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인-이사주당(李師朱堂),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애오로 유한규(愛吾盧 柳漢奎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4. 19. 22:26

본문

728x90

 

 

이사주당 李師朱堂 묘소 (1739~1821)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왕산리 산85,

모현면 왕산리 산 42-1 외국어대 용인캠퍼스 안쪽 주차

 

 

 

이사주당 李師朱堂 (1739~1821)

조선 후기 용인의 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조 태종의 서자인 경녕군(敬寧君)11대 손으로,

남편은 목천현감인 유한규(柳漢奎)이고아들 유희(柳僖)언문지(諺文志)를 저술한 한글학자이다.

애오로 유한규(愛吾盧 柳漢奎,1718~1783)

본관은 진주(晉州). 는 단오(端五), 自號는 애오로(愛吾盧).

문성공 유순정(柳順汀)9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안협현감 유응운(柳應運), 아버지는 성균생원 유담(柳紞)이다.

부인은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師朱堂) 이씨이며,

언문지(諺文志)의 저자 유희(柳僖)의 아버지이다.

 

1739년생(영조 15)이사주당은,

아버지 통덕랑 이창식(李昌植)과 어머니 진주강씨 좌랑 강덕언(姜德彦)의 딸 사이에서 났다

 

 

 

영조 15(1739) 125일 충청도 청주. 전주이씨 노론 가문인 이창식(李昌植) 25녀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릴 때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7대조가 이조판서에 증직(사후에 관명을 주거나 높임)된 이후 실제 벼슬에 나간 후손은 없으나,

고조 이천배가 노론의 영수인 송시열의 막내 동서여서 노론에선 뼈대가 있었다.

사주당은 어려서부터  주자가례』 『소학언해』 『여사서를 읽기 시작했다.

밤엔 길쌈하는 호롱불을 빌려보며 그렇게 1년여를 지나,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시경』 『서경으로 나갔다.    오빠는 배우지 말라고 했다.

그런나  아버지의 정성으로 학문에 임하여  열다섯쯤에는  이씨 문중 남자를 앞섰다는 말을 듣는다

영조의 경연관이었던 남당 한원진이 소문을 듣고 탄복한 것도 이 시기 일로 보인다.

19세에 아버지상을 당했다. 지극히 정성을 주던 아버지.

3년상 중 솜옷을 입지 않고 끼니도 자주 걸렀다. 이후 25세까지 어떻게 살았는지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기간 내훈이나 여범같은 종류의 여훈서(女訓書)를 편찬하고

이어 유학 경전 자체를 체계적으로 연찬했을 것이라고

고려대 한문학과 심경호 교수는 사주당 이씨의 삶과 학문에서 추정했다.

역시 영조의 경연관이었던 송명흠이 사주당에 대해

 친척이 아니라 대면하지 못함을 한스럽게 여겼다고 한 것도 이 시기였을 것으로 보인다.

 

소녀가 규수로 성숙할 동안 용인 구성(驅城)에 사는 소론(少論) 선비 유한규는 연이은 부인상에 상심하고 있었다.

첫째 부인은 삼학사의 한 사람인 오달제의 증손녀 해주 오씨인데 자식 없이 23세에 죽었다.

둘째 부인 평강 전씨는 두 딸을 낳았지만 남편이 을해옥사에 연루돼 죽었다는 잘못된 소식을 듣고 자결하고 말았다

                                                                    실제로는 시동생이 연루된 것이었다.

셋째 부인 선산 김씨는 아들 흔()을 남기고 세상을 떴다.

유한규 45세 때의 일이다. 세 부인을 잃은 그는 결혼 생각을 버렸다.

그런데 한 처녀가 경사에 통하고 행실이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 청혼했다.

25세의 사주당 이씨였다.

혼인 초야에 남편은 어머니를 잘 모셔 달라고 당부한다.

사주당옳지 않으신 부모는 없으니 어떤 어려움이 있겠습니까라고 답한다.

사주당은 문자 냄새를 피우지 않고 효성스러운 며느리, 현명한 부인으로만 처신했다.

시어머니는 자주 아파 부부는 옷을 풀지 못했다. 그렇게 8년을 모셨다. 그러나 부부 금실은 좋았다.

나이 차이가 컸어도 남편은 부인을 지식인처럼 대했고 부인의 글에 서문도 썼다.

식사하며 경을 논했고 시를 지으며 벗처럼 지냈다.

 

사주당이 남편에게 보낸 편지가 있다.

논어양화편성상근(性相近)’을 논하는데 이()와 도심(道心), 칠정(七情) 같은 복잡한 단어가 튀어나온다.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부부는 13녀를 뒀다. 장남 희()는 후에 실학 백과전서파의 대가가 된다.

