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남-송석 이경안 松石 李景顔, 이직李稷, 능호 이래 菱湖 李棶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7. 5. 21:57

본문

728x90

덕수이씨 덕풍군 이통의 장남  송석 이경안(松石 李景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37-4

 

贈承政院都承旨 行司諫院正言李公景顔之墓  贈淑夫人彦陽金氏祔左

증승정원도승지 행사간원정언이공경안지묘  증숙부인언양김씨부좌

 

송석 이경안 松石 李景顔 (1572(선조5)~1614(광해군6))

본관은 덕수(德水). 는 여우(汝愚), 는 송석(松石)이다.

아버지는 순천군수를 지낸 이통(李通), 어머니는 정경부인 문화유씨로 영의정 우복당(愚伏堂) 유전(柳琠)의 따님이다.

조부는 감역을 지낸 이인상(李麟祥) 증조부는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이다.

아버지 이통의 생부는 이원근(李元謹)으로 덕안군 이인상(德安君 李麟祥)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1591(선조24)에 진사시에 입격하고,

1605(선조3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8(광해군 즉위년)에 학정(學正)으로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예조좌랑, 정언을 거쳐

1619(광해군11) 강서현령, 중화부사, 황해병사를 역임하였다.

문예에 뛰어나 이름을 일대에 떨쳤으며,

그의 시부(詩賦) 작품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유생에 의하여 다투어 전사되어 세상에 크게 유행되었다.

 

이통(李通)은 슬하에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모두 현달하였다.

첫째 아들 이경안(李景顏)은 사간원정언과 황해병사를 지냈으며

둘째 아들 이경민(李景閔)은 진사시를 거쳐 첨지중추부사를 지냈으며,

셋째 아들 이경용(李景容)은 전라도관찰사를 지냈으며,

넷째 아들 이경헌(李景憲)은 병조참판을 지냈고,

다섯째 아들 이경증(李景曾)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묘역 전경    상단부터

덕풍군 이통(德豊君 李通)/// 숙인 진주정씨(경산현령 이원근 배위, 덕풍군 이통 모친)/// 송석 이경안(松石 李景顔)

 

 

덕풍군 이통의 장손자  통덕랑 이직(李稷)

 

通德郞德水李公諱稷之墓 恭人高靈申氏

통덕랑덕수이공휘직지묘 공인고령신씨

 

 

 

의정공이경민(議政公 李景閔)의 삼남 승정원좌승지 이래(李棶)

능호 이래 菱湖 李棶(1603선조36~1650효종원년)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추빈(秋賓). 號는 능호(菱湖).

이경민(李景閔)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영성군 이축 (永城君 李祝)의 따님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원근(李元謹)이며, 

부인은 의성김씨 참봉 김광지(金匡址)의 딸이다.

계자는 중형 정산현감 이엄(李掩)의 삼남 이희장(李喜長)이다.

1624년(인조2) 소과 진사시(進士試)에 3등 입격

1637년(인조15) 종묘부봉사를,

1638년(인조16) 문과정시 을과 2등으로 급제.

1639년 사헌부 지평으로,

1640년 사간원 정언과 사헌부 장령을 각각 역임하면서 대간직을 수행했다.

이 때 다시 예조정랑으로 옮겨

판중추부사 분사 이성구(汾沙 李聖求),

예조참판 추천 정광경(秋川 鄭廣敬)과 함께 중국 심양으로 가서 소현세자의 귀근(歸勤)에 대한 사례사를 하고 돌아왔다.

 

1643년(인조21) 다시 홍문관 수찬과 교리 등을 거쳐

1647년(인조25)에는 좌승지 우승지를 역임했고, 지제교를 겸하여 이름을 떨쳤다.

봉림대군 책봉 당시 책문(冊文)을 선포하였으며,

광주부윤으로 나갔다가 남한산성(南漢山城)의 조곡(糶穀)을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고초를 겪기도 했다.

사후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吏曹) 참판(參判)에 증직되었다.

贈嘉善大夫吏曹參判 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弘文館直提學藝文館直提學尙瑞院正

증가선대부이조참판 겸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 홍문관직제학예문관직제학상서원정

行承政院左承旨 德水李公諱棶之墓 贈貞夫人義城金氏祔左

행승정원좌승지 덕수이공휘래지묘 증정부인의성김씨부좌

 

 

의정공 이경민(議政公 李景閔)의 삼남 승정원좌승지 이래(李棶) 묘소후경

 

 

 

덕수이씨 의정공파 세장묘역

//백천군수 의정공 이경민(議政公 李景閔) 가계도//

고조부 풍성군이의번 豊城君李宜蕃

증조부 해풍군 이함 海豊君 李菡

   조부 덕안군 이인상 德安君 李麟祥 선공감역, 증 참판

생조부 이원근李元謹 경산현령 증 집의

생조모 증숙인진주하씨, 무후, 봉사 하취홍(河就洪)의 따님,홍문관교리 하윤(河潤)의 손녀

생조모 숙인 진주정씨, 기장군수 감찰 정희경(鄭熙慶)의 따님

      아버지 이적李適 증 좌승지 早歿

         생부 덕풍군 이통 德豐君 李通, 순천군수 증 영의정

         생모 정경부인 문화유씨, 영의정 우복당(愚伏堂) 유전(柳琠)의 따님

                형님 이경안李景顏 사간원정언 황해병사 

                       조카 이직李稷 통덕랑

                의정공이경민 議政公李景閔 백천군수 첨지중추부사  出系 이적李適 증 좌승지

                배위 증 정경부인 전주이씨, 종실 영성군 이축(寧城君 李祝)의 따님

                       장남 이주李柱 군수

                       차남 이엄李掩 정산현감

                       삼남 이래李棶 승정원좌승지

                              손자 이희장(李喜長), 生父 정산현감 이엄李掩

                배위 정경부인 성주이씨, 병절교위 이하(李河)의 따님

                       1남 이유李秞 형조참판

                       2남 이화李和

                       3남 이빈李穦 경상병마절도사

                       4남 이류李榴 장연부사

                       5남 이권李?

                       6남 이기李稽

                       7남 이칭李秤

                       8남 이성李?

                      측실 이담李?,

                             이자李䆅

               동생 이경용李景容 전라도관찰사

               동생 이경헌李景憲 병조참판

               동생 이경증李景曾 송은松陰, 병조판서 이조판서, 증시 효정공孝貞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