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남-신종군 공간공 이효백 묘소(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구름에 달

by 碧巖 2021. 2. 16. 23:42

본문

728x90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성남시 향토문화재 제8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50-8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1433년(세종 15)~1487년(성종 18).

본관은 전주(全州). 字는 희삼(希參). 시호(諡號)는 공간(恭簡)

아버지는 조선 2대 임금인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川君) 적덕공(積德公) 이후생(李厚生)이며,

어머니는 고택군부인(高澤郡夫人) 장수이씨로 설죽 이종무(襄厚公 雪竹 李從茂)장군의 따님이다.

부인은 현부인 예안최씨(縣夫人 禮安崔氏)로 동지중추부사 최경례(崔景禮)의 따님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이름을 효백(孝伯)이라 불렀고, 궁술(弓術)이 비상하여

1459년(세조5) 27세에 임금이 직접 참가한 모화관(慕華館)의 시사(試射)에서

30발의 화살 중 29발을 과녁에 명중시킨 적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세조의 특명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정의대부(正議大夫:종2품 종친계)에 오르고 1467년(세조13) 35세에 신종군(新宗君)에 봉하여졌다.

그 해에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키자 세조가 친정(親征)을 떠날 때 선봉장으로 내정되었고,

이듬해에는 무과에 급제하여 품계를 더하였다.

종친(宗親)은 전례에 따라 부시(赴試, 과거에 응시)를 허락하지 않았으나,

세조가 그해부터 특별히 부시(赴試)를 허락하였기 때문이다.

 

 

1468년 9월 예종이 즉위한 후에는 임금의 명으로 갑사 가운데 호랑이를 잡기위한 별도의 직종인

착호갑사(捉虎甲士)와 겸사복을 거느리고 양주 등지에 호랑이 사냥을 나가기도 했으며,

승헌대부(承憲大夫:정2품 종친계)에 올라   겸사복장(兼司僕將)에 제수되었으나,

학식이 없음을 이유로 후일 학업을 성취한 후 다시 기용하기로 하고 체임되었다.

성종 때에는 임금이 하사한 활에 금이 갔다는 이유로

내관을 시켜 바꾸려 하다가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아우   부윤도정 이효숙(富潤都正 李孝叔),

           운수군 이효성(雲水君 李孝誠),

           송림군 이효창(松林君 李孝昌)과 함께 4형제가 모두 활을 잘 쏘았는데,

그 중 신종군 이효백(新宗君 李孝伯)이 가장 잘 쏘아 세조, 예종, 성종 등 역대 임금의 사랑을 받았다.

거평정 이복(居平正 李復)과 진례정 이형(進禮正 李衡), 금산정 이연(金山正 李衍) 등

일곱 사람을  함께  활을 잘쏘아 사종(射宗)이라 일컬어진다.

시호(諡號)는 공간(恭簡)인데, 일을 공경하여 웃사람에게 이바지하는 것이 공(恭)이요

평이(平易)하고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간(簡)이다.

承憲大夫兵曹判書新宗君 諡恭簡全州李公諱孝伯之墓 配縣夫人禮安崔氏雙窆

승헌대부병조판서신종군 시공간전주이공휘효백지묘 배현부인예안최씨쌍폄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가계//

할아버지 조선2대 정종 이방과(定宗 李芳果)

할머니 성빈지씨(誠嬪地氏), 충주인 문하찬성사 지윤(池奫)의 따님

아버지 덕천군 적덕공 이후생(德川君 積德公 李厚生)

어머니 고택군부인(高澤)장수이씨,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양후공 설죽 이종무(襄厚公 雪竹 李從茂) 따님

         동생 부윤도정 이효숙(富潤都正 李孝叔)

         동생 운수군 이효성(雲水君 李孝誠)

         동생 송림군 이효창(松林君 李孝昌)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1433~1487)

         배위 현부인 예안최씨(縣夫人 禮安崔氏), 동지중추부사 최경례(崔景禮)의 따님

               장남 완성군 이귀정(莞城君 李貴丁,1454~1527)

                     손자 화령부수 이계성(化寧副守 李繼性)

                     손자 상산부수 이계보(商山副守 李繼保)

                     손자 변성부수 이계련(변성부수 이계련)

                     손자 함풍군 이계수(咸豐君 李繼壽,1477~1558)

                            증손자 충의위 증 의정부좌찬성 이수광(李秀光),

                                   현손 증 영의정 우곡 이유간(愚谷 李惟侃)

                                         5대손 문충공 백헌 이경석(文忠公 白軒 李景奭) 영의정

                                              6대손 평시서령 괴원 이철영(槐園 李哲英)

                                                   7대손 형조정랑, 증 이조판서 이우성(李羽成)

                                                          8대손 대제학 도운 이진망(陶雲 李眞望)

                                                                9대손 대제학 관양 이광덕(冠陽 李匡德)

               차남 신곡수 이부정(薪谷守 李富丁)

                      손자 영창부수 이연동(永昌副守 李連仝)

                             증손자 예조참판 이억상(李億祥)

                      손자 심주군 이연손(沁洲君 李連孫)

                             증손자 전라우수사 의민공 송봉 이억기장군(毅愍公 松峰 李億祺)

               삼남 소성수 이순정(召城守 李順丁)

               사남 학성군 이연정(鶴城君 李連丁)

               오남 오원군 이보정(五原君 李寶丁)

               육남 장연령 이은동(長淵令 李銀同)

               칠남 장흥령 이은손(長興令 李銀孫)

               팔남 상산군 이말손(商山君 李末孫)

               구남 회진군 이경손(會津君 李敬孫)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