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충공 양촌 권근(文忠公 陽村 權近) 贊成事찬성사, 화산군花山君, 길창군吉昌君,
충북 음성군 생극면 능안로 377-15
權近권근 1352(공민왕 1)∼1409(태종 9).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初名 권진(權晉), 字 가원(可遠)·사숙(思叔), 號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1)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이듬해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로서 문하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러나 명나라 예부자문(禮部咨文)을 도당(都堂)에 올리기 전에 몰래 뜯어본 죄로 우봉(牛峯)에 유배되었다.
그 뒤 영해(寧海)·흥해(興海) 등을 전전하여 유배되던 중,
1390년(공양왕 2) 윤이(尹彝)·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한때 청주 옥에 구금되기도 했다.
뒤에 다시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충주에 우거(寓居)하던 중 조선왕조의 개국을 맞았다.
1393년(태조 2) 왕의 특별한 부름을 받고 계룡산 행재소(行在所)에 달려가 새 왕조의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를 지어올리고,
왕명으로 정릉(定陵: 태조의 아버지 환조(桓祖)의 능침)의 비문을 지어 바쳤다.
그런데 이 글들은 모두 후세 사람들로부터 유문(諛文)·곡필(曲筆)이었다는 평을 면하지 못했다.
그 뒤 새 왕조에 출사(出仕)하여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1396년 이른바 표전문제(表箋問題: 명나라에 보낸 외교문서 속에 표현된 내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함)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때 외교적 사명을 완수하였을 뿐 아니라, 유삼오(劉三吾)·허관(許觀) 등 명나라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경사(經史)를 강론했다.
그리고 명나라 태조의 명을 받아 응제시(應製詩) 24편을 지어 중국에까지 문명을 크게 떨쳤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고,
정종 때는 정당문학(政堂文學)·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대사헌 등을 역임하면서
사병제도(私兵制度)의 혁파를 건의, 단행하게 했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
1402년에는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신효(申曉) 등을 뽑았고,
1407년에는 최초의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독권관(讀卷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10인을 뽑았다.
한편, 왕명을 받아 경서의 구결(口訣)을 저정(著定: 저술하여 정리함)하고,
하륜(河崙) 등과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찬하였다.
또한, 유학제조(儒學提調)를 겸임해 유생 교육에 힘쓰고,
권학사목(勸學事目)을 올려 당시의 여러 가지 문교시책을 개정, 보완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성리학자이면서도 사장(詞章)을 중시해 경학과 문학을 아울러 연마했다.
이색(李穡)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 문하에서 정몽주·김구용(金九容)·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정도전 등
당대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정진해 고려 말의 학풍을 일신하고,
이를 새 왕조의 유학계에 계승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학문적 업적은 주로 『입학도설(入學圖說)』과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으로 대표된다.
『입학도설』은 뒷 날 이황(李滉) 등 여러 학자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고,
『오경천견록』 가운데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은 태종이 관비로 편찬을 도와,
주자(鑄字)로 간행하게 하고 경연(經筵)에서 이를 진강(進講)하게까지 했다.
이밖에 정도전의 척불문자(斥佛文字)인 『불씨잡변(佛氏雜辨)』 등에 주석을 더하기도 했다.
저서에는 시문집으로 『양촌집(陽村集)』 40권을 남겼다. 諡號는 문충(文忠)이다.
朝鮮國佐命功臣議政府贊成事諡文忠公陽村權先生之墓
조선국좌명공신의정부찬성사시문충공양촌권선생지묘
陽村先生權文忠公夫人淑敬宅主慶州李氏之墓
양촌선생권문충공부인숙경택주경주이씨지묘
문충공신도비각
<문충공 양촌 권근 가계도>
五代祖 權韙권위 翰林學士
高祖父 權㫜권단 贊成事찬성사 文淸公
曾祖父 權溥권보 文正公
祖父 權皐권고 檢校侍中검교시중 權準권준, 權宗頂권종정, 權煦권후, 權謙권겸
父 權僖권희 檢校左政丞검교좌정승 永嘉府院君영가부원군 靖簡公정간공
權近권근 文忠公문충공 贊成事찬성사, 花山君, 吉昌君, 文忠公
配位 淑敬宅主慶州李氏
長男 權踐권천
二男 權踶권제 右贊成 文景公 지제공파
三男 權跬권규 吉昌君 齊簡公제간공파
四男 權蹲권준 安肅公 안숙공파
孫 權摯권지
孫 權擥권람 右議政, 左議政 吉昌府院君 翼平公
孫 權攀권반 안양공
孫 權摩권마
孫 權挈권혈
孫 權擎권경
벽암 두릉연가
음성-익평공 소한당 권람(翼平公 所閑堂 權覽) (0) | 2017.06.20 |
---|---|
음성-문경공 지재 권제(文景公 止齋 權踶) (0) | 2017.06.18 |
예산-성암공 이위, 이신배,이칭,이기흥, 함양부사 이사술, 양주목사이민채 (0) | 2017.06.09 |
예산-이사순,효정공 이사관,한풍군 이사윤,한은군 이원채,한릉군 정민공이해우,이해로 (0) | 2017.06.09 |
예산-한원군 이목(韓遠君 李穆),한흥군 정익공 이여발(韓興君 貞翼公 李汝發),한성군 정희공 이기하(韓城君 貞僖公 李基夏),이기한(李基漢),이기명(李基明),이기형(李基亨),이기방(李基邦),이.. (0) | 20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