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정몽주선생묘(圃恩 鄭夢周)
경기도기념물 제1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곡로 45
포은 정선생 신도비
포은 정몽주(圃恩 鄭夢周)1337.12~1392.4
정몽주는 공민왕 9년(1360)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치다가 공양왕 2년(1390)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어,
이성계가 새로 나라를 세우려는 것을 막으려다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나중의 조선 태종)에 의해
개성의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이방원의 회유를 거절한 ‘단심가(丹心歌)’라는 시조로도 유명하며,
고려의 3은(三隱-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 중의 한 사람이다.
조선 태종 1년(1401) 영의정으로 높임을 받았고 중종 때에는 문묘(文廟)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선생이 순절한 후 풍덕군(개성 인근)에 묘를 썼다가
후에 고향(경상북도 영일과 영천) 중 한곳인 영천으로 이장할 때,
용인 수지 풍덕천에 이르자 앞의 명정(銘旌, 다홍 바탕에 흰 글씨로 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성씨를 기록한 깃발)이
바람에 날아가 지금의 묘소에 떨어져 이곳에 묘를 썼다고 한다.
단분(單墳)으로 묘비, 문인석 1쌍, 상석(床石), 혼유석(魂遊石) 등은 종전의 것이나 장명등, 망주석, 석양(石羊),
곡담, 호석(護石), 난간석 그리고 별도의 새 문인석 1쌍 등은 1970년에 추가설치 하였다.
묘비에는 고려시대의 벼슬만을 쓰고 조선의 시호를 기록하지 않아 두 왕조를 섬기지 않은 뜻을 분명히 하였다.
묘역 입구의 신도비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찬(撰)하고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이 글을 써서
조선 숙종 22년(1696)에 건립하였다.
비문에는 왕조와 시대를 뛰어넘은 정몽주의 충절과 높은 학식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정몽주 선생은 고려말(1337~1392) 충,효,인,의로 일관되게 생활한 대학자시며
과거에 세차례나 장원급제할만큼 천재로 당시 어지러운 국정을 바로 잡으려한 정치가이며,
왜, 원, 명나라에 사신으로 나가서 명성을 떨친 외교관이시며
성리학의 태두로 불리신 이색 선생으로부터 "東邦理學之祖"라는 찬사를 받을만큼 성리학의 으뜸가는 학자이셨다.
또한 포은은 효자 가운데서도 제일 처음 생려효자였다.
고려 공민왕이 <정몽주가 사는 집에 효자정려를 세워서 그 효성을 밝게 하여라>고 한 것이다.
고려, 조선 모두 합하여 생려효자가 여덟이 있는데, 포은 선생이 그 처음이다.
그의 관향은 경북 포항의 영일(迎日)이고 출생지는 경북 영천(永川)이다.
1337년 영천 우항리에서 정운관의 아들로 태어났고 정몽란,정몽룡을 거쳐 청년기에 정몽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네분의 임금을 모시면서 성균관 박사,성균관 대사성 예문관 대제학 문하찬성사를 거쳐
이성계와 같이 공양왕을 옹립하고 예조정량,예문관 대제학,문하찬성사,수문하시중 등 많은 벼슬을 하였다.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하자 단심가로 충절을 지키다 이방원에 의해 1392년 4월 4일 개성 선죽교에서 순절하였다.
시신은 우탁의 가문 양호당 우현보과 송악산 스님들에 의해 수습되었다.
개성 인근 풍덕군(개풍)에 모셨던 묘소를 1406(태종6)년 3월 태종의 명에 의해 고향인 영천으로 천묘하게 되었는데
구전에 의하면 면례행렬이 지금의 수지 풍덕천 근처를 지나며 잠시 쉬는 사이에
명정이 휘몰아친 돌풍에 날려 떨어진 곳이 문수산 중턱 145m인 지금의 용인 능원리이며
명당으로 판명되어 이곳에 안치하게 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부인 경주 이씨와 합장되어 있다. 15세기 초반 영일 정씨 동족촌이 이곳으로 이거하여
장남 중추원사 정종성, 손자 정보 등 많은 정씨 묘소가 산재해 있다.
정몽주 비각을 지나 묘역에 들어서면 홍살문이 먼저 경계를 한다. 사악한 기운을 막아내기 위한 풍수적 무기이다.
좌측으로 경모사,모현당 그리고 제를 지내기 위한 재실인 영모재(永慕齋)가 있다.
이 글씨는 송시렬의 글씨로 유명하다.
