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남-봉성령 이형중(蓬城令 李炯仲),어모장군 이숙(李塾), 진사 이기범(進士 李箕範), 이조판서 문천 이돈(文泉 李塾),

구름에 달

by 碧巖 2021. 2. 25. 23:01

본문

728x90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의 증손자 봉성령 이형중(蓬城令 李炯仲)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산 17-1

 

光成大夫蓬城令 完山李公諱炯仲之墓 配溫人務安朴氏祔左

광성대부봉성령  완산이공휘형중지묘  배온인무안박씨부좌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의 현손  어모장군 이숙(李塾)

 

봉산군 이형인(蓬山君 李炯麟)의 장남 어모장군 이숙(李塾)

 

어모장군 이숙(李塾,1621~1689)

본관은 전주(全州). 字는 학이(學而).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현손(玄孫)으로,

봉산군 이형신(蓬山君 李烱信)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증 군부인 청주한씨는 판관 한득일(韓得一)의 따님이다.

조부는 귀천군 이수(龜川君 李睟)이고, 증조부는 풍산군 이종린(豊山君 李宗麟)이다.

부인은 숙인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무반으로 진출하여 정3품 당하관 품계인 어모장군(禦侮將軍)까지 올랐으며,

행직으로 충좌위(忠佐衛)의 종육품(從六品) 군직(軍職)이던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했다.

 

1581년에 중중의 아들이던 덕양군 이기(德陽君 李崎)가 죽어

당시 광주 낙생리 와동에 장사지낸 이래 분당 궁내동 일대에 덕양군파 묘역이 조성되었고,

그 이후 전주이씨 세거지가 되었다.

묘소는 성남 분당구 궁내동 전주이씨 선영에 있다.

문정공 우암 송시열(文正公 尤庵 宋時烈)이 찬하고

문인 문순공 수암 권상하(文純公 遂菴 權尙夏)가 쓴 묘갈(墓碣)이 남아 있는데,

1701년(숙종27)에 건립한 것이다. 행장(行狀)은 후손 이기홍(李箕洪)이 찬했다.

有明朝鮮禦侮將軍 行忠佐衛副司果李公之墓 孺人礪山宋氏祔左

유명조선어모장군  행충좌위부사과이공지묘  유인여산송씨부좌

 

朝鮮國禦侮將軍 忠佐衛副司果完山李公諱塾之墓 配淑人礪山宋氏合祔

조선국어모장군  충좌위부사과완산이공휘숙지묘  배숙인여산송씨합부

 

봉산군 이형신(蓬山君 李炯信)의 장남 어모장군 이숙(李塾) 묘역후경

 

 

 

 

어모장군 이숙(李塾) 아들  진사 이기범(進士 李箕範)

 

進士完山李公諱箕範之墓 配孺人綾城具氏祔左 配孺人淸州韓氏 配孺人高興柳氏之靈

진사완산이공휘기범지묘   배유인능성구씨부좌   배유인청주한씨   배유인고흥유씨지영

 

 

 

 

 

 

 

 

 

 

봉산군 이형신(蓬山君 李炯信)의 아들   이조판서 문경공 문천 이돈(文敬公 文泉 李塾) 지단

資憲大夫吏曹判書 文泉完山李公諱墪靈位之壇 贈貞夫人漆原尹氏之靈祔左 貞夫人順興安氏之靈祔右

자헌대부이조판서  문천완산이공휘돈영위지단   증정부인칠원윤씨지영부좌  정부인순흥안씨지영부우

朝鮮國資憲大夫 吏曹判書兼 弘文館提學 文泉李公神道碑

조선국자헌대부  이조판서겸   홍문관제학  문천이공신도비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 묘역하단 성균관박사 이인규(李麟圭) 묘소

 

成均館博士全州李公諱麟圭之墓 配宜人延日鄭氏合祔

성균관박사 전주이공휘인규지묘  배의인연일정씨합부

 

묘역에서 내려본 정희사(靖僖祠) 후경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 묘역하단  후손 이종태(李鍾泰) 묘소

全州李公諱鍾泰之墓 配靑松沈氏合祔

전주이공휘종태지묘   배청송심씨합부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의 증손자 봉산군 이형신(蓬山君 李炯信)가계//

   조선 11대 중종(中宗), 진성대군 이역(晉城大君 李懌)

   증조부 덕양군 정희공 이기(德陽君 靖僖公 李岐)

할아버지 풍산군 이종린(豊山君 李宗麟)

     백부 귀성군 이첨(龜城君 李瞻,귀성군 이첨)

   아버지 귀천군 충숙공 이수(龜川君 忠肅公 李睟, 귀천군 이수) 정실4남, 측실7남

             형님 봉래군 이형윤(蓬萊君 李炯胤,1593~1645)

                       조카 현감 이지(李至)

                       조카 사간 이후(李垕)

                       조카 지돈녕부사 이무(李堥)

                       조카 현감 이재(李㘽)

            형님 봉원수 이형준(蓬原守 李炯儁),

            봉산군 이형신(蓬山君 李炯信,1603~1682)

            배위 청주군부인 한씨, 가선대부 군수 한형(韓詗)의 따님

                       장남 어모장군 이숙(李塾,1621~1689)

                               손자 직재 이기홍(直齋 李箕弘,1641~1708)청풍부사사헌부집의

                               손자 진사 이기범(進士 李箕範)

                                           증손자 이시(李蓍)

                       차남 첨지중추부사 이질(李耋)

                       삼남 이조판서 문경공 문천 이돈(文敬公 文泉 李塾)

                       사남 예조참판 경기관찰사 이야(李壄)

                       오남 돈녕부도정 이당(李堂)

                       육남 돈녕부도정 이서(李敍)

             동생 봉주수 이형길(蓬洲守 李炯佶)

             동생 봉창수 이형엄(蓬昌守 李炯儼)

             동생 하계군 이형륜(夏溪君 李炯倫)

             동생 봉성령 이형중(蓬城令 李炯仲)

             동생 봉풍령 이형임(蓬豐令 李炯任)

             동생 봉흥도정 이형좌(蓬興都正 李炯佐)

             동생 봉천령 이형우(蓬川令 李炯佑)

             동생 봉계도정 이형건(蓬溪都正 李炯健)

             동생 봉강도정 이형급(蓬江都正 李炯伋)

    숙부 귀원군 이조(龜原君 李眺)

    숙부 귀봉군 이현(龜峯君 李睍)

    숙부 귀산군 이권(龜山君 李睠)

    숙부 귀흥군 이섬(龜興君 李睒)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