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양-문경공 모당 홍이상(文敬公 慕堂 洪履祥),홍수(洪修),홍영(洪霙),홍세경(洪世敬),홍구(洪龜)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11. 27. 22:06

본문

728x90

 

 

문경공 모당 홍이상(文敬公 慕堂 洪履祥 )묘소 1549(명종 4) ~ 1615(광해군 7)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13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산56-1

 

문경공 모당 홍이상 부친 홍수(文敬公 慕堂 洪履祥 父親 洪修)

 

文敬公 慕堂 洪履祥 父親 洪修 墓所

문경공 모당 홍이상 부친 홍수 묘수

秉節校尉忠武衛副司直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 知義禁府事 洪公之墓 貞夫人聞慶白氏之墓

병절교위충무위부사직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 지의금부사 홍공지묘 정부인문경백씨지묘

 

 

==============================================================================

 

 

文敬公 慕堂 洪履祥墓所 문경공 모당 홍이상묘소

 

文敬公 洪履祥墓所 홍이상 1549(명종 4) ~ 1615(광해군 7)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13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산56-1

본관 풍산(豊山)초명은 麟祥인상. 字 君瑞군서, 元禮원례, 號 慕堂모당, 諡號 文敬문경

홍철손(洪哲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승지 홍세경(洪世敬)이고,

아버지는 부사직 홍수(洪修)이며,

어머니는 백승수(白承秀)의 딸이다.

1573(선조 6) 사마시를 거쳐 157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장원급제하였다.

그 뒤 예조와 호조의 좌랑을 거쳐, 정언·수찬·지제교·병조정랑 등을 두루 지낸 뒤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을 일으키기 위해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하였다.

그 뒤 이조정랑을 거쳐,

호당(湖堂)에 있을 때 왕이 유신(儒臣)들을 선발해 경서(經書)를 교정(校正)할 때는 꼭 참여하였다.

이어 집의·응교를 역임하고, 태복시정(太僕寺正)이 되었다가 사간과 사인 등을 거쳐,

황해도안무사(黃海道安撫使)가 되었다. 1591년 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된 뒤,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예조참의로 옮겨 왕을 호가(扈駕)해 서행(西行)하였다.

그리고 곧 부제학이 되었다가 성천에 도착해 병조참의에 전임하였다. 1593년정주에서 대사간에 임명되었고,

이듬 해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좌승지가 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

비변사와 긴밀하게 연락해

일본의 장군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加藤淸正) 사이의 이간을 계획, 추진하기도 하였다.

1596년 형조참판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다.

그러나 영남 유생 문경호(文景虎) 등이 성혼(成渾)을 배척하는 상소를 올리자,

성혼을 두둔하다가 안동부사로 좌천되었다.

1607년 청주목사가 되고, 1609(광해군 1)에는 대사헌이 되었다.

1612년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의 일파에게 밀려나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된 뒤 그 곳에서 죽었다.

 

시호는 文敬(문경)이며 저서로는 慕堂遺稿(모당유고)가 있다.

고양의 文峯書院문봉서원에 제향된 고양팔현중 한명이다.

그의 삶을 그린 평생도(1781년 작:단원 김홍도)가 유명하다.

 

慕堂遺稿(모당유고 시 한수) 

야좌청우(夜坐聽雨) - 밤에 앉아 빗소리를 듣고

반야공당촉영사(半夜空堂燭影斜) -밤 깊도록 빈 방에 촛불이 가물가물

홀문창외우성과(忽聞窓外雨聲過) - 언 듯 듣는 창밖에 지나가는 빗소리

행화소식응비원(杏花消息應非遠) - 살구꽃이 필 날도 얼마 남지 않았거니

욕해춘삼문주가(欲解春衫問酒家) - 봄 옷 벗어 잡히려 술집을 물어보네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 兼領經筵弘文館禮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세자사

行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 兼同知春秋館事 世子左副賓客洪公履祥之墓  贈貞敬夫人安東金氏之墓

행가선대부사헌부대사헌 겸동지춘추관사 세자좌부빈객홍공이상지묘  증정경부인안동김씨지묘

 

 

文敬公 慕堂 洪履祥 문경공 모당 홍이상의 후손 급제자

七代孫까지 방목에 나타난 급제자만 무려 55명이나 된다. 하지만 방목에 누락된 분도 있다.

홍   방. 홍   립. 홍   집. 홍   영. 홍주일.   홍주삼. 홍주국. 홍주진. 홍만수. 홍만통.

홍만우. 홍만적. 홍만형. 홍만용. 홍만종.   홍만조. 홍만기. 홍중일. 홍중주. 홍중하.

홍중효. 홍신유. 홍중집. 홍중휴. 홍중우.   홍중징. 홍중휴. 홍응보. 홍성보. 홍경보,

홍수보. 홍정보. 홍현보. 홍양보. 홍수호.   홍봉한. 홍인한. 홍우환. 홍창환. 홍상한.

홍명한, 홍낙명. 홍낙원. 홍낙임. 홍낙인.   홍낙신. 홍낙순. 홍낙빈. 홍낙정. 홍낙안.

홍인호. 홍의호. 홍의종. 홍대호. 홍희조  

특히 홍이상의 사남 홍영의 후손이 크게 번성하였는데,

혜경궁홍씨(사도세자의 부인-홍봉한의 따님)을 비롯하여 홍국영등이 있다.

