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거창-신고당 노우명(信古堂 盧友明)묘 신도비-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520호, 노우영, 노우명 모친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11. 10. 00:23

본문

728x90

 

 

신고당 노우명 묘

信古堂 盧友明 墓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평촌리 산32번지

 

숭인문

 

이로재

 

 

 

신고당 노우명(信古堂 盧友明)

 

신고당노우명(信古堂 盧友明)

1471(성종 2)1523(중종 18).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군량(君亮). 신고당(信古堂). 경상남도 함양 출생.

아버지는 증 이조판서 분()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동지중추부사 광경(光庚)의 딸이다.

정여창(鄭汝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08(중종 3) 형 노우량(盧友良), 아우 노우영(盧友英)과 진사시에 나란히 합격하여

인근에서 노씨삼주(盧氏三珠)라 불렀다.

1518년 김안국(金安國)이 경상도관찰사로 있을 때 안우(安遇노필(김대유(金大有)와 함께 천거되어

현릉참봉(顯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였다. 

음운학에 조예가 깊어 사성(四聲)과 육예(六藝)에 통하였고, 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능하였다.

함양의 도곡서원(道谷書院)에 제향되었다.

 

 

 

從仕郞行顯陵參奉 贈資憲大夫吏曹判書 兼知義禁府事 盧公之墓

종사랑행현릉참봉 증자헌대부이조판서 겸지의금부사 노공지묘

 

 

 

                                       정부인권씨지묘

 

 

 

 

 

 

 

함양 평촌리 신고당 신도비 및 부부 묘표

咸陽 坪村里 信古堂 神道碑 夫婦 墓表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520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평촌리 산32번지

함양 평촌리 신고당 신도비 및 부부 묘표는 조선 선조 때 이조판서를 역임한

옥계 노진의 아버지 신고당 노우명의 신도비와 그 부부의 묘표로

현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0호로 지정되어 있다.

 

아들인 옥계 노진이 이조판서를 역임함으로 해서 증직되어 신도비가 세워진 것으로,

노진의 부탁으로 소재 노수신이 신도비명을 찬술하고, 여성위 송인이 글씨를 썼다.

묘표는 쌍분의 무덤 앞에 각각 세워져 있다. 비음기가 있는데 이는 아들 노진이 기록한 것이다.

1577(선조 10)에 세워진 이후 일체 보수나 변개가 없었으며,

따라서 신도비와 각각의 묘표 아래 부분은 일부 판독이 불가하다.

신도비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300호로 지정되어 있는

옥계(玉溪) 노진(盧禛, 1518~1578)의 신도비와 같은 영역(瑩域)의 상부에,

남향으로 안장된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 1471~1523) 부부의 쌍분 묘체(墓砌) 바로 아래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서향으로 서 있으며, 묘표는 각각의 분묘 정면에 남향으로 서 있다.

신도비의 두전(頭篆)은 증이조판서노공신도비명(贈吏曹判書盧公神道碑銘)이며,

비제(碑題)는 유명조선국 종사랑행현릉참봉 증자헌대부이조판서 겸지의금부사 노공신도비명병서

          (有明朝鮮國 從仕郞行顯陵參奉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 知義禁府事 盧公神道碑銘幷序)이.

 

신도비의 전면 우측부터 비제와 찬자, 서자, 두전 서자가 각각 1행씩 배치되어 있고,

서문(序文)19(각행 60)이며 명()2(2080)이고,

마지막 행에 수비(竪碑) 연월(年月)이 배치되어 있다. 하단 부분은 흐릿하여 판독하기 어렵다.

찬자(撰者)는 의정부(議政府) 우의정(右議政) 노수신(盧守愼)이며,

서자(書者)는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이며,

두전(頭篆)의 서자(書者)는 호조(戶曹) 참판(參判) 남응운(南應雲)이다.

비석의 후면에 10(각행 20)의 비음기가 있는데, 노우명의 둘째아들 노진이 기록한 것이다.

귀부(龜趺)의 용두(龍頭) 형태는 몹시 괴로운 형상을 하고 있어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있으며,

귀미(龜尾)는 굵게 귀갑 쪽으로 올라가 있으며 다소 둔해 보인다.

이수(螭首)는 앞뒤로 각각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보호하고 있는 형상이다.

 

노우명의 묘표는 2행으로 전면에만

  종사랑행현릉참봉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 지의금부사 노공지묘

 (從仕郞行顯陵參奉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 知義禁府事 盧公之墓)’라 새겨져 있는데,

증자헌대부(贈資憲大夫)와 사노공지묘(事盧公之墓) 10자는 하단 부분으로 박락되어 판독이 불가하다.

노우명 부인 묘표는 정부인권씨지묘(貞夫人權氏之墓)’로 되어 있는데,

아들이 이조판서에 이르렀으므로 남편은 사후 증직을 받고 자신은 살아 있을 때 정부인이 된 것이다.

두 묘표 모두 전면의 표제 이외에는 양측면과 후면 어디에도 아무런 글씨가 새겨져 있지 않다.

 

신고당 노우명은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이고,

그 둘째아들 옥계 노진은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함께 일두의 학문 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했던 인물이다.

경상우도 학술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의 신도비이고,

임진왜란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는 경상남도 지역에 남아 전하는 것이 드문 신도비다.

 

 

 

 

 

 

 

신고당 노우명 묘역 후경

 

 

 

(신고당 노우명의 어머니/옥계 노진의 할머니 묘)

 

유명조선국 증정부인신씨지묘

 

 

신고당 노우명의 어머니 / 옥계 노진의 할머니 묘역 후면에서

촬영일이 7월 하순이라 잔디가 무성하다.

 

 

진사 영경전 참봉 노우영(永慶殿參奉 盧友英)묘

 

 

 

 

 

從仕郎行永慶殿參奉 豐川盧公諱友英之墓 宜人晉州鄭氏祔

종사랑행영경전참봉 풍천노공휘우영지묘 의인진주정씨부

 

 

 

 

    신고당 노우명의 동생       노우영 묘소와  배위 진주정씨 묘소--상하로 있다.

 

 

 

 

 

//풍천노씨 신고당 노우명 가계// 

  조부 예조참판 노숙동(盧叔仝)

  부친 증 이조판서 노분(盧昐)

      형님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노우량(盧友良)

           신고당 노우명(信古堂 盧友明)

      동생  영경정참봉 노우영(盧友英)

      배위  안동권씨, 생원 권시민(權時敏)의 따님

                 자 문효공 옥계 노진(文孝公 玉溪 盧禛)

                 자부 순흥안씨, 기묘명인 안처순(安處順)의 따님

              손자 진사 별좌 노사훈(盧士訓)--노승(盧勝)

             손자 공조좌랑 부산군수 노사회(盧士誨)--노길(盧佶),노근(盧瑾)

             손자 노사흔(盧士訢)--노척(盧脊)

             손자 노사악(盧士諤)

             손자 노사전(盧士詮)

             손자 노사첨(盧士詹)

             손자 노사심(盧士諗)--노욱(盧郁),노등(盧騰)

 

 

                                                                                                                                                                                               벽암 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