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당진-문안공 쌍매당 이첨(文安公 雙梅堂 李詹), 신평이씨

구름에 달

by 碧巖 2025. 1. 11. 22:28

본문

728x90

신평이씨 문안공 쌍매당 이첨(文安公 雙梅堂 李詹) 

충남  당진시 송악면 오곡리 산17,

문안공 쌍매당 이첨(文安公 雙梅堂 李詹,1345~1405)의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자는 중숙(中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이다.

보문각제학 이달존(李達尊)의 손자이며,

1345년 증 참찬 의정부사 이희상(李熙祥)의 아들로 충남 당진군 신평에서 태어나

고려와 조선조 일곱명 임금의 글을 지었다.

이첨(李詹)의 고향 집에는 소나무 두 그루가 있었는데 벼슬에 전념하다 몇 년 만에 돌아와 보니

소나무는 없고 매화나무 두 그루가 있어 호를 '쌍매당(雙梅堂)'이라 하였다고 한다.

손자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상원(李上垣)이고,

증손자는 이조판서 문정공 이가종(文定公 李可種)으로 초명은 이성언(李誠彦,1380~?)이다.

그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양촌 권근(陽村 權近,1352~1409)과 함께

우리의 역사서인 동국사략(東國史略; 三國史略이라고도 함)을 편찬한 명신(名臣)이다.

1365년(공민왕 14년) 그의 나이 21세 때 감시(監試)에 제2인으로 합격하였고,

1368년 24세 때 공민왕이 직접 주재한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그는 왕의 글을 짓는 예문 검열(藝文檢閱)이 되었고

고려 말까지 대간, 왕의 비서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1375년(우왕 1년) 우헌납(右獻納)에 올라 권신

승암 이인임(勝巖 李仁任,1312~1388)과 지윤(池奫, ?~1377)을 탄핵하다가

오히려 10년간 유배되었다.

1388년(우왕10년) 이인임 등이 몰락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내부부령,

왕명을 쓰는 예문응교를 거쳐 우상시(右常侍)가 되었으며,

1391년(공양왕 3년) 좌대언이 되었다.

諡文安公 號雙梅堂 新平李公之墓  貞敬夫人順興安氏祔左

시문안공 호쌍매당 신평이공지묘  정경부인순흥안씨부좌

 

이첨(李詹)은 목은 이색(牧隱 李穡,1328~1396),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1338~1392) 등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정몽주가 조선 건국파에 살해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지신사(知申事)에 올랐으나

정몽주(鄭夢周)의 지시를 받아 이성계의 일파인 우재 조준(吁齋 趙浚,1346~1405)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1342~1398) 등을 탄핵하여 살해한 뒤

이어 이성계를 제거하려고 하였다는 사건으로 장류(杖流)

초려 김진양(草廬 金震陽, ?~1392)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첨의 문장력과 지식이 필요했던 조선왕조는

다시 그를 불러 전서, 집현전직학사 겸 지제교에 임용하였다고 한다.

1398년(태조 7년)에 이조전서(吏曹典書)에 등용되어 동지중추원학사에 올랐다.

1400년(정종 2년) 첨서삼군부사(簽書三軍府事)로 전위사(傳位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02년(태종 2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올라

하륜(河崙,1348~1416)과 함께 등극사(登極使)로서 명에 다녀왔다.

이 해에 지의정부사로서 대사헌을 겸하였으며, 1403년 예문관 대제학이 되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하륜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하였으며,

종이를 의인화한 가전체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동문선’(東文選)에 많은 시를 남기고 있으며,

유저(遺著)로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 25권이 있다.

그는 경전과 사학에도 능통한 시인이자 역사가이자 교육자로서

‘제범(帝範)’, ‘사서절요(四書節要)’, ‘동국사략(東國史略)’ 등을 편찬했다.

유저로 쌍매당집(雙梅堂集)이 있고 시호는 문안(文安)이다.

 

쌍매당 이첨(雙梅堂 李詹) 선생의 사당 덕모재(德慕齋

문안공 쌍매당 이첨 신도비(文安公 雙梅堂 李詹 神道碑)

충남 당진시 송악면 오곡리 261-5

新平李公雙梅堂之碑

신평이공쌍매당지비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 諡文安李公 神道碑銘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시문안이공 신도비명

朝鮮國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藝文館春秋館世子師 諡文安李公神道碑銘幷序

조선국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예문관춘추관세자사 문안이공신도비명병서

嘉善大夫前行承政院左承旨兼經筵官參贊官春秋館修撰官 金炳秀撰

가선대부전행승정원좌승지겸경연관참찬관춘추관수찬관 김병수찬

通政大夫前行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官參贊官春秋館修撰官 金炳億篆

통정대부전행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관참찬관춘추관수찬관 김병억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