 

 

 

 

 

 

 

 

 

 

묘역 후경에서...   홍수, 홍이상, 홍영, 홍세경, 홍구. 

 

=======================================================================================

 

 

 

 

文敬公 慕堂 洪履祥 四男 洪霙 墓所 문경공 모당 홍이상 사남 홍영 묘소

 

 

동지중추부사 추만 홍영(楸巒 洪霙)

선조 17(1584)인조 23(1645),

는 택방(澤芳), 는 추만(楸巒), 본관은 풍산(豊山),

아버지는 대사헌 홍이상(洪履祥),

어머니는 김고언(金顧言)의 따님 안동김씨,

배위는 월사 이정구(李廷龜)의 따님 연안이씨이다.

선조 38(1605) 생원시에 합격, 음보로 사산감역, 형조좌랑을 지냈고,

광해군 13(1621)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공조참의, 예조참판,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 領經筵弘文館禮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세자사

行嘉善大夫禮曹參判兼 五衛都摠府副總管洪公霙之墓  貞敬夫人延安李氏之墓

행가선대부예조참판겸 오위도총부부총관홍공영지묘  정경부인연안이씨지묘

 

==============================================================================

 

 

文敬公 慕堂 洪履祥 父親 洪修生父 洪世敬墓所

문경공 모당 홍이상 부친 홍수의 생부 홍세경묘소

 

 

部將洪世敬之墓 慶州裵氏祔左

부장홍세경지묘 경주배씨부좌

 

================================================================================

 

 

文敬公 慕堂 洪履祥 五代祖 洪龜 墓所 문경공 모당 홍이상 오대조 홍구 묘소

 

 

[5대조 홍구(洪龜) ]

보문각 대제학을 지낸 홍연(洪演)의 아들이다.

생원시에 합격한 후

아버지의 높은 벼슬 덕에 대과를 거치지 않고 음보로 관직에 나가 승의교위, 우령낭장 등의 벼슬을 지냈다.

고려가 멸망할 조짐이 보이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풍산으로 가던 도중

고봉현(현재 고양지역)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이곳에 정착하여 여생을 보냈다.

홍구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풍산홍씨 가문의 명망이 드날리게 되었다. 

 

 

                      高麗郎將洪龜之墓 商山金氏祔左

                      고려낭장홍구지묘 상산김씨부좌

 

 

 

 

 

 

文敬公 洪履祥 五代祖 洪龜 墓所 후경,  문경공 홍이상 오대조 홍구 묘소 후경

=================================================================================

 

 

 

文敬公慕堂神道碑閣

 

 

 

 

神道碑는 묘소에서 약 150cm 아래 지점에 서 있는데 인조 8(1630)에 건립하였다.

현재 화강석의 귀부는 작은 평형으로 마멸이 심하나 이수는 조각이 정교하고 뚜렷하며,

비문은 이정구(李廷龜)가 짓고 이현(李玹)이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전()을 하였다.

비신은 높이 200cm, 115cm, 두께 29cm이다.

홍이상의 신도비의 비문에 의하면,

 “광해군 5先塋선영이 바라보이는 곳에다 작은 집 하나를 짓고

宗戚종척과 어울려 술을 마시거나 시를 읊는 일로 소일하였다.

을묘년(乙卯年, 1615년 광해군 7) 4월에 병이 나자

성 서쪽 밖 옛집으로 돌아가 약을 물리치고 마시지 않으며 919졸하니, 춘추 67세였다.

高陽高峯下辛坐乙向 고양고봉신좌을향에 장례하였다고 적고 있다.

 

 

 

 

 

 

 

 

 

文敬公 慕堂 洪履祥 문경공 모당 홍이상 가계도

始   祖  洪之慶홍지경 : 국자직학, 지공거 추밀원부사 김창(金敞).

八代祖  洪 侃홍 간 ; 도첨의사인 지제고

七代祖  洪 侃홍 유 : 밀직사, 대제학

六代祖  洪 演홍 연 : 보문각대제학

五代祖  洪 龜홍 구 : 우낭장

高祖父  洪 俶홍 숙 : 좌군사정

曾祖父  洪繼宗홍계종 사포서별제

   祖父  洪禹甸홍우전

      父  洪 修홍 수 : 부사직 (홍수의 생부洪世敬홍세경 贈 左承旨)

        聞慶白氏 習讀官 白承秀습독관 백승수의 딸

◆◆◆홍이상(洪履祥) : 大司憲,文敬公  慕堂

   配位  安東金氏 金顧言김고언의 따님, (文溫公 金九容 後孫)

   長男 洪䨦홍방(1573. 1605년 증광 병과4)大司憲

   次男 洪雴홍립(1577, 1627 식년 갑3)參判

   三男 洪潗홍집(1582, 1624증광 병1)掌令

   四男 洪霙홍영(1584, 1621 정시 병3) 禮曹參判. --

             孫 洪柱元홍주원, 配位貞明公主, 永安尉, 선조 부마, 문의공

                    曾孫 洪萬衡홍만형, 洪萬容홍만용, 洪萬熙홍만희

            孫 洪柱後홍주후, 洪柱韓홍주신, 洪柱國홍주국

   五男   洪博홍박 判官

   六男   洪濯홍탁 開成都事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