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산-적순부위 증 우의정 안탄대 (迪順副尉 贈 右議政 安坦大), 풍해군 이잠(豐海君 李潛)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4. 18. 00:07

본문

728x90

 

 

적순부위 증 우의정 안탄대(迪順副尉 贈 右議政 安坦大)선생 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615-1번지

경기도기념물 제83

 

 

 

 

적순부위 증 우의정 안탄대 (迪順副尉 贈 右議政 安坦大)선생

조선 선조의 진외조부인 안탄대(安坦大)를 모신 유택이다.

안탄대는 조선 11대 중종의 장인이며,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아버지이다 본관은 안산(安山)이다.

 

1506(중종 1) 중종반정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고, 적순부위(迪順副尉, 7)에 올랐다.

사실상 부원군(府院君)의 위치에 있었는데도 부귀영화를 사양하고 검소와 겸손으로 생애를 바쳤으며

사후에  우의정(右議政)에 추증(追贈)되었다.

안탄대 선생의 딸인 창빈안씨(昌嬪安氏)1507(중종 2)에 아홉 살 어린 나이에 궁녀로 들어가

중종의 모후인 정현대비의 각별한 후의로 20세에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31녀를 두었는데,

장남은 영양군(永陽君), 둘째는 일찍 죽었으며,

막내는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딸은 정신옹주(靜愼翁主)이다.

 

 

선조(宣祖)의 생부(生父)가 덕흥대원군이므로,

선조 이후 왕위는 창빈안씨의 부친인 안탄대 선생의 외손으로 계승되는 것이다.

선조가 안탄대의 묘에 비석을 세우고 묘직(墓直)을 두어 관리하여 금벌(禁伐)을 하였다.

차차 묘역의 관리가 부실해지자,

효종 때 왕명으로 능원대군(綾原大君, 원종의2)과 인평대군(麟平大君,인조의 3) 등을 비롯한

그의 외손들에게 묘를 보호하게 하고, 석물을 갖추게 하여 새로 단장하였다.

묘비문을 보면 효종 때 왕명으로 비문을 지었으면서도 안산안씨(安山安氏)만을 밝히고,

그의 선조와 가계(家系)를 밝히지 않아

그의 자(), (), 출생일과 사망일조차 전하지 않는다.

묘표를 통해 안탄대의 행적과 당시 정치적 상황을 엿볼 수 있을 따름이다.

묘표는 1656(효종 7) 안탄대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묘표음기는 외손 계열인 통정대부 전 행 낭천현감 신최 (申最)가 효종의 명으로 짓고,

여절교위 전 행 세자익위사 세마 신승(申昇)이 효종의 명으로 글씨를 쓴 것이다.

선생의 묘 아래쪽에 풍해군 이잠의 묘가 있다.

전주이씨 영양군파 종친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묘역은 울창하였으나 반월공단 조성으로 공단내에 붙어있다.

선생의 묘는 1985920일 경기도기념물 제83호로 지정되었다.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  領經筵事安公之墓  贈貞敬夫人黃氏祔左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우의정겸  영경연사안공지묘  증정경부인황씨부좌

 

 

 

 

 

 

 

 

 

 

 

 

적순부위 증 우의정 안탄대 묘역후경

 

//적순부위 증 우의정 안탄대(安坦大)가계//

 

적순부위 안탄대(安坦大)

      배위 증 정경부인 황씨

         사위 조선 제11대왕 중종 장인

            딸 창빈안씨(昌嬪安氏)

                   외손자 영양군 이거(永陽君 李岠)

                          외증손 흥녕군 이수전(興寧君 李秀荃) 생부 부안도정 이석수(扶安都正 李碩壽),

                                    외현손 풍해군 이잠 豐海君 李潛

                                            외5대손 능산군 이희(綾山君 李僖)

                                            외5대손 풍릉수 이혼(豊陵守 李混)

                   외손자 조졸

                   외손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제14대왕 선조(宣祖)의 생부(生父)

                   외손녀 정신옹주(靜愼翁主

 

 

 

 

안탄대의 외현손 풍해군 이잠(豐海君 李潛)

 

 

풍해군 이잠 豐海君 李潛

중종의 4왕자 영양군 이거(永陽君李岠)의 손자이며,

흥녕군 이수전(興寧君 李秀荃)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군부인 풍천임씨로 판윤 문정공 임설(任說)의 딸이며,

배위는 죽수군부인 능성구씨로 증 영의정 호성공신 능해군 충숙공 구성(綾海君 忠肅公 具宬)의 딸이다.

 

 

 

 

贈顯祿大夫豐海君兼  五衛都摠府都摠管行  崇憲大夫豐海君兼  五衛都摠府都摠管諱潛之墓  竹樹郡夫人具氏祔左

증현록대부풍해군겸  오위도총부도총관행  숭헌대부풍해군겸  오위도총부도총관휘잠지묘  죽수군부인구씨부좌

 

 

 

 

 

 

 

 

 

 

 

//풍해군 이잠(豐海君 李潛) 가계//

   증조부 조선 제11대왕 중종 장인

   증조모 창빈안씨(昌嬪安氏)

할아버지 영양군 이거(永陽君 李岠) 중종의 서4왕자로

   아버지 흥녕군 이수전(興寧君 李秀荃) 생부 부안도정 이석수(扶安都正 李碩壽),

                                                      생조부 무산군 이종(茂山君 李悰.14901525)

   어머니 군부인 풍천임씨 판윤 문정공 임설(任說)의 따님

             풍해군 이잠 豐海君 李潛

             배위 죽수군부인 능성구씨, 호성공신 능해군 충숙공 구성(綾海君 忠肅公 具宬)의 따님

                    장남 능산군 이희(綾山君 李僖)

                             손자 능봉군 이칭(綾峯君 李稱)

                             손자 능강수 이찬(綾岡守 李儏)

                             손자 능평수 이신(綾平守 李信)

                             손자 능안수 이의(綾安守 李儀)

                             손자 능계수 이급(綾溪守 李伋)

                             손자 능주도정 이간(綾洲都正 李侃)

                    차남 풍릉수 이혼(豊陵守 李混)

                     손자 금원령 이탁(錦原令 李倬)

                             손자 금성령 이척(錦城令 李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