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성공 압구정 한명회(忠成公 狎鷗亭 韓明澮), 사우당 한명회(四友堂 韓明澮)
충남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속창리 산 11-1,
한명회(韓明澮,1415년~1487)의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다.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 압구(狎鷗), 사우당(四友堂)이며,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할아버지는 예문관 제학 한상질(韓尙質)이고, 작은 할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한상덕(韓尙德)이다.
아버지는 증 영의정 한기(韓起)이고 어머니는 예문관 대제학 이적(李逖)의 따님 여주이씨이다.
한명회(韓明澮)는 어린 시절에 일찍 부모님과 할아버지를 여위고
작은 할아버지인 한상덕(韓尙德)에 의하여 길러졌다고 하는데,
한상덕(韓尙德)은 태종의 곁에서 입직대언(入直代言)이라는 승지와 같은 일을 하였는데
태종이 양잠산업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서적이 한 권도 없음을 알고
원나라 양잠농서인 '농상집요' (農桑輯要)를 번역토록 한상덕(韓尙德)에게 하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 '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가 번역되었다.
한명회(韓明澮)의 부인은 중추원사 민대생(閔大生)의 따님인 여흥민씨로 1남 4녀를 두었으니
장녀는 세종의 따님 정현옹주의 아들 영천군 윤번(鈴川君 尹磻)과 결혼하였고
차녀는 친구인 문충공 희현당 신숙주(文忠公 希賢堂 申叔舟)의 아들인 증 참판 신주(申澍),
삼녀는 예종 왕비 장순왕후(章順王后)로
세조의 차남 예종과 결혼하여 인성대군을 낳았지만 출산 5일만에 사망하였다.,
사녀는 성종 왕비 공혜왕후(恭惠王后)로
세종의 장남 의경세자의 차남 성종과 혼인하였으나 후사가 없이 일찍죽었다.
두명의 딸이 왕비가 되는 영예를 얻었다.
압구정 한명회(狎鷗亭 韓明澮)는 작은 할아버지 한상덕(韓尙德)의 도움으로 열심히 공부하였으나
관운이 없던지 번번이 과거에 실패하여 30대 후반이 될 때까지 벼슬길에 나가지 못했다.
그러다가 1452년(문종 2)에 겨우 경덕궁(敬德宮)의 궁직으로 일하게 되었다.
단종 즉위 후 친구인 소한당 권람(所閑堂 權擥)의 추천으로 수양대군 이유(首陽大君 李瑈)와 만난 한명회는
홍달손(洪達孫)을 비롯한 30여 명의 무사를 모아 계유정난을 성공시켜 정난공신이 되었고,
이때부터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승승장구 하였다.
1455년(세조 1)에 수양대군 이유(首陽大君 李瑈)가 세조로 왕위에 오른 후
좌부승지, 좌승지, 도승지를 거쳐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지냈다.
1459년(세조5)에는 황해,평안,함길,강원 4도의 체찰사가 되었고, 그 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냈다.
1469년(예종 1)에 영의정이 되었지만 곧 사임했다. 성종이 즉위한 후에는 원상으로서 정무를 돌봤고,
1471년(성종 2)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훈되었다.
두 딸을 각각 예종과 성종에게 시집보내 국구(國舅)가 되었으며, 훈척으로서 막대한 부와 권력을 누렸다.
輸忠衛社協策靖難同德左翼 保社炳幾定難翊載 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 보사병기정난익대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
領經筵春秋館弘文館藝文館觀象監事 世子師江原黃海平安咸吉都體察使 判兵曺事上黨府院君贈諡忠成韓公之墓
영경연춘추관홍문관예문관관상감사 세자사강원황해평안함길도체찰사 판병조사상당부원군증시충성한공지묘
黃驪府夫人閔氏之墓
황려부부인민씨지묘
//청주한씨 평간공파 상당부원군 충성공 압구정 한명회(忠成公 狎鷗亭 韓明澮) 가계//
고조부 호부상서 청성군 평간공 백당 한공의(淸城君 平簡公 栢堂 韓公義)
증조부 우문관대제학 문경공 류항 한수(文敬公 柳巷 韓修)
조부 조선개국공신 예문관대제학 한상질(韓尙質)
조모 창화군부인 경주이씨, 문하시중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성림(李成林)의 따님, 1녀
조모 창화군부인 청풍송씨, 청풍도사 송신의(宋臣議)의 따님, 1남 2녀
부친 사헌부감찰 증 영의정 한기(韓起)
모친 증 정경부인 여주이씨, 예문관 대제학 이적(李逖)의 따님
동생 서원군 한명진(西原君 韓明溍) - 만해 한용운의 선조
배위 안동권씨, 문경공 권제(文景公 權踶)의 따님. 길창부원군 소한당 권람(所閑堂 權擥)의 동생.
상당부원군 충성공 압구정 한명회(忠成公 狎鷗亭 韓明澮, 1415~1487)
배위 황려부부인 여흥민씨, 중추원사 민대생(閔大生)의 따님, 1남 4녀
단종비 정순왕후의 외조부 민소생(민소생)의 형님
장녀 증 참판 신주(申澍), 문충공 희현당 신숙주(文忠公 希賢堂 申叔舟)의 아들
차녀 영천군 윤번(鈴川君 尹磻)
삼녀 장순왕후(1445~1464) 예종의 정비
사녀 공혜왕후(1465~1474) 성종의 정비
장남 낭성군 양호공 한보(琅城君 襄胡公 韓堡, 1447~1522)
배위 한산이씨, 한성군 이훈(李塤)의 따님
손자 공조정랑 향설당 한경기(香雪堂 韓景琦)
증손자 증 호조참판 한협(韓勰)
현손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한응운(韓應雲)
증손자 증 병조판서 한숭(韓嵩)
손자 승사랑 한경종(韓景琮)
증손자 안성,안악,상주목사 한현(韓絢)
손자 청녕위 한경침(淸寧尉 韓景琛), 성종의 따님 공신옹주의 남편.
증손자 한찬(韓瓚)
손자 한경환(韓景環)
손자 한경순(韓景珣)
배위 정경부인 연일정씨, 통의원사 정종화(鄭宗和)의 따님, 포은 정몽주의 서손녀(庶孫女)
차남 진용교위 한복(韓福)
삼남 사직 한임(韓林)
사남 사직 한수(韓壽)
배위 정경부인 정주이씨, 선천 공조의 따님
오남 한목(韓睦)
육남 한석(韓碩)
칠남 종사랑 한서(韓恕)
팔남 한윤(韓倫)
구남 한우(韓佑)
십남 한온(韓瘟)
수원-월곡 이완(李浣),청양현감 이손(李蓀), 통덕랑 이진성(李軫星), 진사 이창계(李彰桂), 성주이씨 평간공파 월곡문중 (0) | 2022.12.21 |
---|---|
삼척-공양왕릉(恭讓王陵), 정창부원군 공양왕 왕요(定昌府院君 恭讓王 王瑤) (0) | 2022.12.18 |
천안-사우당 한명회(四友堂 韓明澮), 충성공 압구정 한명회(忠成公 狎鷗亭 韓明澮) (0) | 2022.12.16 |
춘천-봉의산 순의비(鳳儀山 殉義碑) (0) | 2022.12.14 |
춘천-창촌리 삼층석탑, 창촌리사지(倉村里寺址), 춘천 봉화산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