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회당 이유겸 (晩悔堂 李有謙) 묘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천리 산 58
有明朝鮮戶曹參議 贈議政府領議政李公有謙之墓 贈貞敬夫人波平尹氏祔左
유명조선호조참의 증의정부영의정이공유겸지묘 증정경부인파평윤씨부좌
만회당 이유겸 신도비 (晩悔堂 李有謙 神道碑)
만회당 이유겸(晩悔堂 李有謙)
본관은 우봉(牛峯). 字는 수익(受益), 號는 만회(晩悔).
할아버지는 관찰사 이지신(李之信), 아버지는 증승지(贈承旨) 이할(李劼)이다.
광해군 때 스승 조수륜(趙守倫)이 화를 당하여 죽자
스승의 친구도 감히 나서지 못했는데 그가 예에 따라 습렴을 하였다.
또 인목대비의 폐비론이 일자 그에 대한 잘못을 직언하여 죄를 받았다.
이때 초야에 있으면서 당시 역(易)에 밝던 덕신정(德信正) 이난수(李鸞壽)를 따라
하도(河圖)·낙서(洛書)와 괘효(卦爻)를 강구하여 깨쳤다.
1623년 인조반정 직후 신녕현감에 임명되었다.
그 뒤 위수(衛率)·공조좌랑·함흥판관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강화도가 함락되자 이에 앞서 사우(士友)를 결집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1637년부터 1645년까지 형조랑(刑曹郞)·순창군수·태복시판관·내승·첨정을 역임하고,
대구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특별히 통정대부에 올랐다.
그 뒤 내직으로 들어와 판결사가 되었고, 또 외직으로 나가 금성현감·김제군수를 거친 뒤
공조참의·호조 참의를 역임하였다.
만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한가로이 지내면서 기영회(耆英會)를 만들었다.
처음 조수륜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고,
이때 성혼(成渾)의 학통을 받들었으며, 김장생(金長生)을 스승으로 섬겼다.
저서로는 『만회유고(晩悔遺稿)』4권 2책이 있다.
묘소와 묘표, 신도비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천리 샘골에 있다.
신도비는 송시열(宋時烈)이 찬을 하고,
송준길(宋俊吉)이 글씨를 썼으며
민유중(閔維重)이 전액하였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충헌공 일휴정 이숙 (忠獻公 逸休亭 李䎘) 묘소
有明朝鮮議政府右議政 贈諡忠憲李公䎘之墓 贈貞敬夫人羅州朴氏
유명조선의정부우의정 증시충헌이공숙지묘 증정경부인나주박씨
忠獻公 逸休亭 李䎘 繼配 慶州朴氏墓所
충헌공 일휴정 이숙 계배 경주박씨묘소
貞敬夫人慶州朴氏之墓
정경부인경주박씨지묘
夫人議政府右議政李公䎘之繼配也議政公 墓在晩悔公墓下 元妃祔左故夫人別葬其右
부인의정부우의정이공숙지계배야의정공 묘재만회공묘하 원비부좌고부인별장기우
岡禮也夫人世系子孫事行之詳別有誌 崇禎再 乙丑十月
강예야부인세계자손사행지상별유지 숭정재 을축십월
敦寧府都正 李翮 墓所
돈녕부도정 이핵묘소
敦寧府都正 贈吏曹參判牛峯李公翮之墓 贈貞夫人完山李氏祔左
돈녕부도정 증이조참판우봉이공핵지묘 증정부인완산이씨부좌
司諫院大司諫 李濟遠墓所
사간원대사간 이제원묘소
司諫院大司諫 贈吏曹參判李公諱濟遠之墓 贈貞夫人豐山洪氏祔左
사간원대사간 증이조참판이공휘제원지묘 증정부인풍산홍씨부좌
//우봉이씨 대제학 문정공 도암 이재(陶菴 李縡) 가계//
5대조 관찰사 이지신(李之信)
고조부 증 승지 이할(李劼)
증조부 호조참의 만회당 이유겸(晩悔堂 李有謙)
조부 우의정 충헌공 일휴정 이숙(忠憲公 逸休亭 李䎘)
숙부 병조판서 문정공 귀락당 이만성(文正公 歸樂堂 李晩成,1659~1723)
부친 진사 증 이조판서 이만창(李晩昌)
모친 숙인 여흥민씨, 민유중(閔維重)의 따님, 인현왕후 자매
대제학 문정공 도암 이재(陶菴 李縡,1680~1746)
자 대사간 이제원(李濟遠1709~1752)
손자 목사 화천 이후채(華泉 李候采)
용인-성륜산 용덕사(聖輪山 龍德寺) (0) | 2017.02.02 |
---|---|
용인-순교자성이윤일 요한의 묘소 (0) | 2017.02.02 |
용인-대제학 문정공 도암 이재(陶菴 李縡)선생, 이만창(李晩昌) (0) | 2017.01.27 |
용인-증 호조판서 김유선(金有宣), 삼익제약 회장 신제 김찬곤(愼濟 金燦坤) (0) | 2017.01.25 |
담양-송징,신평송씨율옹공파, 송형구,송정구,송명구,송상윤,송욱현,송시묵,송유신 (0) | 2017.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