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인-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이치(李穉),백곡 이진(白谷 李稹)덕수이씨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7. 10. 23:24

본문

728x90

덕수이씨 순천군수 증 영의정 덕풍군 이통(德豐君 李通)의 오남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용인시 향토유적 제46호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산68-16

 

미강 이경증 신도비

 

신도비는 1774년(영조50)에 건립되었는데,

전액(篆額)은 대제학 문청공 뇌연 남유용(文淸公 雷淵 南有容)이 쓰고,

비문은 문순공 수암 권상하(文純公 遂菴 權尙夏)가 짓고

글씨는 대사성과 참판을 지낸 윤양후(尹養厚)가 썼다.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묘역 전경

資憲大夫吏曹判書 李公景曾之神道碑

자헌대부이조판서 이공경증지신도비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1595(선조28)∼1648(인조2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여성(汝省), 號는 미강(眉江) 또는 송음(松陰).

이함(李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인상(李獜祥)이고,

아버지는 군수 이통(李通)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문화유씨로 영의정 유전(柳㙉)의 딸이다. 권필(權韠)의 문인이다.

1613년(광해군5) 19세에 진사가 되었으나,

당시 폐모론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후

1624년(인조2)에 참봉으로 알성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전적과 정언, 예조·병조의 좌랑을 거친 뒤

1626년(인조4) 다시 정언이 되었으나,

당시 계운궁우제(啓運宮虞祭) 때 연평부원군 묵재 이귀(默齋 李貴)와의 의견 차이로 파직되었다.

그 뒤 다시 복직되어 전적(典籍)·정언(正言)·문학을 거쳐 지평이 되었고,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왕이 강화로 피란가자 어사로서 호남에 내려가 식량 조달에 공을 크게 세웠다.

그 뒤 5, 6년 간은 양사의 지평(持平)·헌납(獻納)·사간을,

세자시강원에서 사서·보덕 등을, 홍문관에서는 수찬(修撰)·응교(應敎) 등을 여러 차례 거쳤다.

교리 때에는 경천(敬天)·휼민(恤民)·납간(納諫)·용인(用人)·숭검(崇儉)·

돈종(敦宗)·진학(進學)·형내(刑內) 등 8조를 올려,

광해군 때의 해로운 풍습의 잔해를 쇄신하도록 주장해 왕이 가납(嘉納)하였다.

이어서 검상을 거쳐 사인·형조정랑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청주목사·응교·첨지가 되었고,

병자호란 때에는 병방승지로 호종해 공을 세워 환도 이후 도승지로 승격하였다.

곧이어 병조판서 겸 비변사유사 및 군공청당상(軍功廳堂上)을 맡아

전국 장사(將士)들의 공죄(功罪)를 잘 조사한 공으로 대사간이 되었다.

1638년(인조16)에는 왜인들이 침입이 빈번하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해 임기응변으로 일을 잘 처리하였다.

뒤에 병조판서가 되어 원접사(遠接使)로서 용만(龍灣)에 나갔으나 병으로 물러났다가

1644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조판서 때에는

충정공 백석 홍무적(忠貞公 白石 洪茂績)과

충경공 취헌 유백증(忠景公 翠軒 兪伯曾) 등의 질시와 배척을 받았으나

왕과 다른 대간들의 인정을 받았으며,

왜인들의 간교함과 민막(民瘼,백성의 고통)의 문제를 잘 처리하였다.

1645년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조희보(趙希輔)의

아들인 감역 조민(趙珉)을 잘못 기용한 일로 유배되었다.

1646년(인조24)에 지중추부사로 시관이 되어 시제를 국왕의 휘(諱)에 저촉되게 잘못 제출해

택당 이식(澤堂 李植)과 함께 삭출(削黜)되어 강교(江郊)에 은거하였다.

1649년(효종 즉위년) 신원되어 관작이 회복되었다.

신도비는 1774년(영조50)에 건립되었는데,

전액(篆額)은 대제학 문청공 뇌연 남유용(文淸公 雷淵 南有容)이 쓰고,

비문은 문순공 수암 권상하(文純公 遂菴 權尙夏)가 짓고

글씨는 대사성과 참판을 지낸 윤양후(尹養厚)가 썼다.

朝鮮吏曹判書李公景曾之墓 貞夫人完山李氏祔左

조선이조판서이공경증지묘 정부인완산이씨부좌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의 장남   호조정랑 이치(李穉)

 

(병자호란후 아버지 미강 이경증이 이조판서에 오르자

인질로 청나라 심양에 끌려갔다가 동생 백곡 이진(白谷 李稹)과 교체하여 귀국함)

戶曹正郞德水李公諱穉之墓 恭人全義李氏祔 恭人朔寧崔氏祔

호조정랑덕수이공휘치지묘 공인전의이씨부 공인삭령최씨부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의 차남  용인현령 단성현감  백곡 이진(白谷 李稹)

 

(병자호란후 아버지 미강 이경증이 이조판서에 오르자

형님 이치(李穉)가 인질로 청나라 심양에 끌려갔는데

형님을 대신하여 심양에서 인질생활을 마치고 소현세자와 함께 귀국하였다.)

龍仁縣令德水李公諱穉之壇 恭人綾城具氏祔

용인현령덕수이공휘진지단 공인능성구씨부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가계//

  6대조 지돈녕부사 강평공 이명신 (康平公 李明晨), 공주목사 홍주목사 

  5대조 괴산군수 온양군사 증 의정부좌찬성 이추(李抽) 

고조부 풍성군이의번(豊城君 李宜蕃)

증조부 해풍군 이함(海豊君 李菡)

   조부 선공감역, 증 참판 덕안군 이인상(德安君 李麟祥)

아버지  순천군수 증 영의정 덕풍군 이통(德豐君 李通)

어머니 정경부인 문화유씨, 영의정 우복당(愚伏堂) 유전(柳琠)의 따님

            형님 사간원정언 황해병사 이경안(李景顏) 

            형님 백천군수 첨지중추부사 증 의정부 영의정 이경민(李景閔) 

            형님  전라도관찰사 이경용(李景容)

            형님 병조참판 이경헌(李景憲)

           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병조판서 이조판서

           배위 정부인 완산이씨, 순화군(順和君) 이보(李?)의 따님. 선조대왕의 손녀

                장남 호조정랑 이치(李穉) 

                배위 공인 전의이씨, 정랑 이석기(李碩基)의 따님

                배위 공인 삭령최씨, 현령 최극량(崔克良)의 따님

                          손자 이희중(李喜重), 이희동(李喜東)

                차남 용인현령, 단성현감 백곡 이진(白谷 李稹), 

                배위 공인 능성구씨, 평안도관찰사 구봉서(具鳳瑞)의 따님

                          손자 이희재(李喜栽)

                          손자 양성현감 이희개(李喜開)

                삼남 이혜(李嵇) 대사간

                배위 정부인 평산신씨

                          손자 목사 이희유(李喜濡) 

                          손자 광주목사 이희담(李喜聃) 

                          손자 증 이조참의 이희남(李喜楠) 

                          손자 옥천군수 이희함(李喜涵)  

                          손자 이희렴(李喜濂)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