鳴玉臺史蹟碑명옥대사적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