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의 역사와 전통
성공회(聖公會, Anglican Church, Episcopal Church)는 전세계 170여 개국에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지역 성공회 교회(관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자는 약 1억명 정도인 기독교 교회이다.
지역적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서기 175년경 이미 영국에 교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성공회의 기원은 초대교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성공회는 6세기에 로마교회와 병합되어 발전을 거듭해 오다가 16세기에 대전환을 맞으며,
16세기 종교개혁의 파장이 영국에도 큰 영향을 주어
결국 루터교, 장로교의 탄생과 더불어 영국은 3대 종교개혁의 온상이 된다.
바로 이 개혁의 과정 속에서 성공회는 몇가지 중요한 신앙적 특성을 형성하였다.
서울시 유형문화제 제35호
성당 건물은 전형적인 로마네스크 건축양식으로
한국의 전통건축양식이 섞여 있는 독특한 건물형태를 하고 있다.
첫째, 성공회는 중용(中庸, Via Media)의 신앙
구교와 신교 사이의 극단적인 것을 지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포용하려는 전통을 세웠으며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세계교회 일치운동(에큐메니칼 운동)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둘째, 성서와 함께 하는 신앙
모든 교파가 성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성공회는 일찍부터 누구나 성서를 읽을 수 있도록 이미 14세기에
라틴어 성서를 영어로 번역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16, 17세기에는 영어 성서를 번역하는 빛나는 기록을 낳았다.
King James Version(흠정역 성서)은 이러한 성공회 전통의 산물이다.
셋째, 초대교회의 신앙
성공회는 최초의 교회 분열인 동서교회(로마교회와 정교회)로의 분열 이전의 초대교회 신앙을 지킨다.
그래서 성공회는 공적인 신앙고백으로 교회분열 이전의 모든 교회가 같이 고백한
사도신경과 니케아신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대교회의 예배형태인 말씀과 성만찬이 하나로 어울린 성찬례를 통하여 하느님을 예배드린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성공회는 성서에 근거하고,
전통을 존중하며 학문과 이성에 의해 재해석되는 공번되고(가톨릭적이고),
사도적인 신앙을 지켜왔으며 지금도 이를 선포하고 있다.
▲ 성공회성당 건물좌측 날개 부분에 위치한 순교추모비 ▼
기둥은 모두 12개가 지탱하고 있는데 열두제자를 상징한다고
성당 건물은 전형적인 로마네스크 건축양식으로
한국의 전통건축양식이 섞여 있는 독특한 건물형태를 하고 있다.
지붕에는 대들보와 서까래를 올리고 그 위로 흙과 기와를 올리고 외벽은 화강석과 적벽돌로 마감
영국 황태자 방문시 이국땅에서 전사한 자국의 병사들을 추모하는 명판이라 한다.
지하성당의 오르간
한국에 처음 들어와 이곳 성당을 담당하셨던 주교님의 시신이 있는 곳으로
중세시대 때 처럼 지하성당에 모신 것이라 한다.
경운궁 양이재
경운궁 양이재(慶運宮 養怡齋)는 대한제국 광무 9년(1905년)에 세워진 건물이다.
경운궁 양이재는 1906~1910년 사이에 대한제국 궁내부宮內府 산하 황족과 귀족들의
근대식 교육기관인 수학원修學院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근대 건축사적 의미가 크다.
2006년 9월 19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초기에는 함희당(咸喜堂)이란 건물과 연결되어 있었다.
원래 건물은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구성된 규모로, 내부에는 온돌방과 마루, 누마루가 있었으며,
지붕에는 양성 바름에 용두(龍頭)를 써서 격조를 높였다.
함희당은 1960년에 헐렸으나, 양이재 뒷편에 복도가 일부 남아 있다.
이 건물은 원래는 일제 강점기 직전까지 귀족의 자제 교육을 전담하던 수학원으로 쓰였는데,
일제 강점기인 1912년 대한성공회가 이를 임대하여 쓰다가 1920년에 매입한 후 건물을 옮겼다.
한 때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사무실로 사용되었으나,
2006년 9월 19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현재 양이재는 주교관으로서 서울교구장의 집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이 건물 바로 옆에는 주한 영국대사관,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이 위치해 있다
2015크리스마스에--동수원성당,정자동주교좌성당 (0) | 2015.12.26 |
---|---|
명동성당 (0) | 2015.12.26 |
신흥사 설악산 (0) | 2015.12.02 |
서산 간월암, 도비산 부석사 (0) | 2015.10.29 |
수원-봉녕사 승가대학 - 세주묘엄박물관 (0) | 201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