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안사지삼층석탑昇安寺址三層石塔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263
보물 제294호.
승안사 터에 서 있는 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높이 4.3m이다.
아래층 기단은 받침돌·가운뎃돌·덮개돌을 같은 돌로 마련하여 4매석으로 구성했으며,
기단의 각 모서리와 가운데에는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다.
위층 기단의 4면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이 받침기둥을 사이에 두고 각 면에 2구씩 모두 8구가 새겨져 있다.
또한 위층 기단의 덮개돌은 매우 넓어 거의 아래층 기단 갑석의 크기와 같으며, 연꽃조각을 새겨 둘러놓았다.
탑신부는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별개의 돌로 구성했다.
2층부터 몸돌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2층과 3층은 높이가 거의 비슷하다.
몸돌의 각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1층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을 새겨놓았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고, 4단의 지붕받침을 두었다.
지붕의 경사는 급하나 네 귀퉁이는 거의 들려 있지 않아 무거운 느낌을 준다.
탑의 꼭대기에는 노반·복발·앙화가 남아 있다.
통일신라 석탑의 기본을 잘 따르고 있으나,
기단 구성이 엉성하고 기단과 탑신의 비례가 균형을 잃어 뛰어난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탑의 장식에 꽤 신경을 쓴 점 등 고려 특유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탑을 옮길 때 1층 몸돌에 있는 사리공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처음 탑을 옮겨 세운 때가 1494년(조선 성종 25)임을 짐작할 수 있다.
=======================================================================================================================================================
승안사지석조여래좌상昇安寺址石造如來坐像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호.
“승안사가 사암산(蛇巖山)에 있다.”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으로 보아
적어도 16세기 중반까지는 절이 운영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절터 주변에는 지금도 기와 편과 토기 편·도자기 편이 산재해 있다.
하반신이 땅에 묻힌 채 오른쪽 팔은 떨어져 나갔으며 머리도 절단되었던 것을 목 위에 얹어 놓았다.
머리는 소발(素髮 : 민머리)이며 봉긋한 육계(肉髻 : 살 상투)는 큰 편이다.
볼륨 없이 평평한 얼굴은 타원형으로 신체에 비해 큰 편이다.
눈은 마모되어 형태가 명확하지 않으나 옆으로 길게 표현한 흔적이 남아 있다.
눈두덩의 움푹한 윤곽선에서 이어지는 코의 윤곽은 크고 긴 삼각형이다.
목이 우뚝하게 긴 것 또한 특징적인데 삼도(三道)는 없다.
왼팔은 손목이 잘려 나갔으나 남아 있는 팔의 위치로 보아 무릎 위에 놓여졌던 듯하며,
항마촉지인의 수인(手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각상(圓刻像)으로 뒷면에도 조각하여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이어지는 옷주름이 3개의 층단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왼쪽 어깨에서 뒤로 넘어온 옷주름도 계단식으로 처리하였다.
왼팔에는 어깨에서 팔을 따라 내려와 겨드랑이로 모아지는 옷주름 선이 남아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고 목이 길며 좁다. 그리고 각진 어깨는 장대한 신체에도 불구하고 위축된 감이 있다.
가슴과 어깨에 약간의 볼륨감을 느낄 수 있으나 대체로 평판적인 신체 표현과 계단식의 옷주름 처리,
형식적인 조각 기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불상으로 짐작된다.
양평-제정공 화봉 신효창(齊靖公 華峰 申孝昌) (0) | 2017.08.05 |
---|---|
함양-안의광풍루, 의병대장문태서기공비, 하경순포선불망비, 화계김덕년선생시 (0) | 2017.08.03 |
함양-일두 정여창묘소 문헌공, 一蠹 鄭汝昌 文獻公, 정희직(鄭希稷) 직장공 (0) | 2017.08.03 |
함양-풍천노씨 대종가 豊川盧氏 大宗家, 경남 문화재자료 제343호 (0) | 2017.08.03 |
함양-오담고택梧潭古宅 경남 유형문화재 제407호, 개평리 하동정씨고가 문화재자료 제361호 (0) | 201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