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강공 용문 조욱 文康公 龍門 趙昱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7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
하나 둘 셋 넷 계단을 일부러 백팔계단으로 맞추었는가 보다.
문강공 용문 조욱 文康公 龍門 趙昱
1498(연산군 4)∼1557(명종 12).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字는 경양(景陽), 號는 용문(龍門)·보진재(葆眞齋).
아버지는 판관 조수함(趙守諴)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춘양군(春陽君) 이래(李徠)의 딸이다.
1516년(중종 11)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조광조(趙光祖)·김식(金湜)을 사사하면서 학문연마에 힘썼다.
기묘사화 때 두 스승에 계루되었으나 연소하다고 하여 화를 면하였다.
그 뒤 형인 조성(趙晟)과 함께 삭령에 집을 짓고 학문을 강론하며 지냈는데,
세상사람들은 그들을 정호(程顥)·정이(程頤) 형제에 비겨 칭송하였다.
뒤에 선원전(璿源殿)·순릉(順陵)·영릉(寧陵) 등의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어머니의 3년상을 마치고 용문산(龍門山)에 들어가 은거하였는데, 학문이 알려져 용문선생이라 일컬어졌다.
명종 때 성수침(成守琛)·조식(曺植) 등과 함께 천거되어 내섬시주부(內贍寺主簿) 제수되고, 장수현감에 이르렀다.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으며, 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이조참의에 추증되었고, 용문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용문집(龍門集)』이 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有 朝鮮國龍門趙先生墓碣銘幷序
유 조선국용문조선생묘갈명병서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 領經筵事監春秋館事趙 撰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 영경연사감춘추관사조 찬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 領經筵事監春秋館事李健命 書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 영경연사감춘추관사이건명 서
通政大夫行黃州牧使 黃州鎭兵馬僉節制使李徵顯 像
통정대부행황주목사 황주진병마첨절제사이징현 상
//문강공 용문 조욱가계도//
9세조 조인규(趙仁規) 평양백(平壤伯) 정숙공(貞肅公)
5세조 조진(趙瑨) 또는 조전(趙戩)
4세조 조승(趙乘)
증조부 조득인(趙得仁)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증조모 모읍안씨(某邑安氏)
할아버지 조양문(趙楊門)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할머니 모읍최씨(某邑崔氏)
아버지 조수함(趙守諴) 정주판관定州判官
어머니 전주이씨, 춘양군(春陽君) 이래(李徠)의 딸
형님 조성(趙晟), 양심당(養心堂).
문강공 용문 조욱 文康公 龍門 趙昱
자 조원빈(趙元賓)
자 조공빈(趙孔賓) 목천 현감(木川縣監), 장례원 사평
손자 조응생(趙應生), 조계생(趙繼生), 조영생趙(榮生)
자 조인빈(趙仁賓)
손자 조진생(趙震生), 조형생趙亨生), 조익생(趙益生), 조이생(趙頤生)
자 조명빈(趙鳴賓)
화성-문희공 묵재 홍언필(文僖公 默齋 洪彦弼), 익산군수 홍경소(洪敬紹) (0) | 2019.04.08 |
---|---|
화성-평산신씨 제정공파 전부공 신광희(典簿公 申匡禧), 신효무(申孝武), 신현(申晛), 신명후(申明厚) (0) | 2019.03.15 |
양평-숙간공 남악 윤승길(肅簡公 南岳 尹承吉), 절제사 윤신(尹璶), 해평윤씨 (0) | 2019.03.12 |
양평-상원사上院寺, 상원사동종上院寺銅鍾 (0) | 2019.03.11 |
양평-문희공 오봉 이호민(文僖公 五峯 李好閔), 연안이씨 (0) | 201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