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이씨 충간공 호암 이기조(忠簡公 浩菴 李基祚,1595~1653)
경기도 기념물 제121호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산1152-11
贈領議政行禮曹判書諡忠簡李公神道碑銘(篆額)
증영의정행예조판서시충간이공신도비명(전액)
有明朝鮮國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 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世子師行正憲大夫禮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春秋館事世子左賓客同知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李忠簡公神道碑銘幷序
유명조선국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행정헌대부예조판서겸지경연의금부사춘추관사세자좌빈객동지성균관사
오위도총부도총관이충간공신도비명병서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監春秋館事世子府 朴世采撰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영경연감춘추관사세자부 박세채짓다
外孫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平川君申琓 篆額
외손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세자사평천군신완 전액
孫子 李明弼 書 손자 이명필 서
충간공 호암 이기조(忠簡公 浩菴 李基祚,1595~1653)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선(子善), 호는 호암(浩菴).
이희백(李希伯)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대수(李大秀)이다.
아버지는 판서 이현영(李顯英)이며, 어머니는 유사규(柳思規)의 따님이다.
초배는 광주이씨로 판결사 이여규(李如圭)의 따님이며
한음 이덕형(漢陰 李德馨)의 손녀이나 22세에 사망하였고,
재배는 좌부승지 신응구(申應榘)의 따님 고령신씨이다.
1615년(광해군 7) 진사로서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승문원에 들어가 박사가 되었으나,
대북파에 의해 파직되어 아버지 이현영(李顯英)과 함께 수원 쌍부촌(雙阜村)에서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형조좌랑이 되었다가 뒤이어 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는 한남도원수(漢南都元帥)의 종사관(從事官)으로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조좌랑, 좌부승지 등의 청요직(淸要職)을 여러 차례 역임하고 병조참의, 공주목사, 호조참의를 거쳤다.
1635년(인조13)에는 경상도관찰사로 나가 많은 치적을 쌓아 송덕비가 세워졌다.
1636년 안변부사로 있을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평안도찬획사(平安道贊劃使)로서 적과 싸우기를 원했으나 감사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그러자 죽도(竹島)에 영을 설치하고 백성들을 피란시켜 적봉(賊鋒)을 피하게 했다.
이후 도승지에 이어 대사간,이조참의,참판을 역임했다.
1645년 부제학으로 동지겸 정조성절사(冬至兼 正朝聖節使)로
청나라에 가서 지나친 세공미(歲貢米)의 부담을 줄이는 데 성공하였다.
효종이 즉위하자 호조판서에 올랐으나,
대동법 및 행전(行錢) 등의 문제로 잠곡 김육(潛谷 金堉,1580~1658)과 뜻을 달리해 대립하였다.
1650년(효종 1) 효종이 성지(城池)를 수축하기 위해,
왜정(倭情)이 염려된다는 이유로 청나라에 보내는 주문(奏文)에 남방의 성곽 수축과 군사 훈련을 주장했다.
그러자 청나라가 이를 강화조약 위반이라고 추궁하고,
그 책임으로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1595~1671)과 용주 조경(龍洲 趙絅,1586~1669) 등이
청사(淸使)의 사문(査問)을 받았다. 이때 이들을 적극 변호해 구원하여 효종의 총애를 받았다.
그 해 진주부사(陳奏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와 우참찬이 되었다. 이어 예조판서가 되었으나,
종묘 수리에 태만했다는 잠곡 김육(潛谷 金堉)등의 탄핵으로 함경감사로 밀려났다가 병으로 사퇴하였다.
1653년 공조판서에 임명되어 돌아오던 중 김화에서 병사하였다. 영의정에 증직되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경기도 장단(長湍)에 묘역이 있었으나 1728년(영조4)에 산본동 16번지 근처로 이장했다가,
1992년 산본 신도시 건설로 현 위치로 이장(移葬)하였다
//한산이씨 증 영의정 충간공 호암 이기조(忠簡公 浩菴 李基祚) 가계//
5대조 대사간 이윤번(李允蕃)
고조부 풍저창직장 이귀지(李貴枝)
증조부 사재감정 증 이조참판 이희백(李希伯)
할아버지 안성군수 증 좌찬성 이대수(李大秀)
아버지 형조판서 충정공 창곡 이현영(忠貞公 蒼谷 李顯英,1573~1642)
어머니 정부인 진주유씨, 첨지중추부사 유사규(柳思規)의 따님
동생 이천부사 이휘조(李徽祚)
증 영의정 충간공 호암 이기조(忠簡公 浩菴 李基祚,1595~1653)
초배 증 정경부인 광주이씨 20세졸 1녀, 판결사 이여규(李如圭)의 따님, 한음 이덕형 손녀
계배 증 정경부인 고령신씨, 좌부승지 신응구(申應榘)의 따님
장남 감역 이송령(李松齡)
손자 이명주(李明冑), 이명징(李明徵)
차남 서윤 이성령(李星齡)
손자 주부 이명연(李明淵)
삼남 이두령(李斗齡)--요절
사남 진사 이영령(李永齡)
손자 참봉 이명필(李明弼)
장녀 현감 호처정(洪處靖)
차녀 승지 심약한(沈若漢)
삼녀 정랑 김홍진(金弘振)
사녀 목사 증 판서 신여식(申汝拭)
오녀 층 참판 김하진(金夏振)
육녀 증 참판 정상징(鄭尙徵)
칠녀 학생 김심(金淰)
군포-광은군 경헌공 만구와 김진구(景獻公 晩求窩 金鎭龜),충문공 북헌 김춘택(北軒 金春澤) (0) | 2024.10.24 |
---|---|
군포-숙종국구 광성부원군 대제학 서석 김만기(瑞石 金萬基) (0) | 2024.10.22 |
군포-판중추부사 원태창(元泰昌),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 (3) | 2024.10.18 |
군포-증 이조참판 성재 구곤원(省齋 具坤源),증 좌찬성 구숙(具橚),성균진사 구정상(具鼎相),한성판관 구만희(具萬喜) (0) | 2024.10.17 |
군포-경숙군주(慶淑郡主),능창부위 구봉장(綾昌副尉 具鳳章), 광흥봉사 구만선(具萬善), 능산부위 구봉장(綾山副尉) (5)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