정조 등극 뒤 소론이 등용되면서 유한규는 경릉령 벼슬을 얻는다.

그런데 부인은 봉록과 관직에 집착하지 않고 험한 현미밥을 먹었다.

유한규는 목천현감을 끝으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는다.

 

그런데 부인 나이 45세인 1783년 다정했던 남편의 죽음으로 삶이 힘겨워진다.

아들 희는 11. 세 자식 모두 어렸다.

3년상 뒤 부인은 전 부인의 아들 흔에게

 가난하면서 계모에게 효를 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 내가 늙지 않았으니 누를 끼치지 않겠다며 용인으로 떠난다.

 

 

가난하였지만 집에 통이 두 개 있었다.

남에게 (곡물 같은 것을) 줄 때 작은 통을, 받을 때 큰 통을 써 이익을 남겼다.

그러나 이를 바꿨다. 많이 주고 적게 받게 했다. 부인은 업보를 갚았다고 했다.

아들 유희는 글에 있어서 경사(經史, 유교경전이나 역사서)는 있었지만 자집(子集, 주석서나 시문)은 안 했다고 했다.

사주당은  당호도 희현(希賢, 현명함을 추구함)에서 사주(師朱) 바꿨다.

성리학 지식이 높아진 부인은 당쟁에도 일침을 줬다.

서인이 노론·소론으로 갈리게 된 계기인 회니(懷泥) 시비가 대상이었다.

부인의 친정은 노론, 시댁은 소론이었지만 둘 다 잘못했다고 일갈했다.

사주당은 아들을 가르쳤다.

유희는 나는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님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했다(조종진의 남악유진사묘지명).

아들이 입단속을 잘못함을 걱정하며 과거에 나가지 말라고 했다. 아들은 따랐다.

자식에게 출세만을 목적으로 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당쟁에 휩쓸릴 걱정도 있었겠지만 자식에게 선비의 길을 따르라고 한 것 자체가 선비의 모습이다 

 

 

사주당은 여러 저술을 했지만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그 중 62세에 지은 조선시대 유일한 태교서적인 태교신기엔 스토리가 있다.

젊었을 때 지은 교자집요20년 뒤 막내딸의 궤짝에서 발견하자

그는 이책에서 ()기르는 방법만 따로 떼내 생각을 덧붙여 태교신기를 완성한다.

이를 아들이 재편집하고 우리말로 해석했는데

이를 위당 정인보가 1936년 후손인 유근영을 통해 보고 해제를 작성해 세상에 알려졌다.

사주당은 고질 때문에 앉았다 누웠다 하면서도 책을 놓지 않았다.

18219, 83세로 죽기 전 유언으로 태교신기만 남기고 다 태우라고 했다.

무덤엔 청주 어머니의 수간 두루마리 편지 한 축과

남편과 성리를 논한 글 한 축, 손수 베낀 격몽요결한 권을 넣었다.

아들은 쓴다. “어머니의 바탕은 장부이셨으되 행실은 부인이었노라(質丈夫 行婦人).”

김석근 - 아산정책연구원 인문연구센터장

 

 

 

 

 

 

 

통훈대부진주유한규지묘 숙인전주이씨사주당 부좌

 

 

胎敎新記태교신기

 

 

 

 

 

 

//『태교신기(胎敎新記)저자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와 목천현감 애오로 유한규(愛吾盧 柳漢奎)의 가계//

 

     9대조 문성공 유순정(柳順汀)

할아버지 안협현감 유응운(柳應運)

    아버지 성균생원 유담(柳紞)

               목천현감 애오로 유한규(愛吾盧 柳漢奎, 1718~1783)

               초배 해주오씨, 오달제의 증손녀--무후

               재배 평강전씨, 남편이 을해옥사에 연루돼 죽었다는 잘못된 소식을 듣고 자결--2녀

               삼배 선산김씨, --1남 유흔(柳俒)

               사배『태교신기(胎敎新記)』저자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1739~1821)

                                                                  통덕랑 이창식(李昌植)의 따님, 어머니 사헌부감찰 강덕언의 따님 --1남 3녀

                            아들 유희(柳僖) <언문지(諺文志)><물명고(物名攷)>저술 실학자

 

 

   11대조 태종 서자 경녕군(敬寧君)

할아버지 이함부(李咸溥)

    아버지 통덕랑 이창식(李昌植)

    어머니 진주강씨, 사헌부감찰 강덕언(姜德彦)의 따님

                남편 목천현감 애오로 유한규(愛吾盧 柳漢奎, 1718~1783)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1739~1821)

                               아들 유희(柳僖) <언문지(諺文志)><물명고(物名攷)>저술 실학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