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장사 혜소국사비 (보물488호)
승려 혜소국사(慧炤國師, 972~1054)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로서
비문(碑文)은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김현 선생이 짓고, 글씨는 전중승, 민상제 선생이 구양순체(歐陽洵體)로 썼다.
혜소 국사는 972년(고려광종3) 안성에서 출생하였으며 속성이 이씨요 이름은 정현(鼎賢)으로
10세에 삭발 입산하여 광교사 충회에게 구법하고 17세에 영통사에서 융철(融哲)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28세에 왕명에 의하여 고승으로 많은 사람의 추앙을 받았고
대사는 말년에 칠장사에서 수도하면서 이 절을 크게 중창하였으며, 1054년(문종8)에 이 절에서 83세로 입적하였다.
이 비신의 높이는 3.4m, 폭은 1.28m이고, 귀부(龜趺)의 귀갑(龜甲)은 방원형이다.
칠장사 사적비
칠장사 철당간 옆에는 칠장사 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칠장사 사적비에는 칠장사의 창건과 중수과정 등을 기록하고 있으며,
비신의 기록에 의하면 칠장사 사적비는 조선 현종 12년인 1671년에 만들어진 비임을 알 수 있다
사적비는 높이 223cm에 폭 106cm, 두께 28cm로 자연석을 고르게 다듬어 만들었으며,
윗부분은 둥근 형태로 되어 있으며. 비문은 안명노가 지었고, 이석징이 글을 썼다
칠장사 철당간 (지방 유형문화재 39호)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801-1번지
안성 칠장사 당간(安城 七長寺 幢竿)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이다.
1973년 7월 10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다.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은 ‘칠장사’에서 약 700m 앞 길가에 서 있는데, 남아있는 당간 가운데 드물게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총 높이 11.5m로 15마디의 원통형 철통이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부분은 화강암으로 된 좌 ·우 기둥이 버티고 있다.
흙으로 덮여 잘 드러나지 않는 바닥은 네모난 구멍을 마련하여 당간을 꽂았다.
양쪽 기둥은 조각이 없는 소박한 형태로 끝을 둥글게 처리하였다.
철당간은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줄어들고 각 이음새부분은 마치 대나무마디처럼 형성되어 있다.
원래는 원통모양의 철통이 30마디를 이루었다고 하며,
칠장사의 지형이 배(舟)모양과 같아 돛대의 역할을 하도록 이 당간지주를 세웠다고 전한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칠장사 외에는
청주용두사지와 공주갑사에서만 당간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매우 희귀한 문화재라 할 수 있다.
파주-용암사/조계종 (0) | 2016.10.28 |
---|---|
파주-용미리 마애불입상-보물 제93호, (0) | 2016.10.28 |
안성-칠장사 1. (0) | 2016.10.16 |
철원-도피안사, 鐵原 到彼岸寺 (0) | 2016.08.08 |
무주군-백련사, ,정관당 부두, 백련사 계단 (0) | 2016.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