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공 나재 채수(襄靖公 懶齋 蔡壽)양정공 난재 채수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
나재 채수(懶齋 蔡壽)
1449년(세종31) ~ 1515년(중종10)
본관은 인천(仁川). 字는 기지(耆之), 號는 나재(懶齋)난재.
채영(蔡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선 채윤(蔡綸)이고,
아버지는 남양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어머니는 유승순(柳承順)의 딸이다.
1468년(세조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69년(예종1) 추장문과(秋場文科)의 초시(初試)·복시·전시(殿試)에 장원을 하여
이석형(李石亨)과 함께 조선 개국 후 삼장(三場)에 연이어 장원한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되었다.
1470년(성종1) 예문관수찬으로, 홍문관교리, 지평,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면서 『
세조실록』·『예종실록』의 편찬에 관계하였다.
1477년 응교가 되어 임사홍(任士洪)의 비행을 탄핵했으며,
승지를 거쳐 대사헌으로 있을 때 폐비 윤씨(廢妃尹氏: 연산군 생모)를 받들어
휼양할 것을 청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벼슬에서 물러났다.
1485년 비로소 서용되어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가
하정사(賀正使)·성절사(聖節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성균대사성 등을 거쳐 호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이후 줄곧 외직을 구하여 무오사화를 피하였다.
1499년(연산군 5) 이후 예조참판·형조참판·평안도관찰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나아가지 않았다.
1504년 갑자사화 때는 앞서 정희대비(貞熹大妃)가 언서(諺書)로 적은
폐비 윤씨의 죄상을 사관(史官)에게 넘겨준 것이 죄가 되어 경상도 단성으로 장배(杖配)되었다가 풀려났다.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참여하여,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에 녹훈되고 인천군(仁川君)에 봉군.
그 뒤 후배들과 함께 조정에 벼슬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버리고
경상도 함창(咸昌: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쾌재정(快哉亭)을 짓고 은거하며 독서와 풍류로 여생을 보냈다.
사람됨이 총명하고 박람강기하여
천하의 서적과 산경(山經)·지지(地誌)·패관소설(稗官小說)에까지 해박하였다.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는 특히 뛰어나 어려서부터 문예로 이름을 얻을 정도로 당대의 재사였다.
그러나 성격이 경망되고 행동이 거칠고 경솔하여 독실한 유학자는 못 된 데다가,
1511년(중종 6)<설공찬전(薛公贊傳)>이라는 패관소설을 지어
윤회화복을 말하다가 사림의 비난을 받아 불태워지기까지 하였다.
김종직(金宗直)에게 종유(從遊)하고, 특히 성현(成俔)과 교제가 깊었다.
사신으로 북경을 내왕하는 길에 요동명사(遼東名士)이던 소규(邵圭)와도 친교를 맺었으나,
당시 새로이 등장하던 사류(士類)와는 잘 화합하지 못하였다.
1703년(숙종 29) 함창의 사림에 의하여 그의 고장에 임호서원(臨湖書院)이 건립되고
표연말(表沿沫), 홍귀달(洪貴達) 등과 함께 제향되었다.
저서로 『나재집』 2권이 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襄靖公懶齋蔡先生之墓 貞夫人安東權氏祔左
양정공나재채선생지묘 정부인안동권씨부좌
襄靖公懶齋 蔡壽 양정공 나재 채수 묘역후경
양정공 나재 채수선생 증손자 - 군자감 첨정 채유광(蔡有光)
贈奉直郎守軍資監僉正蔡公有光墓 贈令人眞城李氏祔
증봉직랑수군자감첨정채공유광묘 증영인진성이씨부
贈奉直郎守軍資監僉正仁川蔡公有光之墓 令人眞城李氏祔
증봉직랑수군자감첨정인천채공유광지묘 영인진성이씨부
난재 채수 신도비(懶齋蔡壽神道碑)나재 채수 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
난재 채수 신도비 (懶齋 蔡壽 神道碑) 나재 채수 신도비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2-1
栗谷池율곡지
남재사(南齋舍)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 71
남재사(南齋舍) 4성씨,4姓氏
淸州郭氏청주곽씨, 安東權氏안동권씨, 昌寧曺氏창녕조씨, 仁川蔡氏인천채씨
숭덕산(崇德山) 동남쪽 자락 아래 남쪽(南)에 있다하여「남재사」라 이름하였으며,
영모재(永慕齋)와 추원루(追遠樓)란 현판이 걸려있다.
창건 년대가 1720년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안동권씨 검교공파 함창 입향조인 군사(郡事) 권회(權恢)公이 이곳(율곡리)에 처음 유택을 정한 후,
직계 및 외손들이 주변으로 대(代)를 이어서 선조를 모시니,
군사(郡事)의 계파인 安東權氏안동권씨와
직계파와 같은 외파(外派)인 仁川蔡氏인천채씨, 昌寧曺氏창녕조씨, 淸州郭氏청주곽씨의
4개 성씨의 후손들이 조상을 잘 받들기 위해 함께 지은 재실이다.
창건 내력은 본래는
동계(桐溪) 권달수(權達手)선생의 묘 아래에 재사가 있었으나 언제 폐하였는지 모르다가,
1711년 신묘년에 여러 어른들의 합의로 후일을 위하여 묘를 관리하는 규정을 만들고,
또 각 문중에서 곡물을 모아 해마다 이식(利息)을 늘려서 약간의 토지를 마련하고,
몇 칸의 기와집을 짓기로 함에 경자년(1720년) 봄에 시작하여 가을에 공사를 끝냈다고 전하고 있다.
재실 주변으로 인천채씨, 창녕조씨, 청주곽씨 및 안동권씨의 묘역이 있다.
//인천나씨 양정공 나재 채수, 첨정 채유광 가계//
5대조 필선 채륜(蔡綸)
고조부 평해현감 남양부사 채신보(蔡申保)
증조부 지중추부사 나재채수(懶齋 蔡壽)난재 채수 정국공신
조부 참봉 채윤권(蔡胤權), 채소권蔡紹權
부친 사간원헌납 채무일(蔡無逸), 숙부 채무해蔡無害
첨정 채유광(蔡有光)
장남 채천민(蔡天民)
손자 채이겸(蔡以謙)
차남 채천계(蔡天啓)
손자 부사과 채이승(蔡以升)
손자 채이복(蔡以復)
손자 채이태(蔡以泰)
손자 채이점(蔡以漸)
삼남 채천서蔡天瑞 증 참의
손자 판관 석성현감 채이항(蔡以恒)
손자 채이절(蔡以節)
손자 채이진(蔡以晋)
벽암두릉연가
상주-충좌위 조계권忠佐衛曺繼權, 부사직 조순副司直 曺珣, 昌寧曺氏창녕조씨 (0) | 2019.08.28 |
---|---|
상주-퇴천 곽존중 退川 郭存中, 천문습독관 곽림郭琳, 양담 곽수인郭守仁,곽수예 郭守禮청주곽씨, (0) | 2019.08.28 |
상주-전고령 가야왕비릉 傳古寧 伽倻王妃陵 (0) | 2019.08.24 |
상주-전고령 가야왕릉 傳古寧 伽倻王陵, 경상북도 기념물 제26호 (0) | 2019.08.24 |
상주-증촌리 석조여래좌상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120호. 석조여래입상 石造如來立像 보물 제118호 (0) | 2019.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