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진천-이거이,서원부원군이거이,문도공,청허자,청허당,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6. 14. 22:19

본문

728x90

 

文度公 李居易 墓所문도공 이거이 묘소

 충북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산 45-1

李居易이거이 1348(충목왕 4)1412(태종 12)

 

본관 청주(淸州)

<>낙천(樂天), <>청허자(淸虛子),청허당(淸虛堂)<諡號>문도(文度)

충청북도 기념물 제95.


이거이(李居易)1348(충목왕 4) 지금의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서 태어났다.

고려 말 문과급제, 관직이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선 왕조의 건국에도 참여하여 1393(태조 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임명.

뒤이어 평안도병마도절제사·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참찬문하부사·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차례로 역임.

이거이의 본격적인 현달은 왕자의 난이 일어나 태종이 집권한 이후부터로

이거이는 왕자의 난 직후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훈, 또한 태종이 즉위한 직후에는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올랐다.

 

태종의 연이은 공신 책봉에는 이거이가 조선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된 것이라 판단된다.

개국공신은 아니었지만 두 아들,

장자인 이애(李薆는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장녀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하여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올랐으며,

넷째 아들 이백강(李伯剛)은 태종의 장녀 정순공주(貞順公主)와 혼인하여

정절공(靖節公), 청평위(淸平尉),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에 올랐다.

, 태조와 태종의 2대에 걸쳐 부마를 배출한 집안으로,

이러한 특수한 관계는 이거이가 그만큼 조선 왕실과 밀접한 관계였음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정치적 현달도 충분히 예견될 수 있었다.

 

그러나 1400(정종 2)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의 지위에 있으면서

군제 개혁의 핵심 내용인 사병혁파 조치에 반대하다가, 대간의 탄핵을 받아 한때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은 1402(태종 2) 좌명공신이 되고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책봉되었다.

그 뒤에도 다시 대간의 탄핵을 받아 향리로 방축되어 아들 이애와 함께 진천에 은거하였으나,

또 다시 복직되어 우정승을 거쳐 영의정의 지위까지 올랐다.

 

                有名朝鮮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領司平府事西原府院君

                유명조선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영사평부사서원부원군

            奮忠仗義靖難芝杜佐命功臣淸州李公諱居易之墓 貞敬夫人慶州崔氏之墓

            분충장의정란지두좌명공신청주이공휘거이지묘 정경부인경주최씨지묘

 

李居易이거이 1348(충목왕 4)1412(태종 12)

 

본관 청주(淸州)

<>낙천(樂天), <>청허자(淸虛子),청허당(淸虛堂)<諡號>문도(文度)

 

李居易墓所 충청북도 기념물 제95.

충북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산 45-1

 

六代祖  文貞公 平章事 李公升 문정공 평장사 이공승

五代祖  貞肅公 李椿老 정숙공 이춘로

高祖父  上將公 李粧 상장공 이장

曾祖父  密直公 李昌祐 밀직공 이창우

   祖父  正憲公 李季瑊 정헌공 이계감

      父  文簡公 李挺 문간공 이정

      兄  形部郎中公 李由信 형부낭중공 이유신

      兄  檢校左政丞 恭節公 李居仁 검교좌정승 공절공 이거인

      兄  工曹典書公 李居義 공조전서공 이거의

           文度公 李居易 문도공 이거이

   長男  李薆 이애 (太祖駙馬 上黨府院君 諡 景肅公 태조부마 상당부원군 시 경숙공)

   四男  李伯剛이백강 (太宗駙馬 佐命功臣 淸平府院君 諡 靖節公 태종부마 좌명공신 청평부원군 시 정절공)

 

 

 

 

 

 

묘역전경

묘역 후면에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