吳士謙오사겸 묘역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산47-1
오사겸(吳士謙)
미상∼1628년(인조 6).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신(汝愼).
정무공 오정방(吳定邦: 1552∼1625)의 아들이다.
어려서 이상길(李尙吉)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만년(晩年)에 음사(蔭仕)로 용인현령(龍仁縣令)이 되어서 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에 이르렀다.
1628년(인조 6)에 졸 하였다.
이조판서를 지낸 오상(吳翔)과 吳䎘오숙, 오빈(吳䎙) 吳翮오핵 등의 아들을 두었다.
공조판서를 지낸 양곡(陽谷) 오두인(吳斗寅)의 조부(祖父)이다
贈議政府左贊成行宗親府典簿 海州吳公之墓
증의정부좌찬성행종친부전부 해주오공지묘
通訓大夫宗親府典簿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 判義禁府事海州吳公墓碣銘
통훈대부종친부전부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겸 판의금부사해주오공묘갈명
吳士謙配位 貞敬夫人全州李氏墓所
오사겸배위 정경부인전주이씨묘소
貞敬夫人全州李氏之墓
정경부인전주이씨지묘
=======================================================================================================================================================
吳䎘오숙1592(선조 25)∼1634(인조 12)
본관은 해주(海州). 字 숙우(肅羽), 號 천파(天坡).
오수억(吳壽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상좌도병마절도사 오정방(吳定邦)이다.
아버지는 전부(典簿) 오사겸(吳士謙)이며,
어머니는 한성서윤 이집중(李執中)의 딸이다.
1610년(광해군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12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약관에 과거로서 이름을 날리었다.
곧 승문원의 권지정자(權知正字)가 되어
당시 문장가로 유명한 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이정구(李廷龜) 등이 모인 자리에서
명나라에 보낼 진주문(陳奏文)을 초안했는데, 문장이 뛰어나 이덕형의 천거를 받아 다음날 설서(說書)에 승진하였다.
그 뒤 예조좌랑을 지내다가 조정의 어진 정치를 볼 수 없어 벼슬을 버리고,
장유(張維)·이명한(李明漢) 등과 교유하며 삼각산에서 독서하였다. 1619년에 병조좌랑이 되었고,
이 때 강홍립(姜弘立)이 후금군에 항복을 알리는 부경진주사(赴京陳奏使)의 서장관으로 갔다왔으며,
다음 해에 괴산군수가 되어 많은 기민(飢民)을 구하였다. 그 해 가을에 순검사종사관으로 삼남을 순찰하였다.
1621년에는 종사관으로 원수 한준겸(韓俊謙)을 따라
관서(關西)의 군무(軍務)를 돌아보고 돌아와 삼각산에서 독서로 소일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때 광해군의 처남인 유희분(柳希奮) 문하의 8학사의 한 사람이라 해 지탄을 받았으나,
친교가 있던 심기원(沈器遠)의 주선으로 정언(正言)이 되었다.
곧 지평(持平)으로 옮겨서 풍기를 바로잡는 데 공을 세우고,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수찬(修撰)·교리(校理)·헌납(獻納)이 되었고,
문학에 조예가 깊은 신하로 뽑혀 호당(湖堂: 독서당의 다른 이름)에 들어갔다.
1624년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로 호종한 공으로 병조참지가 되었고,
이듬해 사은 겸 주청부사가 되어 바닷길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26년 청주목사가 되었고, 이듬해 동부승지로서 정묘호란을 당해 왕을 강도에 호송했으며,
우승지·사옹원제조·상의원제조·형조참의·여주목사·예조참의·경상도관찰사, 좌승지 겸 승문원부제조를 역임하였다.
1633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마침 명나라 장군 모문룡(毛文龍)이 가도(假島)에 유진(留鎭: 진을 치고 주둔함.)하자,
대청 관계를 원만히 해결해 민심을 수습하였다.
이듬해 명나라 사신 황손무(黃孫武)의 접반사로 가도에 갔다가 돌아오는 도중 송도에서 죽었다.
문장이 간결 명료했고, 특히 기유시(紀遊詩)에 뛰어났다. 이조참판 겸 양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천파집』 4권이 있다.
有明朝鮮慶尙道觀察使 贈吏曹判書吳公䎘之墓 貞夫人固城李氏祔左
유명조선경상도관찰사 증이조판서오공숙지묘 정부인고성이씨부좌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 行通政大夫守慶尙道觀察使吳公䎘之墓 配贈貞敬夫人固城李氏祔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 행통정대부수경상도관찰사오공숙지묘 배증정경부인고성이씨부
안성-오두규吳斗奎, 증 정부인전주이씨 (0) | 2017.05.15 |
---|---|
안성-충정공 양곡 오두인(忠貞公 陽谷 吳斗寅) 오두인 묘소, 신도비 (0) | 2017.05.14 |
안성-정무공 퇴전당 오정방(貞武公 退全堂 吳定邦), 해주오씨, 충정공 오정방 (0) | 2017.05.14 |
안성-오수억오수천, 吳壽億,吳壽千 ,해주오씨 (0) | 2017.05.13 |
안성-오경운(吳慶雲), 배위 풍산심씨 할머니, 해주오씨,오계종(吳戒從),오륜(吳輪)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