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 산 145 1441(세종 23)∼1468(예종 즉위년).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할아버지는 의산군(宜山君)남휘(南暉), 할머니는 정선공주(貞善公主: 태종의 4녀)이고, 아버지는 군수 남빈(南份)이며, 어머니는 현감 홍여공(洪汝恭)의 딸이다.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하고, 세조의 총애를 받으면서 여러 무직을 역임했으며, 1466년 다시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했다.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키자 구성군(龜城君)이준(李浚)의 휘하에서 조석문(曺錫文)·허종(許琮)·강순(康純)·어유소(魚有沼) 등과 토벌에 참가했으며, 군중에서 당상관에 초계(超階)되어 행부호군(行副護軍)을 거쳐 행호군이 되었다. 이시애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록되고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이어 서북변(西北邊)의 건주위(建州衛) 여진을 토벌하자 평안도선위사(平安道宣慰使) 윤필상(尹弼商)의 지휘 하에 우상대장(右廂大將)이 되어 주장(主將) 강순, 좌상대장(左廂大將) 어유소와 함께 만포(滿浦)로부터 파저강(波猪江)을 공격해 이만주(李滿住)를 참살했다. 이러한 공로로 이등군공(二等軍功)을 받았으며, 그 뒤 공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468년에는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겸했으며, 이어 병조판서에 발탁됐다. 그러나 그 해 신숙주(申叔舟)·한명회(韓明澮) 등 원상(院相) 세력에 의해 구성군·강순 등 이시애의 난 평정으로 등장한 신 세력이 제거될 때 형조판서 강희맹(姜希孟)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한계희(韓繼禧)에게 남이의 사람됨이 군사를 장악하기에는 마땅치 않다고 말한 것을, 한계희가 예종에게 아룀으로써 병조판서에서 해직되어 겸사복장(兼司僕將)으로 밀려났다. 이때 궁궐 안에서 숙직을 하고 있던 중 혜성(彗星)이 나타나자 “혜성이 나타남은 묵은 것을 없애고 새 것을 나타나게 하려는 징조다.”라고 말했는데, 이를 엿들은 병조참지(兵曹參知) 유자광(柳子光)이 역모를 꾀한다고 모함함으로써 국문 끝에 능지처사당했다. 그 뒤 1818년(순조 18) 우의정 남공철(南公轍)의 주청으로 강순과 함께 관작이 복구되었다. 어릴 때 권람(權擥)의 딸이 귀신의 장난으로 죽게된 것을 남이가 귀신을 물리치고 살려준 것이 인연이 되어 그녀를 아내로 맞았다는 일화가 있다. 창녕의 구봉서원(龜峯書院), 서울 용산구의 용문사(龍門祠) 및 서울 성동구의 충민사(忠愍祠)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그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9명의 충무공 중에 한 명이기도 하다. ◈ 남이장군은 누구인가 남이(南怡 - 1441 - 1468)는 태종 사위 남휘(南暉)의 장손이고 태종의 외장손(外長孫)이다. 그는 서울에서 살았고 좌의정 권람(權擥)의 넷째딸과 혼인하였다. 1457년 17세의 나이로 武科에 장원하여 世祖의 지극한 사랑을 총애를 받았다. 남이장군은 조선사에 있으서 가장 비극적인 한 사람일 것이다. 그 비극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젊디 젊은 나이에 탁월한 경력을 이루었지만 모반(謀叛)의 혐의로 처형되었다는 사실의 대비(對比)일 것이다 . 남이는 본관이 의령(宜寧)으로 할아버지는 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이고, 할머니는 태종(太宗)의 넷째딸인 정선공주(貞善公主)이며, 아버지는 군수 남빈(南玭)이다. 또한 중요한 가무적인 배경은 그가 권람(權擥 1416 - 1465)의 사위였다는 것이다. 권람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권근(權近)의 손자이자 권제(權醍)의 아들로서 좌의정 까지 오르고 정난(靖難)및 좌익(佐翼)1등 공신에 책봉된 당시의 가장 핵심적인 대신의 한사람이었다. 남이(南怡)는 그 것을 넘어서는 훌륭한 능력을 보여 주었다. 그가 문신 보다 훨씬 낮은 대우를 받는 무신(武臣)의 길을 선택한 까닭은 분명치가 않다. 하지만 그는 그의 성향이 무인의 기질이 농후한데, 이것이 결정적인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게 아니가 한다. 비극으로 끝나기는 하였지만은 그 뒤 화려한 전공과 출세가 보여주듯이 그것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었던 현명한 선택이었다. 兵曹判書忠武公南怡將軍之墓 병조판서충무공남이장군지묘 |
//의산군 충무공 남이 장군(宜山君 忠武公 南怡 將軍) 가계//
고조부 영의정부사 남재(南在)
증조부 병조의랑 남경문(南景文)
할아버지 의산군 소간공 남휘(宜山君 昭簡公 南暉)
할머니 정선공주(태종의 4녀)
아버지 군수 남빈(南份)
어머니 남양홍씨, 현감 홍여공(洪汝恭)의 따님
의산군 충무공 남이 장군(宜山君 忠武公 南怡 將軍)
초배위 안동권씨, 좌의정 익평공 소한당 권람(翼平公 所閑堂 權擥1416~1465)의 따님
후배위 고성이씨, 서윤 이호연(李浩然)의 따님
수원공고 동문회 바다 건넌 교육지원, 라오스에 초등학교 건물 선물 (0) | 2010.01.14 |
---|---|
화성시-함풍군 박종발(咸豊君 朴宗發), 함녕군 박찬신(咸寧君 朴纘新), 북병사 박태환(朴台煥), 함양박씨 (0) | 2009.10.18 |
청와대, 북악팔각정, 길상사 (0) | 2009.08.24 |
외출 내몽고 (0) | 2009.08.12 |
죽당이양복竹堂李陽復, 토봉 이경운, 춘촌 이대석, 소재 이득노,만재 이득시, 의암 이익령,송정 이득현,서운 이득형,약재 이득보,연곡 이득정, (0) | 200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