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남-사복시정 한계상 처 숙인 안동김씨(司僕寺正 韓繼常). 한성부참군 한제유(韓濟愈), 사헌부 지평 한영조(韓永祚)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7. 12. 09:07

본문

728x90

사복시정 한계상 처 숙인 안동김씨(司僕寺正 韓繼常 妻 淑人 安東金氏)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4,

사복시정공 한계상(寺正公 韓繼常 : ?∼?, 16世)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선조(宣祖)때 의병(義兵)으로, 字는 상지(常之)이다.

부사공 한희(府使公 韓曦)의 아들이고 안양공 한종손(安襄公 韓終孫)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숙부인 연안이씨로 참찬 이숭원(參贊 李崇元)의 따님이다.

공은 천성이 강개(慷慨)하고 지략이 있었고 궁마(弓馬)를 좋아하였으며,

1674년(현종15)음사로 증 사복시 정(贈 司僕寺 正)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때 금산(錦山)싸움이 처참하였을 때 분연히 적개심을 일으켜 여러 읍에서 격문을 띄워

식량을 모으고 가솔을 거느리고 흥덕(興德)으로 나아가 야수 채홍국(蔡弘國)과 함께

금산(錦山)의 산졸(散卒)을 수습하고 군사 300여인을 거느리고 남당(南塘)에 이르러 피로써 맹서하고는

흥덕으로 유진(留陳) 하여 방비하니 7,8읍이 힘입어 온전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에 남원성(南原城)이 함락(陷落) 됨에

공이 남당회맹단 의병대장 채홍국(蔡弘國)과 같이 옛날 군사를 초집(招集)하여 호벌치(胡筏峙)에서 대진하여

각축전을 하기 수일 전에 제장(諸將)이 많이 죽으매 분개하여 나아가 싸워 수십 창상을 입으니

의병장 야수(野叟) 채홍국(蔡弘國)여곡(麗谷) 고덕붕(高德鵬)이 떠메고 귀가하였으나 순절하였다.

정유년에 의병을 다시 일으켰던 정유갱창동맹록(丁酉更倡同盟錄)의 한명으로

고창군 흥덕면 남당길 모충사(慕忠祠)에 배향되었으며,

모충사에는

평강채씨(平康蔡氏) 야수(野叟) 채홍국(蔡弘國)

장흥고씨(長興高氏) 여곡(麗谷) 고덕붕(高德鵬)  초명 고덕봉(高德鳳)

청주한씨(淸州韓氏) 사복시정(司僕寺正) 한계상(韓繼常)

김녕김씨(金寧金氏) 겁암(㥘巖) 김영년(金永年)

창녕조씨(昌寧曺氏) 화암(花巖) 조익령(曺益齡)

                   동생 오곡(梧谷) 조익수(曺益壽)

야수(野叟)의 장남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 채명달(蔡命達)

                 차남 훈련원정(訓鍊院正)       채경달(蔡慶達)

                 삼남                                 채영달(蔡英達)이 배향되어 있다.

 

배위 증 숙인 안동김씨(贈 淑人 安東金氏)는 부사 김성동(府使 金誠童)의 따님으로

아들은 대호군 한축(大護軍 韓軸), 참찬관 한복(參贊官 韓輹), 정략장군 한번(定略將軍 韓轓) 이다.

공은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창상(槍像)으로 집에서 순절하니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 선영(三溪面 漁隱里 先塋)에 장사하였는데 묘비는 추연 권용현(秋淵 權龍鉉)이 찬하여 세웠다.

공의 배위 증 숙인 안동김씨(配位 贈 淑人 安東金氏)는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후포등자리 (大旺面 後浦登子里)에 홀로 안장되었다. 석의(石儀)가 있다

通訓大夫司僕寺正韓公繼常 妻淑人安東金氏之墓

통훈대부사복시정한공계상 처숙인안동김씨지묘

 

 

 

 

===========================================================================================

 

 

 

한성부참군 한제유(韓濟愈)

有明朝鮮國漢城府參軍 韓公濟愈恭道之墓 淑人漢陽趙氏祔左

유명조선국한성부참군 한공제유공도지묘 숙인한양조씨부좌

 

 

 

======================================================================================

 

사헌부지평 한영조(韓永祚) ???

 

//사복시정 한계상(韓繼常) 가계도//

   조부 한종손(韓終孫) 좌익공신 청성군(佐翼功臣 淸城君) 안양공(安襄公)

아버지 한희(韓曦) 부사

어머니 숙부인 연안이씨 참찬 이숭원(參贊 李崇元)의 따님

         한계상(韓繼常) 사복시정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 선영자좌

         배위 숙인 안동김씨, 부사 증 대사헌 김성동(金誠童)의 따님

                장남 한축(韓軸) 대호군

                       손자 한응성(韓應聖) 금산전투 칠백의사(七百義士)

                차남 한복(韓輹) 충훈부도사, 참찬관

                       손자 한응문(韓應文) 첨정

                       배위 숙인 연안김씨 참봉 김벽(金壁)의 따님

                              증손자 한경생(韓慶生) 판관, 증 좌승지, 육우당(六友堂)

                              배위 숙부인 흥성장씨(无后), 사촌 정경세(沙村 鄭經世)의 따님

                              배위 증 숙부인 평양조씨, 동추공 조효원(同樞公 趙孝元)의 따님

                                     현손 한유량(韓有良) 현감, 증 이조참의

                                            5대손 한태유(韓泰愈) 부사

                                            5대손 한두유(韓斗愈) 부사

                                            5대손 한제유(韓濟愈) 한성부참군

                                            배위 숙인 한양조씨, 교리 조비(趙備)의 따님,

                                                     6대손 사헌부 지평 한영조(韓永祚) 

                                            5대손 한기유(韓起愈) 현감

                                     현손 한용량(韓用良) 부사

                                     현손 한익량(韓翊良) 통덕랑

                                     현손 한석량(韓碩良) 출척사

                                     현손 한우량(韓遇良) 첨지중추부사

                삼남 한번(韓轓) 정략장군(定略將軍)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