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간공 신곡 윤계 순절비(忠簡公 薪谷 尹棨 殉節碑)
경기도유형문화재 제85호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 산 29
충간공 신곡 윤계 순절비(忠簡公 薪谷 尹棨 殉節碑)
병자호란 때 순절한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추모비로, 1668년(현종 9) 건립되었다
충간공 신곡 윤계(忠簡公 薪谷 尹棨)
(1603년(선조36)~1636,인조14)
조선 인조(仁祖) 때의 척화신(斥和臣).
본관은 남원(南原). 字 신백(信伯), 號 신곡(薪谷). 諡號 충간(忠簡),
지중추부사 윤우신(尹又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교리 윤섬(尹暹)이고,
아버지는 현감 윤형갑(尹衡甲)이며,
어머니는 창원황씨(昌原黃氏)로 관찰사 황치경(黃致敬)의 따님이다.
동생은 병자호란 때 청과의 화의를 반대하여
청나라로 끌려가 순절한 삼학사(三學士)중 한명으로 삼학사는
남원인 증 영의정 충정공 임계 윤집(忠貞公 林溪 尹集)
1606(선조39)~1637(인조15), 父 현감 윤형갑(尹衡甲)
남양인 증 영의정 충정공 화포 홍익한(忠正公 花浦 洪翼漢)
1586(선조19)~1637(인조15), 父 진사 홍이성(洪以成)
해주인 증 영의정 충렬공 추담 오달제(忠烈公 秋潭 吳達濟)
1609(광해군1)~1637(인조15), 父 목사 오윤해(吳允諧)
1624년(인조2) 22세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627년(인조5) 25세에 정묘호란 때 상소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다.
이 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에 배속되고,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서 전적(典籍)에 승진,
이어 옥당(玉堂)에 들어가 홍문관교리(校理)가 되고,
1629년 이조좌랑과 1636년(인조14) 34세에 남양부사에 이르렀다.
이 해 겨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이 남한산성에 포위되자 근왕병(勤王兵)을 모집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가려다 청병에게 붙잡혀 굴하지 않고 대항하다가
몸에 난도질을 당하여 죽었으니 이때가 34세였다.
뒤에 이초참판에 추증되어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비는 연꽃무늬를 새긴 받침돌 위에 비문을 세운 간결한 모습이다.
1668년(현종9년)에 세운 비로,
당시 우의정이었던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글을 짓고,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이 글씨를 썼으며,
전액은 둔춘 민유중(屯村 閔維重)이 썼다.
尹棨先生殉節碑
윤계선생 순절비
有明朝鮮國忠臣 贈嘉善大夫吏曹參判정原君 行通訓大夫南陽府使尹公殉節碑
유명조선국충신 증가선대부이조참판정원군 행통훈대부남양부사윤공순절비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 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世子傅 宋時烈 記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겸영경연사감춘추관사세자부 송시열 기
正憲大夫議政府左參贊 兼成均館祭酒世子贊善 宋浚吉 書
정헌대부의정부좌참찬 겸성균관제주세자찬선 송준길 서
嘉善大夫平安道觀察使 兼兵馬水軍節度使 兩西管餉使平壤府尹 閔維重 篆
가선대부평안도관찰사 겸병마수군절도사 양서관향사평양부윤 민유중 전
//남원윤씨 용원군 충간공 신곡 윤계 가계//
8대조 함길도 도관찰출척사 윤임(尹臨)
7대조 선공감 봉사 윤지득(尹之得)
6대조 군자감 판관 윤은(尹訔)
5대조 군자감 정 윤시영(尹時英)
고조부 장사랑 윤징(尹澄)
증조부 지중추부사 윤우신(尹又新)
할아버지 교리 증 영의정 과재 윤섬(果齋 尹暹)
아버지 현감 증 이조판서 충강공 윤형갑(忠康公 尹衡甲)
어머니 창원황씨(昌原黃氏) 관찰사 황치경(黃致敬)의 따님
용원군 충간공 신곡 윤계(龍原君 忠簡公 薪谷 尹棨,1603년(선조36)~1636년(인조14)
초배위 증 정부인 동래정씨
재배위 증 정부인 밀양박씨
동생 증 영의정 충정공 임계 윤집(忠貞公 林溪 尹集,1606~1637)
바로 옆에 같이 세워져 있는 비
南陽靑年農業會長洪公益善紀念碑
남양청년농업회장 홍공익선기념비
화성-증 이조판서 이홍(李洪), 태인현감 이경욱(李慶郁), 대제학 이침(李沉) (0) | 2021.03.06 |
---|---|
화성-단산도정 이수(丹山都正 李穗) 묘, 은산도정 이권(恩山都正 李權), 익흥군 이희조(益興君 李熙措)묘소 (0) | 2021.03.05 |
성남-숙의이씨(淑儀李氏), 숙의김씨(淑儀金氏), 조선 11대 중종(中宗),덕양군 이기 모친(德陽君 李岐) (0) | 2021.02.26 |
성남-봉성령 이형중(蓬城令 李炯仲),어모장군 이숙(李塾), 진사 이기범(進士 李箕範), 이조판서 문천 이돈(文泉 李塾), (0) | 2021.02.25 |
성남-봉래군 이형윤 묘(蓬萊君 李炯胤),봉산군 이형신 묘(蓬山君 李炯信) (2) |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