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양-우송당황윤길 병조판서 友松堂 兵曹判書 黃允吉,장수황씨 황징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11. 29. 22:49

본문

728x90


友松堂 兵曹判書 黃允吉 墓所

우송당 병조판서 황윤길 묘소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55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산72-15



友松堂 兵曹判書 黃允吉 (1536~ 1592)


본관은 장수로

吉哉길재,

友松堂우송당.

황희의 5대손으로 호조판서 치신(致身)의 증손, 할아버지는 사경(事敬)이고,

아버지는 현령 黃懲황징이며, 어머니는 한경서(韓慶瑞)의 딸이며,

배위는 안동김씨로 김곽의 따님이다.

 

그의 가계는 훈구파였지만, 그는 사림파에 가담하여 출사하였다.

그는 일찍부터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송강 정철 등과 가까이 지냈다.

1558(명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61(명종 16) 진사로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563년 정언을 거쳐 1567년 지평이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1583년 황주목사를 지내고, 이어 병조참판을 지냈다.

1590년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선임되어

부사 김성일(金誠一), 서장관(書狀官) 허성(許筬)과 함께 수행원 등 200여명을 거느리고

대마도를 거쳐 오사카로 가서 일본의 관백(關伯) 도요토미(豊臣秀吉) 등을 만나보고

이듬해 봄에 환국하여, 국정을 자세히 보고하였다.

귀국길에 대마도에서 조총 두 자루를 얻어 와 정부에 보고했지만,

당시 조정은 그것의 위력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실용화되지 않아서

임진왜란 때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속수무책 당한점이 아쉽다.

15913월 통신사 황윤길이 부산에 도착하여 일본에서 왜사(倭使) 평조신(平調信) 등과 함께 돌아왔다.

1590년 일본에 갔던 통신사 일행이 이듬해 동아와 한 보고는 서로 상반된 것이었다.

어전 회의에서 그간의 실정과 형세를 살펴보면서

정사 황윤길은  앞으로 반드시 병화가 있을 것이옵니다.”라고 일본의 침략을 예고하였으나,

부사 김성일은, “전혀 그러한 조짐이 없었사옵니다.”라고 상반된 대답을 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인상을 묻는 질문에도

황윤길은, “눈에 광채가 있고 담략이 남달라 보였사옵니다.”라고 말했음에 비해

김성일은 눈이 쥐와 같고 생김새는 원숭이 같으니 두려울 것이 못 됩니다.”라고 다르게 대답하였다.

이처럼 김성일은 황윤길과 엇갈린 주장을 하여 일본 방비책에 통일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이때 서장관으로 동인 소속이던 허성도 서인인 황윤길과 의견을 같이하여

일본이 침략해올 것임을 보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선조는 김성일의 말만 듣고 적을 맞을 준비를 소홀히 하였다.

2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황윤길의 말을 믿지 않았음을 크게 후회하였다고 한다.

조헌은 화친 주장에 맞서 왜적이 반드시 쳐들어 올 것이다라고 주장을 하였지만,

동인은 오히려 서인이 세력을 잃었기 때문에 민심을 동요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당시 서인은 정여립의 모반사건을 계기로 정철을 중심으로 잠시 세력을 만회하였으나

세자 책봉문제(건저의 문제)로 정철과 윤두수가 파직되면서 기반을 잃어 동인에게 눌렸던 상황이었다.

유성룡이 김성일에게 전쟁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책임질 거냐고 질문을 던지자,

다음과 같은 면피성 발언을 하였다.

나도 어찌 왜적이 침략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정하겠습니까.

다만 온 나라가 동요될까 두려워 그것을 풀어주려 그런 것입니다.”

1591(선조 24) 종계변무가 성사되자 그는 특별히 광국원종공신 1등의 한 사람으로 책록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초야에 묻혀 있던 황윤길을

국방부장관 격인 병조 판서로 발탁하였으나 취임을 못하고 하였다고 종친회는 밝히고 있다.





      正憲大夫兵曹判書兼  知訓鍊院事黃公之墓  配貞夫人安東金氏祔

      정헌대부병조판서겸  지훈련원사황공지묘  배정부인안동김씨부






友松堂 兵曹判書 黃允吉 묘역에서 曾祖父 胡安公 黃致身 묘



                                贈兵曹參判黃公諱懲  配貞夫人淸州韓氏 奉祀之壇

                                증병조참판황공휘징  배정부인청주한씨 봉사지단

                                        ((友松堂 兵曹判書 黃允吉 부모))




황치신 직계가계도

高祖父 黃喜황희정승

高祖母 貞敬夫人 淸州楊氏

曾祖父 胡安公 黃致身호안공 황치신

   祖父 黃事敬 황사경

      父 黃懲황징 縣令

      母 淸州韓氏 韓慶瑞의 딸

◆◆◆ 黃允吉황윤길

   配位 安東金氏 金钁김곽의 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