우측에는 유명한 포은의 단심가(丹心歌)와 그의 어머니가 지었다는 백로가(白鷺歌) 시비가 서 있다.
포은 묘소 좌측 약간 위쪽에 손자 정보(鄭保)의 묘가 있고 포은의 묘소 우측에 저헌 이석형(樗軒 李石亨)의 묘가 있다. 이석형(1415~1477)은 포은의 증손녀의 배위로서 포은의 손자 정보(鄭保)의 사위이다.
1441년(세종23) 사마시에 합격 문과 장원급제후 14년간 집현전에서 여러 관직을 거쳤다.
사헌부 대사헌 등 요직을 거쳤으며 저서로 대학연의,저헌집 등이 유명하다.
그의 선대로 올라가면 연안이씨의 시조 되는 사람은 통일 신라 시대 당나라 소정방을 따라온 이무(李茂)장군이다.
신라와 당이 백제를 칠 때 중랑장으로 공이 컸다.
백제가 망한 뒤 당나라가 백제를 차지하려는 것을 막고 신라에 귀화하여 공신이 되었다.
나라로부터 연안백(延安伯)을 하사받았다.
연안이씨 가문은 이석형을 필두로 많은 인재를 배출하여
8명의 정승,6명의 대제학이 42명의 판서가 나와 그 명성을 떨쳤다.
포은 묘역 입구에 연안이씨 비각공원이 있고 거기에 저헌 이석형의 신도비가 있다.
포은의 어머니가 지었다는 백로가(白鷺歌) 시비
포은의 단심가(丹心歌)와 그의 어머니가 지었다는 백로가(白鷺歌) 시비
정몽주鄭夢周 1337.12~1392.4
고려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정몽주(鄭夢周)의 본관은 영일. 초명은 정몽란(鄭夢蘭) 또는 정몽룡(鄭夢龍),
字는 달가(達可), 號는 포은(圃隱)이며, 諡號는 문충(文忠)
1337년 12월 영천군(永川郡) 치소 동쪽에 있는 우항리(愚巷里)에서 태어났다.
고조는 봉익대부판도판서(奉翊大夫版圖判書) 정림(鄭林)이며,
증조는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정인수(鄭仁壽),
조부는 직장동정(直長同正) 정유(鄭裕)이다.
아버지는 성균복응재생(成均服膺齋生) 정운관(鄭云瓘)이며,
어머니는 영천 이씨(永川李氏)로 선관서승(膳官署丞) 이약(李約)의 딸이다.
부인은 경순택주(敬順宅主) 경주 이씨(慶州李氏)로 판사(判事) 이사빈(李士贇)의 딸이다.
슬하에 2남 3녀를 두니 아들은
참의(參議) 정종본(鄭宗本)과
성균사예(成均司藝) 정종선(鄭宗善)이며,
사위는 이장득(李長得)과 한승안(韓承顔), 성익지(成翼之)이다.
정몽주는 1355년 정월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간 여묘를 하였다.
1357년 여름에 어사대부(御史大夫) 신군평(申君平)이 감시(監試)하였는데 3등으로 합격하였다.
1360년 정당문학(政堂文學) 김득배(金得培)가 지공거(知貢擧)가 되고,
추밀직학사(樞密直學士) 한방신(韓方信)이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고시하였는데,
정몽주는 삼장(三場)에서 으뜸을 차지하여 첫째로 뽑혔다.
1362년 3월에 예문검열(藝文檢閱)에 제배(除拜)되었다.
이때 김득배가 홍건적을 격파하고 경성을 회복하였으나, 도리어 김용(金鏞)에게 모해당하여 상주에서 효수되었는데,
정몽주는 스스로 김득배의 문생이라 하여 임금에게 청하여 그 시신을 거두어 장사하였다.
동년 10월에 수찬(修撰)에 올랐으며, 1363년 5월 낭장 겸 합문지후(郞將兼閤門祗候)에 제배되었다.
동년 7월에 선덕랑(宣德郞) 위위시승(衛尉寺丞)에 제배되었다.
동년 8월에 종사관으로서 동북면도지휘사(東北面都指揮使) 한방신(韓方信)을 따라 화주에서 여진족을 징벌하였다.
1364년 2월에 여진의 삼선(三善)·삼개(三介)를 패배시키고 돌아와
조봉랑(朝奉郞)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에 제배되고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1365년 전농시승(典農寺丞)이 되었는데, 정월에 어머니 변한국부인의 상을 당하였다.
