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원-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6대손

구름에 달

by 碧巖 2009. 8. 6. 01:53

본문

728x90

<이 분들의 묘소는 2020년 윤달에 후손들에 의하여 여주쪽 종중 묘역으로 이장되었음>

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29-1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의 6대孫  취죽 이응시(翠竹 李應蓍) 신도비

朝鮮國 贈資憲大夫吏曹判書  兼兩館大提學 行嘉義大夫吏曹參判  兼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全州李公神道碑文

조선국 증자헌대부이조판서  겸양관대제학 행가의대부이조참판  겸동지경연의금부춘추관성균관사오위도총부부총관전주이공신도비문

通訓大夫 行司憲府掌令 晉陽鄭宗魯 謹撰

통훈대부 행사헌부장령 진양정종노 근찬

五代孫 大錫 謹篆

오대손 대석 근전

後學 綾城后人具會升 謹書

후학 능성후인구회승 근서

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

본관 전주(全州).  字 군서(君瑞),  號 취죽(翠竹)·죽창(竹窓).

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1594(선조27)∼1660(현종1). 조선 중기의 문신.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의 6대손으로

증조부는 풍양령 이춘(豊陽令 李春)이며,  조부는 이몽상(李夢祥)은 사헌부감찰 증 이조판서로서

아버지는 이정신(李廷臣)으로 경상도충청도관찰사를 지냈다.  어머니 정휴복(鄭休復)의 따님이다.

1633년(인조1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43년 장령(掌令)이 되고,

1645년(인조23)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갔다가

1646년 귀국한 뒤 다시 장령이 되었다.

이 해에 여색을 멀리할 것을 청하는 소를 올려 왕의 노여움을 사서 유배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년) 직산에 이배되었다가

1650년 풀려나와 사간·교리·승지·대사성·도승지를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으나,

1652년(효종3) 뇌물수수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1654년 함경도관찰사로 파견되었는데, 도내의 궁벽진 곳을 스스로 돌아보고 미비점을 계(啓)로 올렸다.

이로 인해 왕으로부터 표리(表裏 : 왕이 내린 안팎의 옷감) 일습이 하사되었다.

1655년 도민이 청나라에 월경하여 살인한 사건으로 청나라의 항의를 받고 파직 당하였다.

1656년(효종7) 다시 도승지에 기용되고, 1658년 대사간, 이듬해 이조참판으로 승진되었다.

1659년 효종이 졸하자『효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성품이 강직하고 생활이 검소하며 관직에 충실하여 사람들이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贈資憲大夫吏曹判書  兼弘文館藝文館大提學  行嘉義大夫吏曹參判  兼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

증자헌대부이조판서  겸홍문관예문관대제학  행가의대부이조참판  겸동지경연의금부춘추관

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  全州李公應蓍之墓  配貞夫人草溪鄭氏祔  配貞夫人南陽洪氏祔

성균관사오위도총부부총관  전주이공응시지묘  배정부인초계정씨부  배정부인남양홍씨부

 

翠竹公 李應蓍 취죽공 이응시

1970년(단기4303년)3월 25일

 公을 서울시 영등포구 서초동의 개발로 인하여 이곳 수원시 이의동 산29-1번지로 이장하였으며,

1987년 4월 4일에 강원도 횡석군 공근면 학담리의 초계정씨 종산에 계시던

배위 정부인 초계정씨의 묘소를 초계정씨 종중의 협조로 이곳으로 합폄하다.

貞夫人草溪鄭氏 遷墓事由 略記

정부인초계정씨  천묘사유 약기

 

//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가계도//

  6대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5대조 영양군 이함(英陽君 李涵)

고조부 오성수 이신손(烏城守 李神孫)

증조부 풍양령 이춘(豊陽令 李春)

   조부 이몽상(李夢祥) 사헌부감찰 증 이조판서

아버지 이정신(李廷臣) 경상도충청도관찰사

어머니 정부인 동래정씨 정휴복(鄭休復)의 따님, 충정공 사암 정대년(忠貞公 思菴 鄭大年)의 손녀

         형님 이응명(李應蓂) 현감

         형님 이응협(李應浹)

         취죽 이응시 翠竹 李應蓍(1594~1660)

         배위 정부인 초계정씨, 목사 증 찬성 정약(鄭爚)의 따님,  좌찬성 정종영(鄭宗榮)손녀, 育 二男 一女

         배위 정부인 남양홍씨, 참봉 홍욱(洪勗)의 따님, 정자 홍사학(洪思學)의 손녀, 育 三男

               장남 이태징李泰徵 홍문관저작

               차남 이호징李虎徵 성균관진사

               삼남 이의징李義徵 형조판서 겸훈련대장

               사남 이운징李雲徵 전라도관찰사

               오남 이석징李碩徵 황주목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