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청당 송유(雙淸堂 宋愉)
대전시 동구 판암동 529
쌍청당 송유(雙淸堂 宋愉)선생과 7代孫 경헌공 송갑조(景獻公 宋甲祚)신도비
쌍청당 송유(雙淸堂 宋愉) 신도비
경헌공 송갑조(景獻公 宋甲祚) 신도비
쌍청당 송유(雙淸堂 宋愉)
1389년(고려창왕 1) - 1446년(세종28)
송유는 조선 전기의 문관·학자로 號는 雙淸堂(쌍청당), 본관은 은진이다.
고려말 사헌부 집단을 지낸 송명의(회덕 입향조)의 손자이며 진사 송극기의 아들이다.
1392년(태조1) 아버지가 개성에서 요절하자 4살난 송유는
어머니 고흥류씨(유준(柳濬 1321~1406))의 딸)로 등에 업혀(당시 나이 22세) 회덕의 조부댁에 와서 살기 시작했다.
송유는 일찍 관례를 치루기도 전에 벼슬하여 호분위 부사정(종7품의 군직)이 되었으나,
태조의 후비인 신덕왕후 강씨가 태묘에 부해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회덕 백달촌에 내려와 별당을 짓고 은거하면서 마음을 수양하고 자연을 즐기며 살았다.
이때 지은 별당이 쌍청당이다. 쌍청당의 당호는 중추부사 박연이 지어준 것이고, 당기는 박팽년이 지은 것인데
'쌍청'은 그의 청정한 성품과 모습을 한마디로 드러내주는 것이라 하겠다.
송유 때로부터 회덕의 은진 송씨가 창성하였으므로 후인들이 백달촌을 송촌이라 칭했다.
회덕의 은진송씨는 모두 송유의 후손들이다. 청정한 삶을 살다가 58세로 졸하였다. 묘는 판암동 황학산에 있다.
송유의 행장은 송준길이 지었으며,
묘표는 송시열이 짓고 송준길이 썼다.
그리고 묘 아래의 묘표는 김상헌이 짓고 김집이 썼으며, 두전은 송준길이 썼고, 갈음자손기는 송준길이 짓고 썼다.
숙종 때에 박팽년과 함께 회덕 정절사에 배향되었다.
쌍청당은 중리동 위치해 있는데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송유가 남긴 글로는 서간문인 「여박난계연서」와「여금괴애수온서」및 시「제의봉루」등이 전해지고 있다.
處士雙淸堂宋先生之墓 配安人安東孫氏祔左
처사쌍청당송선생지묘 배안인안동손씨부좌
송유선생 묘소 후경
송유선생가계도///
송대원宋大元
송득주宋得珠
송춘경
송명의 회덕입향조
송극기 진사
송유宋愉
子 송계사宋繼祀, 송계중宋繼中
孫 송요년宋遙年, 송순년宋順年, 송백년宋栢年, 송미년宋眉年, 송호년宋胡年
曾孫 송여림宋汝霖, 송여즙宋汝楫, 송여해宋汝諧, 송여익宋汝翼,송여려宋汝礪,송여회宋汝晦
4代孫 송세훈, 송세충宋世忠 송세량宋世良
5代孫 송남수, 송기수宋麒壽, 송귀수宋龜壽
6代孫 송응기宋應期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7代孫 송갑조宋甲祚
8代孫 송시열宋時烈
대전-송창공 송수록(宋綏祿), 송남규(宋南圭), 정선군수 송선(宋璿) (0) | 2018.02.28 |
---|---|
대전-경헌공송갑조묘소 景獻公 宋甲祚 睡翁 (0) | 2018.02.28 |
대전-탄옹 권시(炭翁 權諰),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1호 (0) | 2018.02.22 |
대전-예술의 전당 광장, 대전시립미술관, 이응노미술관 (0) | 2018.02.21 |
대전-광덕정부인순흥안씨廣德貞夫人順興安氏, 한성대인 정종건, 봉령군대인 정해수 (0) | 201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