이때 상제(喪制)가 문란하였으나, 정몽주는 3년간 여묘(廬墓)하여 애례(哀禮)를 갖추어 다하니,
일이 임금에게 알려져서 그 문에 정표하였다.
1367년 복을 벗고 나서 통직랑 전공정랑에 제배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곧 예조정랑 겸 성균박사(成均博士)에 제배 되었다.
동년 중구절(重九節)[음력 9월 9일]에 영주(永州)[현 영천] 치소에
부사(副使) 이용(李容)과 함께 명원루(明遠樓)[현 서세루(瑞世樓) 또는 조양각]를 창건하였다.
1368년 봉선대부(奉善大夫) 성균사예 지제교(成均司藝知製敎)에 제배되었다.
이때부터 모든 제수에 삼자(三字)와 관각(館閣)의 벼슬을 겸대하였다.
1371년 중의대부(中議大夫) 태상소경 보문각응교 겸 성균직강(太常少卿寶文閣應敎兼成均館直講)에 제배되었다.
동년 12월에 중정대부(中正大夫) 성균사성(成均司成)에 제배되었다.
1372년 3월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홍사범(洪師範)을 따라 북경에 가서 촉(蜀)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고 아울러 자제들의 유학을 청하고서 돌아오다가 바다 가운데의 허산(許山)에 이르러 태풍을 만났다.
홍사범은 익사하고 정몽주는 구사일생으로 표류 13일 만에 구제되었다.
당시 황제가 이런 사실을 듣고 배를 갖추어 도로 데려가서 후하게 돌봐주었다.
1373년 7월 북경에서 돌아와 황제의 명을 선포하였다.
1372년 2월에 경상도안렴사(慶尙道安廉使)에 제배되었고,
1375년 우사의대부 예문관직제학 충춘추관수찬(右司議大夫藝文館直提學充春秋館修撰)에 제배되었다.
곧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에 제배되었으나,
이때 공민왕이 시해되고, 김의(金義)가 명나라 사신 채빈(蔡斌)을 죽였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였다.
감히 정몽주가 큰 의리를 아뢰어,
“요즘의 변고는 빨리 상세하게 주달(奏達)하여 중국으로 하여금 분명하게 알아서 의혹을 없게 하여야 할 것인데,
어찌 미리 스스로 의심하고 이반하여 백성에게 화를 만들어 줄 수 있겠습니까?”하니,
그제야 비로소 판종부시사 최원(崔源)을 보내어 상(喪)을 고하고 시호(諡號)를 청하였다.
때마침 북원(北元)이 사신을 보내옴에 이인임(李仁任)이 맞아들이려 하였는데,
정몽주는 박상충(朴尙衷)· 문온공 김구용(金九容) 등 십여 인과 함께 상서하여 다투고, 대간도 이인임을 논핵하니,
권신들이, “간관이 재상을 논하는 것은 작은 일이 아니다”라고 하여 모두 하옥하여 장류(杖流)하였다.
정몽주도 죄를 얻어 언양(彦陽)에 귀양갔다.
1377년 3월에 서울로 돌아와 동년 9월에 전대사성으로서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
1378년 11개월만인 7월에 일본에서 돌아왔는데,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원요준(源了浚)이 주맹인(周孟仁)을 시켜 함께 오게 하고,
잡혀갔던 윤명(尹明)·안우세(安遇世) 등 수백 인을 돌려보냈다.
고려수문하시중정몽주지묘
정순대부(正順大夫) 우산기상시 보문각제학 지제교(右散騎常侍寶文閣提學知製敎)에 제배되었다.
1379년 4월에 봉익대부(奉翊大夫) 전공판서(典工判書) 진현관제학(進賢館提學)에 제배되었고,
동년 윤 4월에 봉익대부 예의판서(禮儀判書)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에 제배되었다.
동년 10월에 전법판서(典法判書) 진현관제학에 제배되었다. 1380년 3월에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제배되었다.
가을에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전라도 운봉(雲峰)에 가서 왜를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
동 11월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보문각제학 상호군(密直提學 商議會議都監事 寶文閣提學 上護軍)에 제배되었다.
1381년 2월에 성근익찬공신(誠勤翊贊功臣)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부사 상의회의도감사 보문각제학 동지춘추관사 상호군
(密直副使 商議會議都監事 寶文閣提學 同知春秋館事 上護軍)에 제배되었고,
동년 9월에 첨서밀직사사(僉書密直司事)로 옮겼다.
