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산-장덕군자 해봉 홍명원(海峯 洪命元), 홍우악(洪禹岳), 효녀 홍소저 (洪小姐)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4. 16. 22:50

본문

728x90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長德君子 海峯 洪命元)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산78번지

안산시 향토유적 제6

 

 

 

 

해봉 홍공명원선생 묘역입구

 

 

 

海峯 洪命元 詩碑 해봉 홍명원 시비

우후雨後

一夜春陰山雨昏

일야춘음산우혼   하룻밤 산촌에 봄비가 내렸는데

      東樓宿客早開門

      동루숙객조개문   동루에 머문 손 일찍 문을 열었네

            雪消松頂翠增

            설소송정취증악   눈 녹은 소나무에 산은 더욱 푸르고

                  烟惹柳心靑掩村

                  연야유심청엄촌   안개어린 버들가지 마을 감싸 주는 듯

                        千里倦遊偏感物

                        천리권유편감물    흘러간 천리여정 만감이 서리는데

                              百年多病獨憑軒

                              백년다병독빙헌    한평생 지친 몸 동헌에 외롭구나

                                     儂家正在漢南陌

                                     농가정재한남맥    내 집은 한수 남쪽 언덕위에 있으니

                                            窓外小應﨤魂

                                            창외소매응급혼    창밖에 매화향기 그윽하리라

                                                                                (백촌거사님의 꼬리말로 음을 수정함)

 

 

 

牧使洪公命元去思碑

목사홍공명원거사비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長德君子 海峯 洪命元)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낙부(樂夫), 는 해봉(海峯).

증조할아버지는 홍춘경(洪春卿)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홍일민(洪逸民)이다.

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며, 어머니는 평양조씨로 의빈부경력 조수(趙琇)의 딸이다.

첨지중추부사·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1607~1663]이 아들이며,

승정원도승지·형조참판을 지낸 홍수주(洪受疇)[1641~1704]가 손자이다.

 

 

홍명원(洪命元)[1573선조6~~1623인조1]

1597(선조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승문원자가 되어 홍문록에 올랐다.

세자시강원설서와 사서 등을 거쳐 사간원헌납이 되어 권신을 탄핵하다

함경도도사로 좌천되었다가 3년 만에 돌아와 예조정랑에 임명되었다.

외직으로 죽주부사를 거쳐서  홍문관수찬·세자시강원필선·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고

정주목사·의주부윤을 지냈다. 이때 서북 지방의 쇠잔한 폐단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다시 내직으로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다가,

부모 공양을 위하여 광주목사를 자원하였으며 치적을 쌓아 겉옷을 하사받았다.

1615(광해군 7) 폐모론이 대두되자 사직하였다가

후금(後金)과의 관계를 명나라에 알려져 긴장이 고조되자

급고사(急告使)로 명나라를 가서 설득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후금과의 관계에 대하여는 강경한 배금론(排金論)을 주장하였다.

 

 

1623년(광해군15)에 인조반정이 일어난 뒤에는 경기도관찰사가 되어 흉도들의 난을 진정시켰다.

벼슬하는 동안 위엄과 형벌을 쓰지 않고 공정하게 다스린 까닭에 사람들이 모두 경복하였다.

박엽(朴燁정준(鄭遵)이 서임(西任)을 맡고 있을 때

총애를 믿고 교만 방자하여 많은 사람들을 침탈하였으나,

홍명원에게만은 함부로 대하지 못하였다.

중국의 학사들도 홍명원을 가리켜 장덕군자(長德君子)라 칭하였다고 한다.

홍명원은 글씨에 조예가 깊어 초서와 행서에 능하였으며, 한나라 문장과 당나라 시에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해봉집(海峯集)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아들인 안분재 홍처윤(安分齋 洪處尹)의 공로로 찬성이 가증되었다.

비문은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짓고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이 글을 썼다.

지금 묘역이 위치한 해봉산의 이름은 홍명원의 호 해봉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  世子貳師知經筵春秋館成均館事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  세자이사지경연춘추관성균관사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 

五衛都摠府都摠管行  嘉善大夫京畿觀察使兼  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開城府留守 

오위도총부도총관행  가선대부경기관찰사겸  병마수군절도사순찰사개성부유수  

永平大都護府使洪公諱命元之墓      貞敬夫人坡平尹氏附

영평대도호부사홍공휘명원지묘      정경부인파평윤씨부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 묘소후경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의 딸  효녀 홍소저 묘소

 

 

孝女南陽洪小姐之墓

효녀남양홍소저지묘

 

 

 

 

 

 

孝女洪小姐之墓

효녀홍소저지묘

 

 

홍명원선생의 딸 효녀 홍소저

홍소저는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자 그 슬퍼함이 매우 심하였다.

