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익산-미수 소자파(眉叟 蘇自坡),소자파 신도비-전라북도 문화재자료 148호, 왕석주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10. 11. 23:37

본문

728x90

 

 

양곡 소세양 아버지 미수 소자파(眉叟 蘇自坡) 묘소

전북 익산시 왕궁면 용화리 산33번지

 

미수 소자파(眉叟 蘇自坡)

 

蘇自坡(1451年 文宗 1~1524年 中宗 19) 朝鮮 中期文臣,

本貫晋州眉叟이다.

증조는 소천(蘇遷), 조부는 중군사정 소희(蘇禧),

아버지는 한성부판관 소효식(蘇效軾)

배위는 개성왕씨 사과 왕석주(王碩珠)의 따님

1483(성종14) 사마시에 합격한 후 의영고주부 남평현령 사직서령을 지냈으며,

아들 소세양(蘇世讓)의 훈귀로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겸의금부사를 추증받았다.

71녀를 슬하에 두어

    어모장군 임치진첨절제사  첨서공 소세온(蘇世溫)

    사간원 대사간, 남원부사 곤암공 소세량(蘇世良)

    통정대부,마량진수군첨절제사 포정공 소세공(蘇世恭)

    동지중추부사 쌍봉공 소세검(蘇世儉)

    형조·호조·병조·이조판서, 우찬성, 좌찬성 문정공 양곡공 소세양(文靖公 陽谷  蘇世讓)

    흥양공 조봉대부 흥양현감 소세득(蘇世得)

    첨추공 소세신(蘇世臣)

    그리고 사위는 유사 김지(金地)이다.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蘇公之墓 右   貞敬夫人開城王氏之墓 左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소공지묘 우   정경부인개성왕씨지묘 좌

 

 

정경부인 개성왕씨 묘비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蘇公之墓 右   貞敬夫人開城王氏之墓 左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소공지묘 우   정경부인개성왕씨지묘 좌

 

贊成公禮葬石建立獻誠碑

찬성공예장석건립헌성비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行通訓大夫儀賓府都事蘇公神道碑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행통훈대부의빈부도사소공신도비

 

소자파(蘇自坡) 신도

문화재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148

제작 중종 21(1526)

용화산 동쪽 경사면의 진주 소씨 묘지 가장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소자파 선생의 묘비이다.

소자파 선생은 조선 성종 14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의빈부도사를 거쳐

중종 19년 구례의 임지에서 73세에 순절하였다.

그의 아들 소세양이 벼슬이 올라감에 의해

가선대부 이조참판과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겸의금부사를 추증받았다.

묘비는 화강암으로 만든 받침돌과 대리석으로 깍은 비신과·머릿돌을 갖춘 형태이다.

4각의 받침돌은 국화무늬를 조각하였다.

머릿돌은 앞·뒷면에 연꽃과 구름무늬를 새겨 넣었는데 그 조각이 매우 섬세하고 뛰어나다.

 

김희수(金希壽:1475~1527)가 글씨 크기 약 10㎝의 비의 전액(篆額)을  쓰고 

남곤(南袞:1471~1527)이 찬하였다.   비의 후면은

이행(李荇:1478~1534)아 찬하고

성세창(成世昌:1487~1548)이  해서체(楷書體)로 썼다.

비의 모습이 완전하고 비문의 글씨도 선명하며 조각수법도 우수하다.

또한 비의 건립연대가 중종 21(1526)으로

익산지역에 전해오는 금석문으로서는 가장 빠른 것이어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미수 소자파 묘소후경

 

 

 

 

 

미수 소자파의 장인 왕석주 묘소

 

 

 

司果王公碩珠之墓  宜人和順崔氏祔右

사과왕공석주지묘  의인화순최씨부우

 

 

 

 

 

 

왕석주묘소 후경,  멀리 사위 소자파 묘소 후경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