1382년 4월에 주족금은 진공사(輳足金銀進貢使)로 경사에 갔는데,
요동에 이르니 도사(都司)의 차인(差人)이 성지(聖旨)를 적어 보이되
“세공(歲貢)을 수년의 물건을 합하여 한꺼번에 하니, 그 뜻이 정성스럽지 못하다”하여
입경을 허락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돌아왔다.
동년 11월에 또 청시사(請諡使)로 경사에 갔고, 1383년 정월에 요동에 이르니,
도사(都司)에서 “들이지 말라는 칙명이 있다”라며 진헌하는 예물만 받고 입경을 허락 않으므로 그대로 돌아왔으며,
8월에 동북면 조전원수로 다시 이성계를 따라 정벌에 나아갔다.
1384년 7월에 광정대부(匡靖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제배되었다.
이때 국가에 크게 말썽이 많아서 황제가 노하여 우리에게 출병하려 하고 사신을 장류(杖流)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성절(聖節)을 축하하러 가야 하는데,
사람들이 눈치를 보고 피하니, 임견미(林堅味)가 정몽주를 천거하였다.
임금이 불러서 면대하여 이르기를,
“경은 고금에 널리 통하고 또 내 뜻을 알거니와,
이제 진평중(陳平仲)이 앓아서 가지 못하므로 경으로 갈음하였는데, 경의 뜻은 어떠한가?”하니, 대답하기를
“임금의 명은 물불도 피하지 않는 것인데, 더구나 천자를 뵈러 가는 일이겠습니까.
그러나 우리나라는 남경에서 무릇 8천 리나 떨어져 있으니,
발해에서 순풍을 기다리는 것을 말고도 실로 90일 길입니다.
이제 성절까지 겨우 60일이 남았는데 순풍을 기다리는 열흘을 빼면 남은 날이 겨우 50일이니,
이것이 신의 한스러운 일입니다” 라고 하였다.
임금이 “어느 날에 길을 떠나겠는가?”라고 물으니 “어찌 감히 머물러 자겠습니까?” 하고,
밤낮으로 서둘러 가서 성절일(聖節日)에 맞추어 표문(表文)을 바쳤다.
황제가 표문을 보고 날짜를 헤아리고 말하기를,
“너희 나라 배신(陪臣)이 서로 사고를 핑계하여 오려 하지 않다가 너를 보냈을 것이다.
너는 전에 촉(蜀)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러 온 사람이 아닌가?”하고 묻자
정몽주가 당시 배가 부서졌던 정상을 죄다 아뢰니, 황제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중국말을 알겠다”라며 특별히 위로하고 예부에 명하여 예대(禮待)하여 보내게 하였다.
1385년 4월에 경사에서 돌아왔고, 동지공거(同知貢擧)로 우홍명(禹洪命) 등 33인을 뽑았는데,
그때 사람들이 마땅한 선비를 뽑았다고 일컬었다.
1386년 2월에 경사에 가서 임금의 편복(便服)과 배신(陪臣)의 편복 및 조복을 청하고,
이어서 세공을 감면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
공의 주대(奏對)가 상세하고 명백하여 5년 동안 바치지 못한 것과 늘려 청하였던 세공의 상수(常數)를 면제받았다.
7월에 경사에서 돌아와 황제의 명을 선포하게 되었는데, 거기에 이르기를,
“세공을 둔 것은 중국이 어찌 이것에 기대어 가멸하려는 것이겠는가.
삼한의 성사(誠詐)를 알아보는데 지나지 않을 따름이다.
표문에 중화(中華)의 제도를 쓰고 오랑캐의 제도를 바꾸겠다고 한 것은
그 임금과 신하가 힘써 행하기에 달려있을 따름이다.
표문에 백성이 크게 어렵다는 것은 사자가 돌아갈 때에는 짐이 다시 약속하여 세공을 삭제하였거니와
3년에 한 번 조빙하여 좋은 말 50필을 바쳐 종산(鍾山) 남쪽 목야(牧野)의 무리에 보태어,
길이 서로 보수하라”고 하니 임금이 매우 기뻐하여 의대·안마를 내렸다.
정몽주는 1387년에 청하여 해직되고 영원군(永原君)에 봉작되었다.
동년 6월에 공이 하륜(河崙)·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건의하여 백관의 관복을 정하여,
호복을 폐지하고 중국의 제도를 따랐다. 이때 명나라 사신 서질(徐質)이 와서 보고 감탄하여,
“고려가 다시 중국의 관대를 따르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라고 하였으며,
12월에 경사에 가서 조빙을 통하기를 청하였다.
