贈嘉善大夫 戶曹參判 李定邦 증가선대부 호조참판 이정방 묘소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 22-3
有明朝鮮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李公定邦之墓 配贈貞夫人平壤趙氏祔左
유명조선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이공정방지묘 배증정부인평양조씨부좌
有明朝鮮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行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李公震白之墓贈貞夫人靑松沈氏祔左
유명조선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행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이공진백지묘증정부인청송심씨부좌
서암노인 이진백(李震白,1622~1707)
조선 후기 서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字는 태소(太素), 號는 서암노인(西巖老人).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戊生)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에 증직된 이정방(李定邦)이고,
어머니는 부사를 지낸 조기(趙祁)의 딸이다.
부인은 청송 심씨이다. 아들은 이택(李澤)과 이연(李沇)이다.
이진백(李震白)은 1657년(효종 8) 35세에 사마시에 급제하였다.
1664년(현종 5) 순릉참봉(順陵參奉)이 되었고 내섬시봉사(內贍寺奉事)를 지냈다.
1671년(현종 12)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에 이어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1672년 평택현감을 지낼 때 흉년 대책을 잘 세우고 공정한 재판을 하는 등 선정을 베풀어
세 차례 다녀간 암행어사의 보고서에 청렴한 관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1677년(숙종 3) 무고로 탄핵당해 관직을 내놓고 낙향하였다.
1691년 첨지중추부사, 1701년 동지중추부사에 올랐다.
시를 잘 지어 남용익(南龍翼)이 당대의 문장가 권필(權韠)과 짝할 만하다고 칭찬하였다.
생전에 지은 글을 모은 『서암유고(西巖遺稿)』가 전한다.
2권 2책의 목판본으로, 1710년(숙종 36) 아들 이택과 이윤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남구만(南九萬)이 썼다.
이 책에는 시 286수, 여문(儷文) 3편, 애사 2편, 잡저 2편, 과제시(科製詩) 5수,
과제표(科製表) 5편, 갈문(碣文) 1편, 행장 1편, 만장 16수가 수록되어 있다.
묘소는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큰말에 있다. 아들 이택의 신도비와 300m 거리다.
묘갈문은 남구만이 짓고, 묘비는 1731년(영조 7)에 손자 이의천(李倚天)이 세웠다.
호조참판동지의금부사(戶曹參判同知義禁府事)에 증직되었다.
有明朝鮮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行?善大夫同知中樞府事李公震白之墓 贈貞夫人靑松沈氏祔左
유명조선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행?선대부동지중추부사이공진백지묘 증정부인청송심씨부좌
삼도수군통제사 이택(李澤)
有明朝鮮嘉善大夫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李公澤之墓 配貞夫人扶安林氏祔左
유명조선가선대부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이공택지묘 배정부인부안임씨부좌
부총관 이장철(李長喆)
全州李公長喆嘉善大夫五衛都摠府副摠管之墓 貞夫人咸安趙氏祔右
전주이공장철가선대부오위도총부부총관지묘 정부인함안조씨부우
증 호조참판 이일증(李日曾)
全州李公日曾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之墓贈貞夫人海州吳氏 贈貞夫人安東金氏祔左
전주이공일증증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지묘 증정부인해주오씨 증정부인안동김씨 부좌
증조부 경연참찬관 이창주(李昌冑)
조부 증 호조참판 이정방(李定邦)
아버지 참판 서암노인(西巖老人) 이진백(李震白)
통제사 이택(李澤)
동생 이년(李沇)
장자 이의천(李倚天)
서산-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 서산보원사지, 사적 제316호,법인국사 승탑비 (0) | 2017.02.12 |
---|---|
서산-서산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국보제84호 , 서산 마애불입상 (0) | 2017.02.12 |
서산-여미리 비자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제174호 (0) | 2017.02.10 |
서산-유기방가옥,유상묵가옥,柳基方 서령류씨,충천남동민속문화재 제22호,제23호 (0) | 2017.02.10 |
서산-선정묘(宣靖廟) -정종의 4남 양정공 선성군 이무생(良靖公 宣城君 李茂生)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