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獻公 金陵 南公轍 문헌공 금릉 남공철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산66
文獻公 金陵 南公轍
1760(영조 36)∼1840(헌종 6).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字는 원평(元平), 號는 사영(思穎)·금릉(金陵). 서울 출신.
고조부는 예문관 제학을 지낸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남한기(南漢記)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남유용(南有容),
어머니는 김석태(金錫泰)의 딸이다.
1780년(정조 4) 초시에 합격하고,
1784년에 아버지가 정조의 사부였던 관계로 음보로 세마를 제수받았고, 이어 산청과 임실의 현감을 지냈다.
1792년 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곧 이어 홍문관부교리·규장각직각에 임명되어
『규장전운(奎章全韻)』의 편찬에 참여하면서 정조의 지극한 우대를 받았다.
초계 문신에 선임되었으며,
친우이자 후일의 정치적 동지인
김조순(金祖淳)·심상규(沈象奎)와 함께 패관문체를 일신하려는 정조의 문체반정 운동에 동참했고
그 뒤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함으로써 정조 치세에 나온 인재라는 평을 받았다.
정조 때에는 주로 대사성으로서 후진교육 문제에 전념했다.
순조 즉위 뒤 『정조실록(正祖實錄)』편찬에 참가했으며, 아홉 번씩 이조판서를 제수받고, 대제학을 역임했다.
1807년(순조 7)에는 동지정사로서 연경에 다녀왔고,
1817년에 우의정에 임명된 뒤 14년 간이나 재상을 역임했으며, 1833년 영의정으로 치사해 봉조하가 되었다.
평소 김상임(金相任)·성대중(成大中)·이덕무(李德懋)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독서를 좋아했고,
경전의 뜻에 통달했다. 구양수(歐陽修)의 문장을 순정(淳正)한 법도라 하여 가장 존중했고,
많은 금석문·비갈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였다.
순조·익종의 『열성어제(列聖御製)』를 편수했고,
저서로는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자편의 시문집으로 『귀은당집(歸恩堂集)』·『금릉집(金陵集)』·『영옹속고(穎翁續藁)』·
『영옹재속고(穎翁再續藁)』·『영은문집(瀛隱文集)』 등이 있다.
諡號는 문헌(文獻)이다.
북학파의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와도 두터운 교분을 쌓았다.
노론 시파로 정조 사후 한때 노론 벽파 세력에게 밀려나 조정을 떠났지만
김조순 등과 함께 다시 권력을 장악하고 세도정치의 서막을 열었다.
1800년 정조가 서거하자 시골에 들어가 은둔의 삶을 살고자
남공철이 선택한 땅은 광주(廣州: 지금은 성남) 청계산 아래 금릉(金陵)이라고 불린 곳이었다.
이 무렵 그가 자호(自號)로 삼았던 ‘금릉(金陵)’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은둔의 삶은 오래가지 않았다.
나이 어린 순조를 대신해 수렴청정을 하며 노론 벽파 정권을 이끌던 정순왕후가 1805년 사망했기 때문이다.
다시 조정에 복귀한 후 남공철은 승승가도를 달렸다.
특히 1817년(순조 17년) 우의정에 오른 다음 14년 동안이나 재상의 자리에 있었고,
나이 74세가 되는 1833년에 영의정으로 치사(致仕)해 봉조하(奉朝賀)가 되는 최고의 호사를 누렸다.
규장각과 남공철 칼럼에서---안순태(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아름다운 용모, 쇳소리 나는 목소리에 힘이 있으면서도 예스러운 필체를 구사하니
필시 신하로는 최고의 지위에 오를 것이요, 나이는 상수上壽를 누릴 것이다.
상법相法에 조예가 있던 자하紫霞 신위申緯(1769-1845)가
김조순金祖淳(1765-1832)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남공철의 관상을 두고 한 말이다.
과연 남공철은 64세 되던 해(1823, 순조 23)에
신하 가운데서는 가장 높은 지위인 영의정에 올랐고 81세라는 상수上壽를 누렸다.
남공철南公轍(1760-1840)은 스물다섯에 처음 관직에 나아가 일흔넷에 영의정을 사직할 때까지
근 50년 간 관직 생활을 했다.
몇 차례 지방관으로 부임하기도 했지만 그는 대부분 조정에서 관직 생활을 했으며,
정조조에서 순조조로 넘어가는 정치적 혼란기에도 큰 화를 당하지 않았다.
또한 그는 박지원朴趾源(1737-1805)이나 유한준俞漢雋(1732-1811)과 같은 당대 문장가들은 물론
이덕무李德懋나 박제가朴齊家, 유득공柳得恭과 같은 서얼 문인들,
최북崔北이나 이단전李亶佃 등의 여항인 등과 폭넓게 교유하기도 했다.
남공철이 이렇게 긴 세월 동안 비교적 순탄하게 관직 생활을 하며 폭넓은 교유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집안 배경과 모나지 않은 그의 성격 덕분이었다.
남공철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의령남문宜寧南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경화세족京華世族이었다.
경화세족이란 대대로 서울에 살면서 교유 및 혼인 관계 등을 통해 입지를 굳히며
홍문관·사헌부·사간원 등 청요직淸要職에 진출하여 권세를 행하던 가문이다.
남공철의 고조부는 예문관 제학을 지낸 남용익南龍翼(1628-1692)이고,
부친은 홍문관과 예문관 제학을 지낸 남유용南有容(1698-1773)이다.
특히 남유용은 정조의 세손 시절 사부로, 어린 정조를 무릎에 앉혀두고 글을 익히게 했다.
정조는 그 은혜를 잊지 못해 남유용 사후 그의 문집을 간행해 주기도 하고,
사부의 아들 남공철을 여러 차례 불러 그를 집안사람으로 대우하겠노라 했다.
순조가 아직 세자에 책봉되기 전부터 정조는 어린 순조에게 남공철을 잘 따르라 하며
정조 자신은 남공철을 벗처럼 여긴다고도 했다.
정조가 사부의 은덕을 갚는 길로 그 아들 남공철에게 총애를 쏟은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有明朝鮮國大匡輔國議政府領議政兼領 經筵弘文館禮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致仕奉朝賀金陵南公自碣銘
유명조선국대광보국의정부영의정겸영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세자사 치사봉조하금릉남공자갈명
(문헌공 금릉 남공철은 생전 자신의 묘갈명을 지었다. 이름하여 自碣銘자갈명)
묘역 상부의 문헌공 금릉 남공철의 모친 안동김씨의 묘역
광주-김재규金載圭 김재규 1926-1980. (0) | 2017.04.18 |
---|---|
성남-강정일당(姜靜一堂),정일당 강씨,지일당(只一堂),성남시향토문화재 제1호 (0) | 2017.04.17 |
서울-형촌회화나무,우면동 형촌마을 (0) | 2017.04.16 |
서울-상곡 성석연桑谷 成石珚 ,成石因성석인, 靖平公정평공 / 成报성보 (0) | 2017.04.16 |
서울-정도공 정역 신도비(貞度公 鄭易 神道碑),해주정씨 정곡 (0) | 2017.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