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군포-증 이조참판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증 좌찬성 구숙(具橚),성균진사 구정상(具鼎相),한성판관 구만희(具萬喜)

구름에 달

by 碧巖 2024. 10. 17. 08:27

본문

728x90

능성구씨 삭녕군수 증 이조참판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호종원종공신, 청백리

경기도 군포시 도마교동 산11

능성구씨 군포 송정지구 입향조

綾城具氏參判公史蹟碑

능성구씨참판공사적비

삭녕군수 청백리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능성구씨 13세로 1550년(명종 5)에 태어났다.

아버지 구변(具忭)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선생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봉상시정(奉常寺正)⋅한림(翰林)⋅전랑(銓郞)⋅

진주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내고 도승지(都承旨)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증 정부인 안동김씨로 사간원정언과 용담현령을 지냈으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분인

               제학공파 김익(金釴)의 따님이며, 의금부도사 김언홍(金彦弘)의 손녀이다.

할아버지는 구수연(具壽延)으로 예천군수를 지냈으며, 할머니는 숙부인(淑夫人) 평산신씨이다.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은 1570년(선조3) 21세에 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동부참봉⋅세자익위사시직⋅사옹원직장 등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임금을 호종(扈從)하여 의주로 갔다가

이어서 분조(分朝)로 가서 광해군을 도와 소조정(小朝廷)에서 활동하였으므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호종원종공신 1등으로 책훈되었다.

그 후 선조조정에서 맹산군수⋅군자감주부⋅사복시판관⋅호조정랑⋅형조정랑⋅강서현령⋅삭녕군수 등을 역임했다.

그리고 사후에 인조조정에서 청백리로 추천을 받아「청백리록」에 수록되었다.

청백리가 된 것으로 보아 지방의 수령으로 재임 중에

청렴한 관리로서 애민정책을 실시한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특히 강서현령으로 있을 때 발생한 지진(地震)의

상세한 보고를 조정에 올린 내용이「선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공이 1608년(선조 41)에 돌아가니 향년 59세였으며,

지금의 경기도 군포시 도마교동 유곡의 간좌곤향(艮坐坤向:남남서향)에 안장하였다.

한편 조정에서는 원종공신으로서 이조참판(2품관)을 증직하였다.

슬하에 2남 4녀를 두었는데, 큰아들 구벌(具橃)은 후사가 없고

작은아들 구숙(具橚)은 통훈대부 사재감첨정을 지냈다.

큰 딸은 예조판서 한여직(韓汝溭)에게 출가했고, 둘째 딸은 정랑 안홍중(安弘重)에게 출가했고,

셋째 딸은 병자호란 당시에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에게 출가했으며,

넷째 딸은 영의정 오윤겸(吳允謙)의 아들인 전첨 오달천(吳達天)에게 출가하였다.

또한 군수공의 손자인 구봉장(具鳳章)

소현세자(昭顯世子)의 큰딸인 경숙군주(慶淑郡主)와 결혼하여

순의대부(順義大夫:의빈 2품관) 능산부위겸 오위도총부부총관이 되었다.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1550~1608)이 졸하니 당시 최고의 명사로서

좌찬성을 지낸 문정공 월정 윤근수(文貞公 月汀 尹根壽,1537~1616) 선생이 지은

군수공의 만사(挽詞:죽은 이를 애도하는 시) 칠언절구 3수가 전한다.

少從鄰竝到華顚

소종린병도화전=== 젊어서부터 이웃에 살며 백발이 다 되어

連世通家五十年

연세통가오십년===대를 이은 사귐이 오십년이 되었는데

此日聞君遽遊岱

차일문군거유대===오늘 그대 홀연히 세상을 떠났다고 들으니

浮生泡沫只堪憐

부생포말지감련===거품처럼 덧없는 삶 못내 애달프구려

                        宦遊屢典專城印

                        환유누전전성인===벼슬살이 여러 번 고을수령 되었으니

                        遺愛曾從蔀屋聞

                        유애증종부옥문===베푼 사랑 일찍이 백성들에 들었건만

                        四品官銜年六十

                        사품관함연육십===사품의 관직에 나이는 예순이니

                        人間萬事已浮雲

                        인간만사이부운===인간 세상 모든 일이 뜬구름과 같구려

                                                八十慈闈失榮養

                                                팔십자위실영양===여든의 모친 봉양할 수 없게 되었으니

                                                世間此恨不堪聞

                                                세간차한불감문===세상의 이런 한을 차마 듣지 못하겠네

                                                悠揚丹旐廣陵路

                                                유양단조광릉로===광릉으로 가는 길에 명정은 펄럭이는데

                                                裁罷荒詞哭宋君

                                                재파황사곡송군===서툰 만사 짓고 나서 울며 그대 보내오

삭녕군수 청백리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吏曹參判綾城具公 諱坤源  貞夫人韓山李氏之墓

이조참판능성구공 휘곤원  정부인한산이씨지묘

 

삭녕군수 청백리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묘역 후경,  측경

 

 

=========================================================================

 

증 좌찬성 구숙(具橚,1583~ ?)

 

 

贈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 行通訓大夫司宰監僉正 綾城具公橚之墓  贈貞敬夫人全州李氏祔

증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 행통훈대부사재감첨정 능성구공숙지묘  증정경부인전주이씨부

 

 

===========================================================================

 

성균진사 구정상(具鼎相)

成均進士綾城具公 諱鼎相之墓  配恭人密陽朴氏 恭人淳昌趙氏之墓

성균진사능성구공 휘정상지묘  배공인밀양박씨 공인순창조씨지묘

 

 

==========================================================================

 

漢城府判官綾城具公 諱萬喜  淑人全州李氏 淑人廣州李氏 淑人全州李氏之墓

한성부판관능성구공 휘만희  숙인전주이씨 숙인광주이씨 숙인전주이씨지묘

 

//군포 화정 입향조 삭녕군수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가계//

조부 이조정랑 구수복(具壽福)

조모 증 숙부인 전주이씨, 단산수 이수(丹山守 李穗)의 따님

부친 진주목사 구변(具忭)

        삭녕군수 증 이조참판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1550~1608) 호종원종공신, 청백리

        배위 정부인 한산이씨, 이조참판 이대춘(李大春)의 무남독녀, 판부사 원태창(元泰昌)의 외손녀

            자 사복시첨정 증 좌찬성 구숙(具橚,1583~?)

            자부 증 정경부인 남양홍씨, 익산군수 홍경소(洪敬紹)의 따님

                  손자 형님 통덕랑 구봉익(具鳳翊)

                  손자 형님 통덕랑 구봉징(具鳳徵)

                  손자 형님 통덕랑 구봉양(具鳳陽)

                  손자 능산부위 구봉장(具鳳章,1638~1658)

                  배위 경숙군주(慶淑郡主1637~1655), 소현세자,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제일녀

                      증손자 성균진사 구정상(具鼎相,1653~1704)

                             현손자 광흥봉사 구만선(具萬善,1672~1723)

                             현손자 한성판관 구만희(具萬喜,1677~1750)

                             현손자 구만길(具萬吉,1682~170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