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
紀念碑殿기념비전
서울 광화문 사거리 동북쪽 모퉁이 비각에 비석 하나가 들어앉아 있다.
조선시대 어느 때쯤의 유적인가 하고 그냥 지나치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이 비석은 보기보다 중요하다.
본래 이름은
'대한제국대황제보령망육순어극사십년칭경기념비
(大韓帝國大皇帝寶齡望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로 상당히 길다.
보통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라고 부른다.
조선의 끝에서 두 번째 임금인 고종이 즉위 40주년이 된 것과 육순을 바라보는 나이 51세가 된 것,
그리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 칭호를 사용했던 것을 기념하는 의미로 지난 1902년에 세운 것이다.
비각 현판에는 '기념비전(紀念碑殿)'이라고 쓰여 있다.
이는 '비각(碑閣)'이라는 말보다 높은 단계다.
건축사적 의미도 있는데 조선왕실에서 관장해 진행한 마지막 전통양식 건축물이라고 한다.
고종은 재위가 44년(1863~1907년)으로 조선 역대 3위의 오랜 기간 임금을 하였다.(영조는 52년, 숙종은 46년).
44년 통치가 자신에게는 기쁨이었겠지만 그 결과 국가의 운명이 몰락으로 이어졌다는 데 불행이 있다.
======================================================================================================================================================
제월, 횡보 염상섭(廉想涉, 1897년 8월 30일 ~ 1963년 3월 14일)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소령이다.
한성부 출생으로 본관은 파주(坡州)이며 아호(雅號)는 제월(霽月), 횡보(橫步)이다.
1897년 8월 3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인 그는 일본 게이오기주쿠 대학 유학 시절 3·1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됐다.
귀국한 후 1920년 《폐허》동인에 가담해 문학의 길로 들어섰다.
1921년 발표한 단편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 는 한국의 첫 자연주의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동인, 현진건과 함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문학을 이 땅에 뿌리내린 작가로서 큰 공적을 남겼다.
1936년에 매일신보의 정치부장, 만선일보의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1946년에는 경향신문의 창간 편집국장을 지내는 등 신문기자로도 많이 활동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당시 해군 소령으로 임관되어 해군본부 정훈감실에서 편집과장으로 근무했으며,
1954년 서라벌 예술대학 학장으로 취임했다.
대표적인 장편소설 〈삼대〉, <만세전>, <두 파산> 등이 있다.
만세전은 천재교육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서울-돈의문터에서 독립문까지 (0) | 2016.10.24 |
---|---|
서울-광화문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 (0) | 2016.10.24 |
베트남-다낭7.다낭박물관, 손짜(SON TRA)링엄사(Linh Ung,靈應寺,영응사) (0) | 2016.10.22 |
베트남-다낭6.까오다이사원과 미케비치해변 (0) | 2016.10.22 |
베트남-다낭5.다낭 대성당(Da Nang Cathedral, Chinh Toa Da Nang) (0) | 2016.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