1388년 정월에 요동에 이르렀는데 들이지 않아 그대로 돌아와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제배되었다.
이때 권세 있고 간사한 신하가 백성의 전토를 강탈하므로, 청하여 사전을 폐지하매 백성이 힘입어 살았다.
동년 7월에 문하찬성사 지서연사(門下贊成事 知書筵事)에 제배되었다.
정몽주는 1389년 6월에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에 제배되었다. 동년 11월에 문하찬성사에 제배되었다.
1390년 8월에 순충론도동덕좌명공신(純忠論道同德佐命功臣)의 훈호를 받고
중대광 문하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사 판호조상서시사 진현관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영서운관사
(重大匡) (門下贊成事 同判都評議使司事 判戶曹尙瑞寺事 進賢館大提學 知經筵春秋館事 領書雲觀事)
익양군충의군(益陽郡忠義君)에 제배되었다.
동년 11월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守門下侍中 判都評議使司事 兵曹尙書寺事 領景靈殿事 右文館大提學) 익양군충의백(益陽郡忠義伯)에 제배되었다.
정몽주는 1391년 11월에 인물추변도감 제조관(人物推辨都監 提調官)이 되었는데
동년 12월에 안사공신(安社功臣)의 훈호를 더 받았다.
1392년 2월에 지은 신률(新律)을 바치니, 임금이 지신사(知申事) 이첨(李詹)에게 명하여 진강(進講)하게 하였는데,
무릇 6일 동안에 여러 번 그 훌륭함을 찬탄하였다.
절의(節義)를 지켜 1392년 4월 초4일 선죽교(善竹橋)에서 이방원의 일당에 의해 피살되었다.
이 해 7월에 고려가 망하였다.
정몽주의 묘소는 개성의 풍덕에 초장하였으나
1406년(태종 6) 3월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산 3번지로 이장하였으며, 이재(李縡)의 묘지명(墓誌銘)이 있다.
1401년에 태종이 명하여 정몽주에게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관대제학 겸예문춘추관사
(大匡輔國崇祿大夫 領議政府事 修文館大提學 兼藝文春秋館事) 익양부원군을 추증하고,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432년 세종이 명하여 삼강행실도를 지었는데 공을 충신전에 넣었으며,
1452년에 문종이 명하여 정몽주를 마전(麻田)에 있는 숭의전(崇義殿)에 배향하였다.
1517년에 중종이 태학생 권전(權磌) 등의 상소로 말미암아 조정 대신들에게 의논하고 명하여
정몽주를 문묘(文廟)에 종사하니, 실로 9월 17일 이었다.
또 예관(禮官)에 내려 분묘를 수리하고 초목을 금지하고 비를 세웠다.
1554년 영천에 사는 선비 노수(盧遂)·정윤량(鄭允良)·김응생(金應生)·정거(鄭琚) 등이
부래산(浮來山) 아래에 서원을 세우니, 곧 정몽주의 구거(舊居)이다.
이 일이 조정에 알려지매 명종이 편액을 내려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 하고 사서·오경·통감·송감(宋鑑)을 내리고,
이어서 위전(位田)을 두어 봄가을로 사사(祀事)를 닦게 하였다. 묘소 아래에 묘재인 영모재(永慕齋)가 있다.
또한 정몽주는 문묘(文廟)에 종사되고,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의 임고서원(臨皐書院) 등 전국 20여 개 원사(院祠)에서 제향하고 있다.
목판본인 9권 3책의 『포은집(圃隱集)』이 있다.
==========================================================================================================================================================================
개성의 선죽교에서 그날을 회고하며
선죽교 하마비
개성 국보유적 128호 숭양서원
개성 국보유적 128호 숭양서원의 포은선생 영정
벽암의 두릉연가
포은 7대손-별좌공 정응선--정준-- 정운한, 영일정씨 (0) | 2016.03.14 |
---|---|
포은직계 첨지중추원사 정종성(鄭宗誠),설곡 정보(雪谷 鄭保),주부 정윤정(鄭允貞),포형 정희(圃亨 鄭喜),회정 정세건(晦亭 鄭世健) (0) | 2016.03.11 |
장양공 이일장군,壯襄公 李鎰將軍, 용인인 (0) | 2016.02.28 |
개성윤후 이사위李士渭 용인이씨, 이수상 李守常 (0) | 2016.02.28 |
의령인 문충공 약천 남구만 宜寧人 文忠公 藥泉 南九萬, 몽예 남극관. (0) | 2016.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