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이씨 덕풍군 이통李通)의 3남 전라도관찰사 두곡 이경용(杜谷 李景容)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산 24-1
관찰사 두곡 이경용 杜谷 李景容
1580년(선조13)~1635년(인조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여복(汝復), 號는 두곡(杜谷), 계곡(桂谷).
이함(李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아버지는 군수 이통(李通)이며, 어머니는 영의정 유전(柳㙉)의 딸이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18년(광해군1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보직을 받았다.
1623년(인조1) 인조반정 후 승문원정자가 되었으며,
1624년(인조2) 1월에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김류(金瑬)가 역모를 진압할 군대조달에 대한 방법을 건의하였다.
이때 그는 광주(廣州)와 죽산(竹山)에 소속된 네 고을의 군사를 거느리고 남한산성(南漢山城)에 들어가 지켰다.
이후 지평을 거쳐 정언, 교리·동부승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좌부승지로서 교동(喬桐)에 파견되어 수군을 검열하고 이어 호군(軍)하였다.
이때 백성들이 가난에 굶주리고 관가의 여러 가지로 피해가 많은 것에 대하여 구휼책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우승지로서 능력을 인정받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는데,
당시 해서(海西) 지방이 탕진되어 백성들이 곤핍을 당하고 있었다.
그런 중에도 과다하게 포보(砲保) 등이 부과됨으로써 세초(歲抄)에 대한 올바른 사정을 진정하였다.
1627년(인조5) 정묘호란 직후에는 광주목사(廣州牧使)로 부임하였는데,
서울과 가까워서 귀족공경(貴族公卿)이 많은 지방이었으나 일을 공정하게 잘 처리하여 칭송을 들었다.
1629년(인조7)에는 황해도관찰사로서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수백 본(本)을 인쇄하여 반포하였다.
참찬관, 양양부사,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글씨가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와 예서를 잘 썼다고 한다.
嘉善大夫全羅道觀察使 德水李公景容之墓 貞夫人安東權氏祔左
가선대부전라도관찰사 덕수이공경용지묘 정부인안동권씨부좌
덕수이씨 덕풍군 이통李通)의 3남 전라도관찰사 두곡 이경용(杜谷 李景容) 묘소후경
멀리 대왕저수지가 보인다.
//전라도관찰사 두곡 이경용(杜谷 李景容) 가계도//
6대조 이명신李明晨 지돈녕부사 공주목사 홍주목사 강평공(康平公)
5대조 이추李抽 괴산군수 온양군사 증 의정부좌찬성
고조부 풍성군이의번 豊城君 李宜蕃
증조부 해풍군 이함 海豊君 李菡
조부 덕안군 이인상 德安君 李麟祥 선공감역, 증 참판
아버지 덕풍군 이통 德豐君 李通, 순천군수 증 영의정
어머니 정경부인 문화유씨, 영의정 우복당(愚伏堂) 유전(柳琠)의 따님
형님 이경안李景顏 사간원정언 황해병사
형님 이경민李景閔 백천군수 첨지중추부사 의정공
조카 이주李柱 군수
조카 이엄李掩 사헌부감찰 제천현감 정산현감
조카 이래李棶 승정원좌승지
손자 이희장(李喜長), 生父 정산현감 이엄李掩
두곡 이경용 杜谷 李景容 전라도관찰사
배위 정부인 안동권씨, 첨정 권질(權耋)의 따님
자 이엄李掩 사헌부감찰 제천현감 정산현감 生父 의정공 이경민李景閔
손자 이희원李喜元
손자 이희문李喜文
손자 이희장李喜長 出系 叔父 이래李棶 승정원좌승지
손자 이희백李喜白
동생 이경헌李景憲 병조참판
동생 이경증李景曾 송은松陰, 병조판서 이조판서, 증시 효정공孝貞公
용인-효정공 미강 이경증(孝貞公 眉江 李景曾), 이치(李穉),백곡 이진(白谷 李稹)덕수이씨 (0) | 2020.07.10 |
---|---|
성남-병조참판 지전 이경헌(芝田 李景憲), 덕수이씨 (0) | 2020.07.08 |
성남-송석 이경안 松石 李景顔, 이직李稷, 능호 이래 菱湖 李棶 (0) | 2020.07.05 |
성남-덕풍군 이통(德豐君 李通), 경산현령 이원근(李元謹)배위 숙인 진주정씨 (0) | 2020.07.04 |
성남-의정공 이경민 議政公 李景閔,德水李氏 議政公派 墓域 덕수이씨 의정공파 묘역 (0) | 202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