여러 사람들이 장지를 정하기 위하여 논의하던 중 잿머리 마을의 산으로 결정하였는데 

이때 지사(地師)

이곳은 게가 엎드린 모양의 지형이기 때문에 당대에는 크게 될 인물을 볼 수 있는 곳이지만,

파도가 몰아치기 때문에 이곳을 장지로 하면 딸 홍소저의 목숨이 크게 위태로울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에 문중에서는 다른 곳으로 장지를 옮기려 하였으나

홍명원의 딸 홍소저가 주장하기를

"어찌 한 사람 때문에 대사를 그르칠 수 있겠습니까,

이곳이 길지라면 마땅히 안장(安葬)해야 할 것입니다.”라 하였다.

문중에서는 홍소저의 결심을 막을 수 없음을 알고 이곳에 안장하였다.

과연 삼우제(三虞祭)를 지낸 뒤 그녀는 알 수 없는 병에 걸렸으며,

아버지 무덤 밑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문중에서는 그 효행을 기려 지금까지도 매년 홍명원의 제일(祭日)이면 제사를 지낸 뒤

그 제물로 다시 그녀의 명복을 빌고 있다고 한다.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海峯 洪命元)의 증손자 절제도위 홍우악(洪禹岳)

 

 

 

通訓大夫河陽縣監兼  大丘鎭管兵馬同僉節制都尉洪公禹岳墓   配淑人平山申氏祔左

통훈대부하양현감겸  대구진관병마동첨절제도위홍공우악묘   배숙인평산신씨부좌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의 증손자 절제도위 홍우악(洪禹岳) 배위 증 숙부인 황주변씨

 

贈淑夫人黃州邉氏之墓

증숙부인황주변씨지묘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海峯 洪命元) 가계//

증조부 관찰사 증 영의정 홍춘경(洪春卿)

   조부 현감 증 참찬 홍일민(洪逸民)

   부친 진사 증 참판 홍영필(洪永弼) 

   모친 평양조씨, 의빈부경력 조수(趙琇)의 따님

           경기관찰사 증 찬성 장덕군자 해봉 홍명원(長德君子 海峯 洪命元)

           배위 정경부인 파평윤씨, 첨지중추부사 윤민준(尹民俊)의 따님

               장남 함경도,경기도 관찰사, 공조참판, 충장공 홍처후(忠莊公 洪處厚 )

                      손자 장령 홍수하(洪受河) 

                      손자 부사 홍수량(洪受湸)

                    증손자 대사간 홍우서(洪禹瑞)

                      손자 진사 홍수환(洪受渙)

                      손자 제학 이조판서 홍수헌(洪受瀗)

               차남 현감 홍처심(洪處深 )

                       손자 홍수항(洪受恒)

                       손자 홍수태(洪受泰)

                       손자 홍수제(洪受濟)

                       손자 부사 홍수점(洪受漸)

                       손자 홍수진(洪受晉)

                               증손자 경상감사 홍우전(洪禹傳)

                삼남 황해감사 첨지중추부사 예조참의 홍처윤(洪處尹,1607~1663)

                       손자 홍수기(洪受箕)

                  증손자 홍우악(洪禹岳) 증 숙부인 황주변씨, 군수 변명익(邉命益)의 딸 

                                      현손 홍계하(洪啓夏)

                                      현손 홍계은(洪啓殷)

                                      현손 홍계주(洪啓周)

                                      현손 홍계로(洪啓魯)

                            손자 홍수범(洪受範)

                            손자 홍수서(洪受敍)

                            손자 경기관찰사 승정원도승지 형조참판  홍수주(洪受疇,1641~1704)

                   사남 지사 홍처대(洪處大)

                            손자 현감 홍수종(洪受종)

                            손자 현령 홍수관(洪受寬)

                        증손자 경상감사 홍우녕(洪禹寧)

                            손자 홍수정(洪受定)

                            손자 홍수완(洪受完) 조졸

                            손자 군수 홍수인(洪受寅)

                            손자 감역 홍수익(洪受益0

                            손녀 현령 윤보(尹普)

                   오남 홍처구(洪處久) 조졸

                   딸 효녀 홍소저(洪小姐)

 

 

벽암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