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예산-문목공 야곡 조극선(文穆公 冶谷 趙克善),문목공 야곡선생 신도비,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5. 24. 23:13

본문

728x90

 

 

야곡 조극선(冶谷 趙克善,1595~1658)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시동리 산16

 

 

문목공 야곡 조극선(文穆公 冶谷 趙克善)

본관은 한양(漢陽). 는 유저(有諸), 는 야곡(冶谷).

조극선(趙克善)은 충청도 예산 출신으로

처음 이명준(李命俊)을 사사하다가 그의 권고로 박지계(朴知誡),조익(趙翼)의 문하에서 배웠다.

성리학과 예설에 밝았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있었다.

1623(인조 1)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에 임명되었다.

이어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공조 좌랑,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

호조 정랑,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이조 정랑으로 재직할 때에는 시폐(時弊)와 자강지책(自强之策)을 진언하였으며

이어서 면천 군수를 잠시 지내다가 병자호란 당시에는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있었다.

 

호란 소식을 듣고 남한산성으로 달려가다가 천안에서 길이 막혀 부모와 함께 해도(海島)로 피난하였다.

뒤에 순창군수, 형조정랑, 세자익위사 사어 등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다가 1648년에 온양 군수로 나갔다.

1649(효종 1) 10월 스승 조익의 추천으로 성균관 사업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다가 16526월부터 16551월까지 순창 군수로 재임하였다.

선정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이 청덕비(淸德碑)를 세웠다고 한다.

1657년 사헌부 지평에 임명된 뒤 이듬해인 1658(효종 9)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 야곡집(冶谷集) 10권과 야곡 삼관기(冶谷三官記), 인재 일록(忍齋日錄) 등이 있다.

 

효종이 조극선의 학행을 흠모하여 사후에 이조 참의를 추증하였다.

신창의 도산 서원(道山書院)과 덕산의 회암 서원(晦庵書院)에 제향되었다.

諡號는 문목(文穆)이다

 

 

 

 

有明朝鮮國通訓大夫行司憲府掌令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成均館祭酒 諡文穆漢陽趙公諱克善之墓 號冶谷

贈貞夫人江華崔氏祔

유명조선국통훈대부행사헌부장령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성균관제주 시문목한양조공휘극선지묘 호야곡

증정부인강화최씨부

 

 

 

 

 

 

 

 

 

 

고조할아버지 조경량(趙敬良

증조할아버지는 조곤(趙鵾),

할아버지는 조흥무(趙興武),

아버지는 조경진(趙景璡)이다.

어머니는 공주 이씨(公州李氏)로 진사 이치림(李致霖)의 딸이다.

配位 강화 최씨는 첨지 찬의 딸

  長男  趙昌漢조창한 縣監현감

          孫 趙栢조백

  次男  趙晟漢조성한 縣監현감

          孫 趙棖조정, 趙棇조총, 趙棡조강, 趙枋조방, 趙桄조광, 2 

  三男  趙晸漢조정한

          孫 趙根조근

 

 

 

문목공 야곡 조극선(文穆公 冶谷 趙克善) 신도비

충남 예산군 봉산면 시동리 산2-1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 知義禁府事成均館祭酒五衛都摠府都摠管 行通訓大夫司憲府掌令

贈諡文穆公漢陽趙先生神道碑銘 幷序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 지의금부사성균관제주오위도총부도총관 행통훈대부사헌부장령

증시문목공한양조선생신도비명 병서

 

坡平尹氏 明齋 尹拯 撰 파평윤씨 명재 윤증 찬

正憲大夫前議政府贊政兼掌隷院卿 奎章閣提學 潘南朴箕陽謹書 幷篆

정헌대부전의정부찬정겸장례원경 규장각제학 반남박기양근서 병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